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OS produced by oxidative stress damaged endothelial cells, and cause a variety of vascular complications. In diabetic hyperglycemia state, ROS increase. The polyol pathway occur in diabetic complications, the excess glucose is absorbed into the polyol pathway when aldose reductase increased, NADPH changes it to sorbitol. Glutathione (GSH) removes ROS. GSH level is reduced by glutathione reductase, using NADPH as an electron donor. Activation of the polyol pathway decrease NADPH, and GSH also reduced. As a result, ROS is increased. In diabetic hyperglycemia state, Glycolysis increases. Effects of increased glycolysis, protein kinase C (PKC) is increased. NAD(P)H oxidase, stimulated by PKC-dependent pathway, increases ROS in the cell.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ROS scavenging activity of 5 natural products (Lycii fructus, Astragalus membranaceus, Cassia Tora, Polygonatum odoratum, Rubus Coreanus), to confirm the efficacy as diabetic antioxidants. Methods and Results : We extracted 5 natural product by distilled water and ethano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ycii fructus, Rubus coreanu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better Rubus coreanus, Lycii fructus, Cassia Tora. In addition to, Rubus coreanus, Cassia Tora, Lycii fructus was comparatively higher reducing power activity than other natural products. And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uch higher in Rubus coreanus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ycii fructus, Rubus coreanus can be applied as diabetic antioxidant that prevent vascular complications caused by ROS.
        4.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둥굴레 유전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국산 둥굴레속 식물 수집종 10종 20계통을 재배 한 후 특성을 조사하고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하였으며 군별 특성 및 류연 관계를 구명하였다. 14개 형질을 가지고 평균연결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결과 군집간 평균 거리 약 0.6에서 7개 군으로 분할되었다. 제 1군은 층층갈고리 둥굴레군이고, 제 II 군에는 둥굴레, 둥굴레 엽색 변이종 및 큰둥굴레가 속하였으며, 제 III 군은 산둥굴레군이고, 제 IV군은 죽대군이었다. 그리고 제 V 군은 용둥굴레와 안면용둥굴레가 속하였고, 제 Ⅵ군은 퉁둥굴레군이며, 제 Ⅶ군은 각시둥굴레가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였다. 제 I군은 다른 군에 비하여 지상부와 근경이 모두 거대하였고, 제 II~III군은 둘 다 중간 정도이며, 제 IV~Ⅶ군은 지상부와 지하부가 모두 작았다. 둥굴레속 식물의 분류에 있어서는 특히 경장, 줄기습성, 엽서, 능각, 엽병, 화서, 화피의 형태, 포 및 근경의 크기 등이 중요한 식별 형질이었다. 제 I~III군은 식용 및 양용작물로 이용하기 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제 IV~Ⅶ군은 원예작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