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location of weather station leads to changes in geographical climate factors such as latitude, longitude, elevation, topographical relief and land cover of surrounding area that inf luence on local climate. This study analyzes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between geograph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topographical relief and land cover, and changes in climate data such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ind due to relocation of 12 weather stations in South Korea. Changes in temperature and moisture are attributed to changes in land cover by the relocation. Wonju and Gumi where the stations were relocated from rural to new built-up area show increases in temperature, while temperature in Sokcho, Changwon, Cheonan, Daejeon, Gunsan and Mokpo decreased with the relocations from urban to rural area. Relative humidity in Mokpo, Gunsan and Daejeon increases due to increase in farming land. Changes in topographical relief influence on precipitation, wind and duration of sunshine. The relocation in Chungju to interior of basin led to decreases in precipitation and duration of sunshine, and Boryeong shows decrease in precipitation by the relocation from windward slope to hilly coastal area. Wind speed in Gunsan with the relocation from coastal to inland area decreased due to influence of neighboring hills. Shadow effect by neighboring building or vegetation can be attributed to changes in duration of sunshine in Gwangju and Wonju.
        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001년 6월 충주시 용두동에서 안림동으로 충주 기상관측소가 이전함에 따라 발생한 기상요소의 변화를분석하기 위하여 1994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를 관측소 이전 전의 기간으로, 2001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를 이전 후의 기간으로 정하여 평균기온, 상대습도, 안개일수, 풍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전 후의 관측소는 충주시가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공열과 피복의 차이로 인해 전 계절에서 기온이 상승하였다. 상대습도는 여름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서 감소하였다. 평균기온의 상승이 상대습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계절에 비해 수증기압이 많이 증가한 여름은 기온의 상승보다는 수증기압의 증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아 다른 계절과 달리 상대습도가 증가하였다. 안개일수는 관측소 이전 후에 전 계절에 걸쳐 감소하였으며 가을이 17.6일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충주의 안개는 방류된 물의 수온과 기온과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므로 기온, 상대습도와 같은 요인보다는 달천으로부터의 거리 증가가 안개일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다. 풍향은 관측소 이전 전에는 전 계절에 걸쳐 서풍계의 바람이 매우 탁월하였지만 이전 후에는 동풍계 바람의 빈도가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이전 전에는 서용계의 풍향 중에서도 서북서풍이 서남서풍에 비해 좀 더 우세하였지만 이전 후에는 서남서풍의 바람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