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들의 시민단체 자원봉사활동 참여 의미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어린이도서연구회라는 시민단체 활동 참여 과정에서 이들은 어떠한 삶의 변화들을 경험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년 이상 이 단체에서 활동해 온 중년 기혼 여성 참가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사되어 반복적 비교 방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중년기혼 여성들의 시민단체 봉사활동 참여의 의미는 삶의 변화와 관련된 네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우선, 이들은 책 토론, 책 읽어주기, 자신의 재능과 관심사 발견 등 새로운 자아 발견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는 가족의 지지나 긍정적 관계형성, 혹은 새로운 가족 고민 발생 등 가족 관계 변화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는 교류 집단 구성원의 변화나, 유대감을 형성하는 등 대인관계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는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거나 진로 가치를 재발견하는 등 진로에 대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중년 기혼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장 등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9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JD-R 이론, WH-R 모형을 기반으로 기혼 여성근로자들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일-가정 균형과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일-가정 균형의 단순 매개효과,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단순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된 매개효과라는 하나의 종합적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국내 제조업과 주요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고 있는 기혼 여성 직원 27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틴 경력지향성은 일-가정 균형과 경력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프로틴 경력지향성과 경력만족에서 일-가정 균형에 의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 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6,400원
        3.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rchasing behavior and selection attributes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and to identify the selection attributes affecting purchasing frequency and purchasing costs of married women living in a city. Among 837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HMR married women consumers, 752 complete questionnaires (89.8%) were analyzed. The younger married women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purchasing HMR than the older age group. The 20s and 30s age groups showed higher purchasing costs for HMR than the 40s and older age groups. A higher proportion of employed married women purchased HMR three or more times per week and spent an average of more than 20,000 won per purchase in comparison with unemployed married women. HMR selection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taste and sanitation’, ‘economic efficiency’, ‘health and nutrition’, ‘convenience’, and ‘reliability and awareness’; mean scores of these factors’ importance levels were 4.28, 3.93, 3.59, 3.54, and 3.50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The importance level of ‘taste and sanitation’ factor was significantly greater as married women’s age decreased. However, the importance level of ‘health and nutrition’ factor was significantly greater as married women’s age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the ‘taste and sanitation’ and ‘health and nutrition’ factors affected frequency of purchasing HMR. The ‘reliability and awareness’ fa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cost per purchasing HMR. Therefore, a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according to married women’s age and employment status should be applied. Product qualities and brand value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competition in the HMR market.
        4,300원
        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 하여 포괄적인 시각에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1년 제4차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보육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기혼여성 74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 용하였다.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시체계 변인인 자녀수와 배우자 양육 참여 시간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태학적 변인이 이상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시체계 변인인 자녀수와 자녀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는 중범위 체계 변인이나 거시체계 변인보다 미시체계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000원
        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 기혼여성들이 진로선택과정에서 경험하는 진로인식과 진로행동특성을 파 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취업의사가 있으며, 취업을 위해 직업교육과 훈련에 참여하는 등 실제적으로 취업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기혼여성’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선택과정에서 경험하는 진로인식과 진 로행동특성은 4개의 범주, 2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68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진로동기, 진로장벽, 진로선택에 대한 새로운 기준, 진로준비행동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진로동기는 경제적 필요와 경제적 독립, 사회적 존재감 추구, 건강한 노후 대책, 능력 있는 엄마, 내면적 당당함 개발, 생애 역할변화에 대처 등 총 6개의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둘째, 진로장벽은 역량부족의 문제, 자녀돌봄 문제, 막연한 두려움, 정보접근의 어려움, 가족 간 의논과 합의의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진로선택의 새로운 기준은 일-가정양립이 가능한 일, 즐겁고 의미 있는 일, 사회적 신분이 인정되는 일, 전문성에 기반한 일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넷째, 진로준비행동의 특성으로는 목표조정, 직업훈련모색, 가족들에 대한 설득과 합의, 역할조정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상담과 교육 및 취업지원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5,700원
        9.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levels of market goods substitution of housework and find out the determinants on it in the domain of food among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equencies, percentile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the convenience foods, frozen foods had the highest substitution level, whereas prepared stew had the lowest. The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traditional storage foods was the middle. And in dining-out service, the substitution level was mostly high: the level of delivery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dining-out.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 these results showed that market goods substitution tended to increase, and its level in the domain of food will promote continually over tim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bstitution level of convenience food wer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occupation, the existence of elderly/disabled person in the family, sex-role attitude, and weekly hours at home-based work. The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traditional storage foods was influenced by sex-role attitude, occupation, educ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existence of elderly/disabled person in the family.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substitution level of dining-out service were weekly hours at home-based work,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occup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sex-role attitude.
        4,000원
        10.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age on maternal labor supply in Korea using survival analysis.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career re-interruption of women having children under age 12, which has rarely been studi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se micro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surveyed from 1998 to 2016. Instead of using a pre-school child dummy or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as an explanatory variable, 9 children’s age dummies are included to capture the effect of nurturing 0 to 9 years old children. This study estimates the hazard of a woman’s exiting the labor market after her first experience of the career interruption, rather than the hazard of the first career interruption itself.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applied to numerically capture the impact of children’s age on behavioral changes in maternal labor supply. The sample used in this analysis is women between 15 and 54 years old. Most of all, we restrict the sample to women who had at least a child between 0 and 12 years old at the time of quitting their jobs. Results -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estimates show a strong negative effect of a 0-year-old child on maternal labor supply. Mothers with newborns have a high hazard ratio of labor force exit after the re-entry. The hazard of women with infants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ose with children aged 10 to 18. Additionally, the results show that not only newborns, but also children in the age of school-entr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mother’s labor supply. Conclusions - The findings reveal that children’s ages need to be properly expanded and included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children and their ages o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especially on women’s career re-interruption. A large negative effect of 7-year-old children on maternal labor supply found here indicates that supporting mothers with school age children as well as pre-school children is necessary to prevent mothers from leaving the labor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