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13일, 9월 21일 및 25일에 난자치어 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란은 4,849 ind./1,000 m3, 자치어는 641 ind./1,000 m3이였다. 출현한 어란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로써 총 출현량의 약 57.5 %를 차지하였다. 그 외 미동정(Unidentified) 어란 Ⅰ, Ⅱ, Ⅲ, Ⅳ이 출현하였다. 자치어는 청베도라치(Pictiblennius yatabei)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돛양태류(Repomucenus sp.A, sp.B), 고등어(Scomber japonic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전어(Konosirus punctatu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동정(Unidentified) 자치어 Ⅰ, Ⅱ가 출현하였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어란은 멸치, 자치어는 돛양태류가 출현하였다. 시기별 변동에서는 어란 및 자치어 모두 7월에 가장 많았으며, 8월에 가장 낮았다. 정점별 변동에서는 인공용승이 일어나는 인근 정점인 2, 3번에서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가장 많았다. 대조구 해역과의 비교하여 정점당 약 4배 이상 많은 어란 및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인공용승에 의한 영양염류 및 먹이생물의 증가로 인하여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nderstand the transport of anchovy egg-larvae, an integrated model consisting of a hydrodynamic model and a three-dimensional Lagrangian diffusion model was used for the anchovy Engraulis japornicus egg-larvae trace. Fist, in order to determine the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Sea of Korea, residual flow according to tide, density and wind effect was investigated. In offshore regions, tide-induced residual current tends to flow eastward during the spring tide and westward during the neap tide. Residual flow is irregular due to the bottom topography in the coastal area. No special tendency was apparent in the open sea. Especially, the flow in the offshore regions showed results similar to tha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he transport of anchovy egg-larvae is decid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a water. It is estimated that anchovy eggs spawned near the Jeju Island travels offshore, rather than to coastal areas, and grow in the front area between the coastal sea and offshore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