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집지수와 FD와의 상관분석 결과 FD는 군집지수 중 Shannon 다양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조사지점은 환경 특성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고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고도가 높은 그룹 1은 산림의 비율이 많고 좋은 수질을 보였으나 고도가 낮은 그룹 6은 수질이 양호하지 않았다. 환경 구배에 따른 조사지역 그룹과 군집지수와 FD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NMDS를 시행하였으며 그룹 1~3에서 FEve를 제외한 모든 지수가 높았다. 그룹 간의 종구성은 그룹 1~3에는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이 높았으며, 그룹 4, 5에는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생물학적 형질은 그룹 1~3에서 생식기간이 길고, 이동성이 낮은 형질 특성을 보였으며 생물의 저항력 전략을 잘 보여주었다. 반대로 그룹 4~6은 생식기간이 짧고, 이동성이 높은 회복력의 전략을 뚜렷하게 반영해 주었다. 수질의 오염도가 낮은 상류는 교란의 빈도가 적고 공간적으로 높은 이질성을 가졌으며 생물이 주로 저항성 전략을 보였으며 생물이 서식지에 오래 머무를 수 있어 기능적, 구조적 생물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수질의 오염도가 높은 하류는 교란의 빈도가 높고 공간적으로 균질성이 높으며 생물은 주로 회복력의 전력을 보여 교란에 의해 이동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휴면기, 고치, 세포, 알 등의 독특한 형태를 갖는 반면 생물다양성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기능적 다양성은 수서 생태계 환경과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었다. 따라서 생물의 형질을 이용한 기능적 다양성은 잠재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800원
        4.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was developed to measure of gait-related activities. The FGA was translated in Korean but only a few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had been studi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FGA scale using Rasch analysi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20 patients with stroke (age range=30∼83 years; mean±standard deviation=58.3±11.1). The FGA and Berg Balance Scale were performed, and were analysed for dimensionality of the scale, item difficulty, scale reliability and separation, and item-person map using Rasch analysis. Results: The 4 rating scale categories of FGA were satisfied with optimal rating scale criteria. The most items of the FGA showed sound item psychometric properties except 2 items (‘gait with the horizontal head turns’, and ‘gait with narrow base of support’), and the 2 misfit items were excluded for all further analyses. The 8 items were arranged in order of difficulty. The most difficult item was ‘gait with eyes closed’, the middle difficult item was ‘gait level surface’, and the easiest item was ‘gait with vertical head turns.’ A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 was .93 and the person separation index was 3.57.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8-item Korean FGA are valid measure of assess the gait-related balance performance, and to set the goal of rehabilitation plan in patient with stroke.
        4,000원
        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o hundred and eleven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GMFCS), Korean-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K-MACS), Korean-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CFCS), and self-care, mobility, and social function domains of the Korean-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K-PEDI) functional skills were measured by physical therap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All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DI functional skills (rs=-.549 to -.826) (p<.05). Especially, K-GMFCS, K-MACS, and K-CFC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bility, self-care, and social function, respectivel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established that K-GMFCS, K-MACS, and K-CFCS were predictors of self-care skills (74.3%) and mobility skills (79.5%) of the K-PEDI (p<.05). In addition, K-CFCS and K-MACS were predictors of social function (65.9%) of the K-PEDI (p<.05).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using the levels measured in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may be useful to clinicians for estimating the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P.
        4,000원
        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수성 포장에 있어 기능적 평가인 투수성 실험과 더불어 소음저감 측정을 서울시에서 시공한 구간에서 실시하였다. 소음측정은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그 방법은 Pass-by 방법과 NCPX(Novel Close Proximity) 방법을 이용하였다. Passby 방법은 교통량에 따른 소음원이 전달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NCPX는 타어어와 포장 표면간의 마찰음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현장투수시험을 위해서는 총 5개의 구간에서 실시하였으며 각 구간마다 주행부와 비주행부로 나뉘어 측정하였다. 3개 구간의 Pass-by 측정을 위해서는 교통소음원 발생점으로부터 인접한 곳에서 측정을 실시하였고 또한 공원내부 혹은 단지 내부에서도 소음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NCPX 측정은 4군데서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수성 포장의 기능인 투수성과 소음저감이 2, 3년 사이에서는 그 기능을 잘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된 도시들의 불투수성 포장화에 따른 현상으로 토양의 사막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나아가, 도시 온난화 현상을 발생시켜 도시지역의 평균 온도를 올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우수가 투수성 토양에 흡수되거나 잔류되어야 하는 양이 줄어듦에 따라 자주 도심지내에서 범람이 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은 우수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투수성 포장시스템과 관련해서는 블록 포장이 여러 군데서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또한 투수성 블록 포장은 전통적으로 사용된 아스팔트 포장 및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타 포장보다 미적으로 낳은 면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도로의 현장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험용 슬러지 및 휠 트래킹 장비를 이용한 블록 포장의 기능적인 투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000원
        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ance is a complex motor skill that depends on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ensorimotor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texts. Many rehabilitation specialists believe that balance assessment under multitask condition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balance problems and falls than balance assessment in a single-task context. Functional Gait Assessment has many tasks that allow for testing under multitask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 Go" Test (TUG) in patients with stroke. One hundred and five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months post 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6 m with or without a mono ca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GA, BBS, and TUG was assessed using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he FGA correlated with the BBS (r=.80, p<.01) and TUG (r=-.77, p<.01). The good a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FGA, BBS, and TUG establish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FGA in patients with stroke. These measures provide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unctional balance capabilities.
        4,000원
        9.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stroke, many people have problems with balance during movement. Balance is essential for the optimal functioning of the locomotor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many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is a clinical tool for evaluating balance ability during walking. The test consists of ten tasks, seven tasks of the Dynamic Gait Index and three additional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data obtain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FGA when used with people after suffering a stroke. One-hundred participants, at least three months post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six meters with or without a walking aid, participated in the study (age range=30~83 years; ).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wo physical therapy students rated the FGA.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FGA were assessed using kappa statistic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2,1).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FGA was assessed using the Cronbach alpha. The Cronbach alpha was good (=.86~.93). The intrarater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92~.95) and inter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91, .95) of the total scores administered by the therapists and students were good, whereas the reliability for single item scores when administered by the physical therapists was moderate to good (kapa value=.42~.97). This study found that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total FGA scores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good.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FGA can be used as a reliable tool to assess the functional gait performance of patients after stroke.
        4,000원
        10.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rg Balance Scale (BBS) scores, Timed Up & Go (TUG),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and subject characteristics. All of the 18 subjects were women between the ages of 68 and 91 (mean=80.2, SD=5.43), and they all lived at the nursing home in Wonju. Balance was measured using BBS, and functional mobility was measured using TUG. FIM was used to evaluate functional independ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BBS and TUG (r=-.486,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otal FIM and BBS, TUG. The FIM items "locomotion" and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BBS and TUG. The results suggest that FIM may be able to predict dangerous falls in elderly people.
        4,000원
        1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집행기능은 뇌손상환자의 회복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손상 기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집행기능 수행에 관여하는 대뇌 활성화 영역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10명의 정상성인(남자 4, 여자 6)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모두 폐쇄공포증이 없고 금속을 삽입한 수술의 경험이없는 평균 나이 24.5 세였다.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실험을 위한 과제는 단어-색체 검사 과제를 30초간의 자극제시 시간에 맞게 수정하여 제시한 후, SPM 9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 재정렬(realignment), 표준화(nomalization)를 실시한 후 시간 순서대로 격자화하고, 각 영상 픽셀의 신호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휴지기와 활성기로 나누어 독립표본 t-검정(p<.05)을 실시하여 활성화 영상을 생성시켰다. 이를 표준 해부학적 영상에 중첩시켜 유의수준 95%에서 뇌 활성화영상을 얻었다.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결과 집행기능과 관련 있는 내측 전전두엽, 전 대상회, 두정엽, 시각 전두영역,측두엽 등에서 활성화 우위를 보였다. 집행기능을 수행하는 뇌 활성화 영역을 확인하면 뇌가소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인지 치료방법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