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21년 분홍색계 소 형 호접란 ‘Arihong’을 육성하였다. 2014년 밝은 분홍색 소형 품종 Phalaenopsis ‘Wedding’와 백색 바탕에 분홍빛을 가지는 소형종 P. ‘[{KT1398-1×(KM-6)-4}×Chiangbeauty-88]-23’ 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8년 실생 120개체 중 잎자세, 화색, 화형, 꽃대수 등 특성이 우수한 ‘14104-1’ 개체를 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8년부터 2021년에까지 1차, 2차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한 후 ‘Arihong’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백색(WG155B) 바탕에 중앙 에는 보라빛 분홍색(PVG80B)을 띄며, 진한 자주색(PG78A) 순판 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꽃대가 2대씩 발생하고 꽃대 길이는 평균 42.1cm 소형 분화로 적절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평피기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5.1, 5.7cm이며, 분지가 발생하여 1개의 꽃대에 13.0개의 소화가 착생한다. ‘Arihong’의 잎은 수평으로 자라며 길이와 폭이 각각 13.0cm, 4.9cm였다. 또한 초세가 우수하고 생육 속도가 빨라 엽수 확보가 용이한 특성을 보였다.
        4,000원
        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and the nutritional ingredients and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Nypa fruticans flower stalk was evaluated in this research. It consisted of 7.5% of water, 13.56% of crude protein, 0.84% of crude fat, 9.25% of crude ash, and 68.85% of carbohydrate. 12 kinds of minerals were identified, where the top 3 of them being K, Cl, and Na in order. There were a total of 15 types of amino acid analyzed, with the main amino acids of arginine 30.25%, aspartic acid 26.90%, and glutamic acid 17.12%.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20,190.73 mg/100 g,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71.73 mg/100 g. The IC50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0.017±0.00 mg/mL for Nypa fruticans Wurmb flower stalk, 0.672±0.01 mg/mL for blueberry, and 1.282±0.03 mg/mL for ginseng. The IC50 for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0.070±0.00 mg/mL for Nypa fruticans Wurmb flower stalk, 2.918±0.13 mg/mL for blueberry, and 4.131±0.24 mg/mL for ginseng.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containing plenty of polyphenol and antioxidant, Nypa fruticans Wurmb is related to antiinflammatio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and high value materials using Nypa fruticans Wurmb.
        4,0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에 호접란에서 꽃봉오리 낙화를 동반하는 꽃대가 괴 사증상을 나타내는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피해가 상업용으로 호접란을 재배하는 경기도 화성지역 농가에서 ‘Fireweak’ 단 일 품종에서 백만주 가량 발생하였다. 난에 발생하는 주요 바 이러스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한 결과 ORSV와 CymMV 프라이머 특이 PCR 산물이 증폭되었으며 이 두 개 의 분리주를 각각 ORSV-NIHHSK2와 CymMV-NIHHSK2로 명명하였다. ORSV-NIHHSK2를 ORSV 48개의 국내 분리주 (GenBank accession no. AB541474-AB541521)와 염기서열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98.3~100%이며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 은 97.5~100%이었다. CymMV-NIHHSK2를 52개의 CymMV 국내 분리주(GenBank accession no. AB541522-AB541573) 와 염기서열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90.2~100%, 아미노산 서 열 상동성은 96.0~100%이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Fireweak’ 품종을 포함하는 6개 계통에 ORSV-NIHHSK2과 CymMV-NIHHSK2 이병즙액을 인공 접종하여 2년 동안 병징 발현을 관찰한 결과 ‘Fireweak’ 품종에서 꽃이 봉오리 상태에 서 노랗게 말라 죽는 증상을 동반하는 꽃대 괴저증상이 접종 주 총 18 그루 가운데 2 그루에서 관찰되었으며, 잎에 황색반 점 및 괴저 증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Fireweak’ 품종에서 나타내는 꽃대 괴저 증상은 ORSV와 CymMV 단독 또는 복합 감염에 의한 증상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부터 호접란 꽃 대 괴저증상은 ORSV 또는 CymMV 감염에 민감한 품종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호접란에서 ORSV 또 는 CymMV 감염에 의한 화기의 괴저 증상에 관한 세계 최초 보고이다.
        4,0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Yangha Buds (Zingiber Mioga 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rice cake, Sulgidduk, prepared with Yangha Buds juic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Yangha Buds (water extract and juice). Sulgidduk was prepared by adding Yangha buds at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of juice. To analyze quality characteristics, proximate composition, color,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As content of Yangha buds juice increased,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p<0.05). For texture profiles, control group scored higher score for hardness as compared to groups added with Yangha buds juice. Springi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samples containing 3% Yangha buds juice showed better results for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Yangha buds are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ulgidduk.
        4,000원
        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ccording to medicinal plant standard culture, flower stalk should be removed at the stage of 4-5 main leaves appearance but there is no detail information on stalk removal in jiwhang (Rehmannia glutinosa 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effect of flower stalk removal on the increase of total yield in Rehmannia glutinosa L.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Korea jiwhang, Wongang ○ Treatment : ① Peduncle non-cutting ② Peduncle cutting ○ Planting date : April 18, 2015 ○ Planting distance : 30×15cm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Aerial part growth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eatments in Wongang and aerial weight was havier in Peduncle cutting than in Peduncle non-cutting. Aerial part growth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eatments in Korea jiwhang. The roots yield in Korea jiwhang was increased about 5.2% in Peduncle cutting. The roots yield in Wongang was increased about 24.9% in Peduncle cutting.
        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1년 거베라 신품종 ‘Purple Queen’을 품종 육성하였다. ‘Purple Queen’은 2007년 절화장이 긴 ‘Selma’와 자주색 반겹꽃 ‘Maratho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선발된 절화용 품종이다. 꽃은 암갈심의 자주색(RHS RP66B)으로 평균 직경이 11.4 cm인 반겹꽃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은 각각 6.1 cm와 2.3 cm이다. 화경장은 50.3 cm 정도로 매우 길며, 꽃목 직경은 5.0 mm 정도로 굵다. 절화수명은 12.2일로 대조품종에 비해 3일 이상 , 연간 채화량도 51.4본/주로 대조품종보다 4.4본/주 더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백색 반겹꽃 'Wonder King'과 연녹빛의 백색 반겹꽃 'Ever Gree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순백색(RHS W155D)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Whiteny'를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이 11.5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8 cm와 2.2 cm이었다. 절화장은 52.2cm로
        10.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當歸) 종자(當歸)의 채종방법(採種方法)을 확립하고 추태년령별(抽苔年齡別)로 1년생, 2년생, 3년생에서 채종(採種)한 종자의 발아(발아)및 묘생육(苗生育) 특성(特性)을 알아보고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의 천립중(千粒重)은 3년생 4.48g 2년생 3.53g, 3년생 2.89로 3년생 참당귀에서 채종(埰種)한 종자(種子)가 적었다. 2. 최초(最初) 발아(發芽) 일(日)은 3년생 추대 종자 보다 1년생 추대종자에서 3日정도 먼저 발아(發芽)되었으며, 발아기간(發芽期間)은 4일(日)짧았다. 3. 발아률(發芽率)은 1년생 85.5%, 2년생 87.0%, 3년생 87.9%로 3년생 추대종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2년생, 3년생 추대종자보다 1년생 추태종자(抽苔種子)에서 발아세(發芽勢), 발아계교(發芽係敎)가 높고 최초발아(最初發芽) 및 평균(平均) 발아(發芽) 일(日) 수(數)가짧아 발아력(發芽力)이 높았다. 4.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3년생 종자보다 2년생, 1년생으로 추태년령(抽苔年齡)이 낮아짐에 따라 초장(草長)이 길고 엽수(葉數)와 엽수진전(葉數進展)이 많았으며 주당(株當) 엽중(葉重)이 높았다. 5.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은 1년생, 2년생, 3년생으로 추태년령(抽苔年齡)이 높아짐에 따라 근장(根長)이 길고 근동(根童)이 크며 주당(株當) 근중(根重)이 높았다. 6. T/R율은 1년생 619%, 2년생 360%, 3년생, 121%로 나타났다. 7. CGR은 지상부(地上部)는 1년생 0.0037g, 2년생 0.0032g, 3년생 추대종자에서는 0.0017g이 었으며, 지하부(地下部)는 1년생 0.000, 2년생 0.0010g, 3년생 추대 종자에서는 0.0019g 이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