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폐기물을 먹이원으로 하며 그 분해산물인 동애등에분은 비료원료로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농가에서 나오는 분변토는 염분함량이 높아 단독으로 사용하면 토양에 염류집적의 우려가 있다. 이에 산업곤충인 동애등에 분변토의 염분을 낮춰 퇴비로 활용하고자 옥수수(미백2호)에 5처리(무처리, 동애등에분, 동애등에분:흰점박이꽃무지분(2:8), 동애등에분:퇴비(2:8), 퇴비)로 비료를시용하였다. 옥수수 생 육은 초장, 간장, 웅수장, 착수고를 조사하였고 종실은 이삭중, 이삭장, 착립이삭장, 이삭폭 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별 옥수수 수량(kg/10a)은 무처리구 702.8kg, 동애등에분처리구 835.6kg. 동애등에분:흰점박이꽃무지분 (2:8) 처리구 723.7kg, 동애등에분:퇴비(2:8) 처리구 862.3kg, 퇴비 처리구 803.7kg으로 조사되었다. 동애등에 분변 토를 시판퇴비와 혼합하여 퇴비로 활용하면 옥수수 생산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나 장기적인 실험을 통해 토양과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인공 사육 시설에서 부산물로 발생된 아메리카동애등에 분변토의 식 물 성장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변토를 서로 다른 농도로 혼합한 토양에서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을 재배하여 식물성장해석법(Plant Growth Analysis) 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분변토 처리는 엽면적 성장은 6일째부터, 총건중량의 성장은 9일째부터촉진 되 었으며, 분변토를 25% 혼합했을 때보다는 50%로 혼합 했을 때 효과는 더 큰 것으 로 나타났다. 각 처리구 간의 순동화율(NAR)의 변화는 상대성장률(RGR)의 변화와 정상관관 계를 보였으며(Correlation: r=0.89 P<0.01), 상대성장률(RGR)과 엽면적비(LAR) 사이에는 약한 정상관관계(Correlation: r=0.09 p=0.66)가 나타났다. 따라서 상대성장률(RGR)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 중, 구조적인 면에서 관 계되는 엽면적비(LAR) 값에는 관계가 없으며, 기능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순동화 율(NAR)의 변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메리카동애등에 분변토 처리는 식물의 성장에 구조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주어 성장을 촉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대표적인 환경정화곤충으로, 우리나라에는 1990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보고(Kim, 1997)되어 외래종으로 취급되고 있는 종이다.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인공적으로 대량 사육이 가능하여 농가에 보급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농업과학원 인공 사육 시설에서 발생된 분변토의 성분이 생태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태독성평가(Acute toxicity test)를 수행하였다. Proteose media로 분변토 성분을 추출하여 인위적으로 침출수를 제조하여 Chlorella vulgaris(UTEX-2714, Chlorophyceae)의 Cell number 증가 여부를 72시간 동안 확인 하였다. 100% 농도에서는 C. vulgaris 성장을 억제하지만, 50% 이하 수준에서는 유의성 있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량 사육시설에서 발생되는 분변토의 경우 사육시설 주변 하천으로 침출수 형태로 유입이 되더라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