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분의 노화는 전분질 식품의 소화율과 기호도를 떨어뜨리고, 경도를 증가시키는 등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며 유통기한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품의 상품적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이는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분노화 억제 소재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결정형영역에서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전분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결정형 영역과 무정형 영역의 변화의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학적 전분노화 억제제인 글리세롤(Glycerol)과 HLB 값이 16인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를 첨가한 가래떡을 제조 및 상온에서 저장하여 노화 과정 중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습식 제분쌀가루를 수분함량 45%로 반죽하여 쌀가루 기준 1, 5, 10%의 글리세롤과 0.1, 0.3, 0.5%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각각 첨가하여 지름이 1.5 cm인 가래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가래떡을 진공포장 후 상온에서 14일까지 저장하여 떡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초기 가래떡의 외관은 변화가 없었으나 저장 7일 이후부터 모든 가래떡 표면에 부분적으로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관찰하였다.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첨가한 가래떡이 4일차까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가래떡(Control) 보다 경도가 낮았으며, 같은 노화 억제제일지라도 첨가한 양이 많을수록 경도가 더 많이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저장 5일차부터 control과 샘플 가래떡의 경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후 14일까지 변화의 폭이 미미하였다. X선 회절도실험에서, Native 쌀가루는 15, 17, 23˚에서 peak가 나타나는 A 타입 결정 특성을 보이는 반면, 노화된 떡은 20-21˚에서 peak가 나타나는 B 타입 결정 특성을 보였다. 14일차 저장했을 때, 노화 억제제가 첨가된 샘플 떡이 control보다 상대적 결정화도가 낮았으며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비교했을 때, 글리세롤의 상대적 결정화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노화된 떡의 무정형 영역 및 결정형 영역의 재결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리전이 온도(Tg’)과 아밀로펙틴 용융엔탈피(ΔHr)의 변화를 DSC로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Control 떡과 샘플 떡의 Tg’은 증가하였으며 샘플 떡의 Tg’가 control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샘플 떡의 ΔHr 값과 변화 정도가 control보다 낮아 노화억제제로서 분자들 간의 결합을 방해했음을 암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화학적 전분노화억제 소재들의 전분노화억제 효과를 알려주고 이것을 이용한 전분질 식품의 저장안정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글리세롤에스터 유화제를 이용한 에멀젼의 입자상태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여러 가지 오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오일의 종류에 따라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폴리글리세롤 에스터로 유화된 가장 안정한 오일은 polar 오일인 실리콘계열과 지방산에스터 오일이고, 탄화수소계열의 nonpolar오일(Mineral oil, squalane, polydecene) 등이 유화에 있어서 가장 불안한 상태를 보였다. 식물성오일도 폴리글리세릴 에스터 유화제와는 안정한 형태의 입자형성을 보였다.
        4,000원
        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l the triacylglycerols including the molecular species having δ5-unsaturated fatty acids from the seeds of Pinus Koraiensis, were split into a mixture of diacylglycerols by a Grignard reagent prepared with allyl bromide without arousing acyl chains of a glycerol moiety to migration, and were also easily partially hydrolyzed to diacylglycerols by pancreatic lipase. (S)-(+)-(1-naphthyl)ethyl urethane(NEU) derivatives of the diacylglycerol mixture derived from the triacylglycerols were fractionated into sn-1, 3-, sn-1, 2- and sn-2, 3-DG-NEU by silica-HPLC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se fractions was analysed. C18:1Ω9 is distributed evenly in the three positions of TG with C18:2Ω6 mainly located in sn-2 position, while δ5-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δ5.9-C18:2, δ5.9.12-C18:3 and δ5.11.14-C20:3 are exclusively present in the sn-3 position. Thes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13C-NMR spectroscopy : the signals at δ173.231 ppm and δ172.811 ppm of the carbonyl carbon of acyl moieties indicate the presence of saturated acids and/or C18:1Ω9 (oleic acid) in the α(α')- or β- positions, and C18:2Ω6 including C18:1Ω9 in the β-posi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sonance at δ173.044 ppm suggested a location of δ5-unsaturated fatty acid moiety in the α(α')-position.
        4,000원
        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ipids from the seeds of Pinus koraiensis mostly composed of triacylglycerols (TGs), in which linoleic acid (46.2 mol%) and oleic acid (25.6 mol%) are present as main component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urprisingly, they also have unusual fatty acids with δ5-double bond systems such as δ5.9.12-C18:3 (16.0 mol%), δ5.9-C18:2 (2.3 mol%) and δ5.11.14-C20:3 (0.8 mol%). Saturated fatty acids of palmitic, stearic and arachidic acid were present in less than 8.0 mol%. TG was resolved into 17 fractions by reverse-phase HPLC according to so-called partition number (PN) suggested by Plattner, in which TG molecules with δ5-NMDB acyl chains eluted later than did those with δ9-MDB acyl radicals. Ag+-HPLC separated the TG into 14 fractions more clearly than did those with δ9-MDB acyl radicals. Ag+-HPLC separated the TG into 14 fractions more clearly than did reverse-phase HPLC, and the complexity of δ5.9.12-C18:3 moiety with silver ion impregnated in the column bed was in the level between δ9.12.15-C18:3 (C18:3Ω3) and C18:2Ω6 (δ9.12-C18:2). In the Ag+-HPLC, it was found that the molecular species having a given-numbered double bonds widely spreaded in the acyl chains eluted earlier than those concentrated in one acyl chain. The main molecular species are (C18:2Ω6)2/δ5.9.12-C18:3 (14.8 mol%), C18:1Ω9/C18:2Ω6)2 (12.8 mol%) and C18:1Ω9/C18:2Ω6/δ5.9.12-C18:3 (10.9 mol%).
        4,000원
        5.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르트산 투여가 흰쥐의 지방간 유발 형성과정에서 간장 및 혈청의 각 지질과 간세포의 지방산 조성에 대하여 경시적으로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로트산 투여 흰쥐의 간장 지질의 구성 지방산 중에서 리놀레산 (18:2, n-6)이 모든 각 지방질 중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리놀레산은 간세포의 소포체 및 골지체의 트리아실글리세롤에서도 증가하였다. 이 지방산 패턴을 경시적으로 분석한 결과, 간장 트리아실글리세롤에서는 오로트산 투여 1일째부터 증가하고, 디아실글리세롤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혈청 트리아실글리세롤에서는 오로트산 투여 1일째에서는 증가하였으나, 2일째부터는 증가율이 둔화되었고, 10일째에서는 대조군보다 저하하였다. 한편, 지방산 중에서 올레인산(18:1, n-9)은 간장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에서만 현저히 상승하였으나, 다른 것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 트리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롤, 콜레스테릴 에스테릴의 구성 지방산 중에서는 14:0, 16:0, 18:0의 포화지방산은 오르트산 투여로 저하하였고, 역으로 혈청 트리아실글리세롤에서는 이런 지방산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오르트산 유발 지방간에 있어서 간장 트리아실글리세롤이 축적될 때, 간장지질의 구성 지방산 중에서 18:2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한바, 지방산의 대사 저해와, 간장에서 혈청으로 이행하는 경로가 저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ynthesis and solution properties of polyglycerol alkyl ether(R12Gn) are described. The phase behavior, surface tension, cloud point and HLB value of polyglycerol dodecyl ether in aqueous solution and in mixed solution of surfactant /water /oil have been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values of polyoxyethylene dodecyl ether. The surface tension showed that R12Gn have sufficiently low values of surface tension and cmc to serve as useful polyoxyethylene alkyl ether. The mesophases appearing in the R12Gn systems were more stable in a high temperature range than the mesophases of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ystems. The cloud point and HLB data indicated that addition of one glycerol group was equivalent to the addition of three oxyethylene group units, as far as the hydrophilic property was concerned. The phase diagrams of the polyglycerol alkyl ether /dodecane /water systems showed that the solubilizing and emulsifying powers of R12Gn were greater than those of polyoxyethylene alkyl ether. It is concluded that the polyglycerol chain can be even more useful as hydrophilic group of nonionic surfactants than the polyoxyethylene chain.
        4,200원
        8.
        198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 difference was observed on autoxidative stability of triacylglycerols before and after randomyl interesterification. It indicate that randomization of the glyceride composi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utoxidative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autoxidation of randomyl interesterified vegetable oil was accelerated, caused mainly by decrease of tocopherols during the series of interesterification procedures.
        4,000원
        9.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류소비는 가축사육의 비약적인 증가를 초래함과 동시에 조류독감과 구제역 등의 전염병 발병으로 인해 오염된 닭, 오리, 소, 돼지 등이 대량 폐사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폐사축을 처리 및 처분하여 매몰지를 소멸화 하는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그 중 렌더링공정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 하에서 폐사축을 전처리하여 발생된 지방을 전이에스테르화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방법이 주목 받고 있는데, 이 역시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반면 글리세롤이 폐기물로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 글리세롤을 혐기성 소화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가능성을 평가하기위해 생화학적 메탄 포텐셜(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테스트를 시행하였다. 반응조 COD농도를 1g으로 설정하고 섭씨 37도 배양기에서 혐기성 입상슬러지를 식종균으로 14일 동안 바이오가스 발생을 모니터링한 결과, 글리세롤로 부터 약 50~58 mL/g COD의 메탄수율 획득이 가능함을 밝혔다. 또한 글리세롤의 바이오가스 전환이 7일 이내에 종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 폐사축으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 후 나온 부산물인 글리세롤을 자원화하는 혐기성소화 시 메탄생성속도는 7.0~8.3 mL/gCOD・d로 나타났다.
        10.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견과류 중 sunflower seed, cashew nut, walnut, pistachio, pumpkin seed, ginkgo, hazel nut, pecan을 원료로 하여 지방산 조성 분석 및 sn-2 position 분석, triacylglycerol species의 분석, tocopherol,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hazel nut에서 약 39.60 wt%로 가장 높았으며, walnut 35.25 wt%, p
        11.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6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조지방 함량(crude fat content) 측정 및 총 지방산 조성과 위치별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triacylglycerol(TAG)의 조성과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Folch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조지방 함량은 들깨 21.64%, 홍화씨 13.85%, 고추씨 9.60%, 석류씨 8.85%, 녹두 2.25%, 결명자 2.00%로 나타났다. 추출된 종실유의 지방산 분
        12.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해 GMO와 CLA로부터 Lipozyme RMIM의 반응을 통해 DAG 함유 유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DAG 함유 유지의 조성은 총 DAG의 함량이 61 area%로 나타났으며, MAG, FFA, 그리고 TAG가 각각 30, 3.4 그리고 5.4 area%로 나타났다. 합성된 DAG 함유 유지는 short path distillation을 이용하여 DAG를 분리하였고, DAG를 포함한 증류결과물인 residue부분(DAG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