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ttributes of consumers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and to find the impact of consumer value, meaning the social and pleasure values derived from brands on product purchase involvement. The method in this study was analysis of a total of 298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The results indicate, first of all, that among the attribute evaluations of global luxury brands, traditionality and splurge affect purchasing involvement. However, prestige and originality were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purchasing involvement. Second,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ndicate that social and pleasure val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of luxury brands. Third, the value of cross-group attributes evaluation and consumption value to differences in purchase involvement ha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 and Splurge natures of the luxury global fashion industry’s brand, social consumption value and pleasure consumption value affect the level of purchase involvement.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ttribute Evaluation(traditional and splurge) and consumption value(social and pleasure) when planning consumer marketing strategies for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in the future.
        4,600원
        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선행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내국 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 글로벌성이 품질 인식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 브랜드 글로벌성의 효과가 제품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품 특성으로 국가 전형성, 구매 위험도 및 상징적 가치를 살펴봤다.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 성인 소비자 356명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검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이 브랜드 현지성과 함께 내국 브랜드에도 중요한 품질 단서로서 소비자들이 인식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현지성 대비 글로벌성의 중요성이 제품의 국가 전형성 즉 한국을 대표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제품의 상징성 즉 사회 신호적 가치와 소비 가시성이 높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 구매 위험도에 따라 브랜드 글로벌성의 중요성은 달라지지 않았다.
        5,800원
        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다국적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PBG, Perceived Brand Globalness)을 재개념화하고 개념의 다차원성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글로벌 브랜드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은 단일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의 다차원성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800원
        4.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이 보유한 브랜드 강화역량, 최고경영자 역량, 글로벌 학습역량이 수출규모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를 한국패션의류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 패션기업들의 기업-연도 패널 데이터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브랜드 강화 역량 측면에서 디자인특허 역량이 높고 해외 제품상 수상 경 험이 있으면 기업의 수출규모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최고경영자 역량 측면에서 최고경영자가 패션관련 전공자이 거나, 해외경험이 있는 경우 수출규모가 높게 나타났고, 글로벌 학습역량 측면에서 해외 제휴 수가 많은 경우 수 출규모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의류산업의 산업적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인 수출규모증대 전략을 도출 하기 위해 필요한 기업 내부역량을 중점으로 의미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6,700원
        5.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사례는 현대자동차 인도법인(HMI)의 브랜드 포지셔닝 (brand positioning) 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 세계 자동차시장의 추세와 함께 인도 자동차 시장의 현황과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브랜드의 개념과 역할을 바탕으로, 브랜드 포지셔닝을 (1) 구체적 특성(Features: concrete attributes), (2) 추상적 특성(Abstract attributes), (3) 직접적 (기능적) 혜택(Direct: functional benefit), (4) 간접적(경험적/상징적) 혜택(Indirect: experiential/symbolic benefits), (5) 대리적 포지셔닝(Surrogate positioning)으로 구분하여, HMI가 어떠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HMI는 주로 구체적 특성과 추상적 특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전략은 HMI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컴팩트와 미드급 세그먼트의 특징을 감안했을 때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 만족도, 시장 점유율, 판매량 추세 등의 기업성과 지표를 감안했을 때도, 이러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은 HMI의 글로벌 경쟁력에 공헌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인도 자동차 시장의 향후 변화를 감안한 HMI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에 대한 재검토 역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900원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글로벌성과 원산지 이미지가 외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브랜드 글로벌성이 원산지 이미지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즉 글로벌성이 높은 브랜드는 낮은 브랜드에 비해 원산지 효과가 낮아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 성인을 중심으로 일본 자동차 4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우선 브랜드 글로벌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반면에, 원산지 이미지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브랜드 글로벌성이 원산지 이미지의 효과를 조절하는 경향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더 흥미로운 점은 원산지 효과가 글로벌성이 높은 브랜드에서는 나타난 반면에 글로벌성이 낮은 브랜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브랜드 글로벌성이 커지면 원산지효과가 줄어들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와 상반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마케팅 관점에서 시사점이 논의된다.
        6,000원
        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orean consumers' perception level of the country-of-origin of brand (COB) of global restaurant franchises. Although global brands have rushed onto the Korean food service market since 1980, there has been little or no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consumers' perception of COB of global restaurant franchises. In this study, we surveyed consumers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of COB for 27 foreign global restaurant brands; specifically,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Korean consumers could correctly recognize the COB of each br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ed that Korean consumers correctly perceived the COB of certain restaurant brands, and incorrectly perceived some other brands. For instance, Korean consumers' perception level of the COB of McDonald's and KFC were quite high, and conversely their perceptions of the COB of Outback Steakhouse and Pohoa were relatively low. When consumers select a restaurant brand, COB image was shown to be more influential than brand image.
        4,000원
        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프리미엄 생수시장은 "웰빙", 프리미엄, 특별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호의적인 태도인 소비동기요인기초연구로서 중국시장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동기요인을 정서적 차원 문항과 시각적 차원의 실증분석 문항으로 구성하여 생수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동기 요인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동기요인의 정서적 차원 문항인 가격은 7~9$가 적당한 것으로, 구입 장소는 프리미엄 생수이기에 호텔․ 레스토랑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구입 시 고려사항에 대해서는 브랜드, 가격, 물의 성분,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차원의 실증분석 문항에 대해서는 용기 형태 디자인이 모던하고, 심플한 형태, 색상은 용기 형태와 차별화되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라벨은 역사와 전통성이 있는 형태와 단순한 문자 형태가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시장에서 다양한 생수가 제공되고 시장이 확대되는 것은 생수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수요욕구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브랜드이미지 인지를 명확하고 기능적이며 감성적인 가치 명품화를 하기위한 본 연구는 먼저 매슬로우의 욕구계층 이론 및 통합 마케팅 개념 이론 등 관련 문헌에 대하여 충분한 선행연구를 진행한 후, 욕구계층을 생수브랜드에 대한 통합적 마케팅(IB4P)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출시된 10개 글로벌 생수 브랜드의 대상으로 IB4P의 전략 분석결과, Price 측면에서는 생리적 욕구 만족보다는 소속감, 즉 자기 존중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Place전략에서는 차별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판매 유통과 다양한 장소에서 판매가능 하도록 유통 환경을 개선하여야 하며, Product전략은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는 병 용기 디자인, 색상으로 명품 고급화 제품이라 인식되어 자기존중, 사회적 존경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Promotion전략은 몸에 유익한 물을 마신다는 경험을 제공하거나, 제품의 인지와 감성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다는 욕구가 충족 되어야 한다. IB4P 마케팅 전략은 생수 브랜드뿐만이 아니라 모든 제품 브랜드 이미지에 사용자단계별 욕구 형성을 통하여 통합적 4P요소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초 토대를 마련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new industry of this 21centuries, theme park is the important position to the front leader countries as a new growth engine due to its industrial-economical and cultural-social effect. While domestic theme park industries show lower competitive position with global theme park in aspect of management and qualities and have weak brand power. The global situation of present service robot industry of the world is the beginning stage and the time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 position and the best opportunity becoming global leader of world markets by prior occupation through provision of factitious market creating big demand. Robot theme park is possibile to provide such big demand of various robot and this paper present of ideas for robot theme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