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자와 동공거리계에 의한 PD 측정방법 중 어느 방법이 동일한 피검사자에 대 해 측정자가 바뀌더라도 더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검사자는 안경자를 주로 사용하여 PD를 측정해온 집단(경력 2년 이상)과 동공거리계를 주로 사용해 온 집단(경력 2년 이상), 그리고 두 가지 측정방볍 모두에 경험이 많지 않은 집단(경력 3개월 미만)의 세 검사자 군으로 나누어 원용 및 근용의 단안 PD와 양안 PD를 각각 측정하였다. 원용(양안, 단안)과 근용(양안, 단안) 모두에서 동공거리계를 사용하여 PD를 측정 할 때가 안경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측정자에 따른 일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두 측정방법간의 일관성의 차이가 작고, 두 방법 모두 PD 측정값이 평균 을 중섬으로 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안경원 실무 경력 2년 이상의 집단과 3개월 미만 집단과의 비교에서는, 경력 2년 이상 집단의 일관성이 두 측정방법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안경자 사 용시가 동공거리계를 사용할 때 보다 두 집단간의 일관성 차이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남자 검사자 집단이 남자 피검사자의 PD를 측정한 동성 간의 PD 측정이 여자 검사자 집단이 남자 피검사자를 측정한 이성간 PD 측정시 보 다 일관성이 더 높았다. 하지만 안경자의 경우 근용 PD 측정시에는 옹성간 측정과 이성간 측정과의 일관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4,000원
        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안 PD 측정값에 영향올 줄 수 있는 사시안올 제외한 건강한 20 대 여성 32 명(1 9 -29 세)과 40대 이후 여성 71 명 (40-73세)올 대상으로 안경자와 각막반사식 동공거리 계로 왼용 PD와 주시거리 40cm 및 33cm에 대한 근용 PD훌 측정하였으며, 근용 PD 측정값은 왼용 PD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 근용 PD값과 비교하였다. 20 대 여성 군에서 안경자로 측정한 원용 PD값이 각막반사식 동공거리계로 측정한 값보다 더 높았다. 20 대 여성군과 40대 이후 여성군에서 각막반사식 동공거리계로 측정한 원용 PD 값과 주시거리 40cm에 대한 근용 PD값은 40 대 이후 여성군에서 더 높게 나타 났으며, 주시거리 33cm에 대한 근용 PD 값은 20 대 여성군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며, 20 대 여성군과 40 대 이후 여성군에서 각막반사식 동공거리계로 측정한 원용 PD와 주시거리 40cm 및 33cm에 대한 근용 PD 값 모두 우안이 좌안 보다 더 크게 측정되었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원용 PD와 근용 PD 의 차이는 20 대 여성군에서 2.52mm( 주시거리 40cm) 와 3.13mm( 주시거리 4O cm} 였으며, 40 대 이후 여성군에서 3.23mm( 주시거리 40cm) 와 4.03mm( 주시거리 4O cm} 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