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여 발레 분야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 자는 총 35명이었으며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 발레 전공 여학생 15명(Mage=17.13, SD=.74), 발레 지도자 10명(남성=2명, 여성=8명; Mage=52.20, SD=6.94), 그리고 발레 전공생의 어머니 10명(Mage=48.70, SD=2.05)으로 구분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라이프스킬의 개념 구조는 개인 차원과 대인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결 과를 종합한 발레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한 결과, 개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자기 관리하기, 자신감 갖기, 목표 설정하기, 자기이해하기, 긍정적 생각하기, 창의적 생각하기, 감정 조절하기, 스트레스 대처하기, 시간 관리하기, 그리고 문제 해결하기 등 10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한편, 대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협동하기, 공 감하기, 갈등 해결하기, 의사소통하기, 관계 맺기, 리더십 등 6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발레 를 통해 습득 및 발달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을 다면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발레에서의 개념 구조를 도출하였 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레를 통한 라이프스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평가 도구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라이프스킬 요인을 탐색하고, 탐색된 라이프스킬 요인 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1의 라이프스킬 요인 탐색에는 총 45명(학생 20명, 지도자 15명, 학부모 10명)이 참여하였으며, 세 집단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심 층면담을 통해 핵심 라이프스킬 요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분야로부터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총 5차례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연구 1에서, 학생선수들을 위해 요구되는 라이프스킬 요소들은 총 8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은 개인영역 4요인(자신감, 목표설정, 자기조 절, 스트레스 대처)과 대인영역 4요인(의사소통, 협동, 공감, 갈등해결)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2에서, 8개의 라이프 스킬 요인들은 각 요인별 2차시 혹은 3차시의 교육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총 8요인 23차시로 구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라이프스킬을 증진시키는 역할에 초점을 둔 것으로 PEALS (Program to Enhance Athletes’ Life Skills)로 명명되었다. 결론: PEALS는 최근 학생선수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권, 학습권, 진로문제, 역량 증진 등과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운동선수들이 긍정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촉진하도록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