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헤이워드 다래나무의 비정상 생장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건전 개체와 비건전 개체 간의 물리·해부학적 특성 및 Calcium Oxalate 형성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두 집단 간 밀도와 함수율 등의 물리적 요인과 연륜폭, 도관직경, 도관비율, 방사조직 높이와 너비 등의 해부학적 특성 요인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Calcium oxalate 결정은 주로 수피 부분에 여러 개가 다발형태로 다수가 존재하였으나, 도관 주위에서는 출현율이 낮았고, Pith와 목질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Calcium oxalate 결정체는 건전개체(9.0 ×106/g개) 보다 고사가 진행 중인 비건전개체(10.4×106/g)에서 유의적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lzheimer`s disease (AD) is characterized by neuronal loss and extracellular senile plaque, whose major constituent is β-amyloid (Aβ), a 39-43 amino acid peptide derived from amyloid precursor protein. In cultures, Aβ directly induce neuronal cell death and can include excessiv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and peroxidative injury to proteins, lipids, and other macromolecules. Actinidia arguta, generally called hardy kiwifruit,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leaves and stems of A. arguta using in vitro cultured neurons and in vivo experimental animals. Methods and Results : Primary cortical neuronal cultures were prepared using Sprague-Dawley (SD) rat fetuses on embryonic days 15. Neurotoxicity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neurons after 3-4 days in culture. Cultured neurons were treated with 10 μM Aβ (25-35) for 24 h to produce neurotoxicity. In addition, cultured neurons were treated with H2O2 (100 μM) for 15 min and then incubated for 12 h in H2O2-free medium. Viability of cultured neurons was measured by a colorimetric MTT assay. Hoechst 33342 staining of neurons was carried out to examine Aβ (25-35)-induced apoptotic neuronal death. A. arguta over the concentration of 10 to 50 ㎍/㎖ prevented Aβ (25-35) (10 μM)-induced apoptotic neuronal death, and inhibited H2O2-induced decrease of MTT reduction 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ve stress is implicated in Aβ (25-35)-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Memory impairment was produc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c.v) microinjection of 15 nmol Aß (25-35) and examined using passive avoidance test in ICR mice. Chronic treatments with A. arguta (14 days, p.o.) protected memory impairment induced by Aß (25-35).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arguta has a therapeutic role for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D.
        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다래 육종을 위한 종 분류와 분자 표지인자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primer를 개발하기 위하여 참다래 genome 특이 반복 염기서열로부터 19∼20base 크기로 18개의 primer를 제작하여 kiwifruit target primer(KT primer)라 명명하였으며, 동아시아 지역에서 수집된 7종 22계통의 다래나무 속 식물을 이용하여 활용 가능성 을 조사하였다.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7개의 primer가 선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RAPD 결과 크게 2개의 군으로 나뉘어 졌다. 제 1 군(A. arguta, A. melanandra, A. kolumikta와 A. marcrosperma)은 주로 과실에 전혀 털이 없으며 잎에는 털이 전혀 없거나 어렸을 때 극소량의 연모가 있다가 없어지는 그룹으로서 Leiocarpae 절에 속하였다. 제 2 군(A. chinensis, A. deliciosa 및 A. eriantha)은 어린 과실에서는 털이 많았다가 성숙하면서 털이 없어지는 계통 및 잎과 줄기에 털이 아주 많거나 조밀한 솜털이 있는 그룹으로서 Stellatae절에 속하였다. 제 2 군은 Stellatae 절에서도 Pefectae 아절에 속하는 것으로 A. chinensis, A. deliciosa 및 A. eriantha가 포함되었으며, 다시 A. chinensis와 A. deliciosa를 포함하는 그룹과 A. eriantha 등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같은 부모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알려진 A. chinensis와 A. deliciosa는 80%의 유사도에서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또한 PCR 결과 A. deliciosa 종 및 헤이워드와 토무리 계통 특이 밴드가 KT12F와 KT6F에서 나타났으며, 유전양상 분석에서 KT7F와 KT12F가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KT primer는 참다래의 유전양상 분석과 특이한 유전양상을 나타내는 개체선발 및 도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참다래 육종 효율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