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시각에 대한 인식 현황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시각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적절한 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1년 4~7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O초등학교 담임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1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각 문제를 담당하기 적합한 전문가는 안과의사라고 인식하고 있는 교사가 88%였다. 학생에게 전문기관에서 눈 검사를 받도록 권유해본 적이 있었던 교사는 76%였다. 현행 교육과정에 시각에 대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는 24%였고 시각에 대한 내용이 교육과정에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 사는 80%였다. 시각이상이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71%, 저시력이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54%, 시각치료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22%였다. 시각이상의 존재여부를 증상으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22%였다. 선호하는 시각관련 정보 제공 형태는 46%가 웹싸이트를 선호하여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 초등학교 교사들이 시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시각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시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ost child-care facilities, homeroom teachers take the responsibilities for safety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in class hours on a regular basis. It was found that most homeroom teachers are lacking in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training experience they get. Teachers with fewer teaching careers had a greater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homeroom teachers have been utilizing monthly toddler magazines as a method to acquire knowledges for safety education and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The safety accidents which have most frequently occurred in care-care facilities turned out to be stumble and tear, and infants aged 3 years or younger were found to be easily exposed to the safety accidents mainly due to the frolic between peers during the free-choice activity time. The homeroom teachers recognized only traffic safety education among the range of safety training courses, which varied depending on teaching career such as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indoor/outdoor safety environment training, etc.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safety training methods were limited to the utilization of discussion techniques, role-playing, description and demonstration.
        4,300원
        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의 진로교육 경험을 소재로 하여, 진로지 도기간 전후로 일어나는 보람과 고민 등을 알아보고, 이것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심 화되어 나타나는 진로지도의 전문성을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라는 연구방법을 활용 하여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나타난 결과는 진로는 학생 이해부터 출발해야 하며, 교사의 관심과 학생의 열정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진로교육은 6학년과 같은 특정 학년에서만 지도하기에는 다소의 한계를 가 지고 있으며 범교과 차원의 교육과정 구성을 통해서 실시되는 것이 보다 가치있는 진로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유치원 장애통합학급의 담임교사 생활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유치원 장애통합학급의 담임교사를 맡은 바 있는 연구자 본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반성적 저널 등을 통해 자기연구(self-study) 형태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장애통합학급 운영 경험은 ‘장애통합학급 마주하기’, ‘장애통합학급, 깊게 들여다보기’, ‘함께 나아가기’, 그리고 ‘공감과 성찰을 바탕으로 발전하기’등 크게 네 가지로 범주화하었다.
        5.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원 현장실행연구 수업을 통해 연구자의 교직생활에 있어 가장 어렵고 힘들게 느껴졌던 유아평가의 의미를 재발견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교사 자신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반성적으로 바라보고 유아평가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나가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자는 현장에서 관찰되어지는 유아에 대한 행동에 있어 솔직하고, 꾸밈없는 평가가 곧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라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서 유아평가를 행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작년 담임교사와의 유아평가에 대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학부모와의 갈등을 겪게 되었다. 당시 연구자는 미성숙한 존재인 초임교사로서 연구자 자신이 행하는 평가가 지극히 주관적인 평가임을 인식하지 못한 채, 작년 담임교사를 비롯한 학부모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전가하며 스스로가 행하고 있는 유아평가를 반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평가의 의미를 보다 넓은 의미에서 생각해 보게 되면서 그간 연구자 자신이 해왔던 유아평가가 교사 개인의 환경이나 특성에 의해 기준이 정해졌으며, 교사가 정한 틀 안에서 유아를 보았기 때문에 지극히 주관적인 성찰하게 되면서 유아평가의 의미를 재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유아평가의 의미의 중요성과 유아평가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 3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의 직무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집단 간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MSEM)을 사용하여, 우선, 학생의 학습태도, 동료교사와의 관계,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변인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담임교사와 비담임교사 간 차이가 있는 지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직교사와 평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의 학습태도, 동료교사와의 관계,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변인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도 마찬가지로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