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digital media and images are combined, their significant sociocultural impacts can be exerc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digital images shown in such trends of digital media compared to the digital fashion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are focused upon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Digital Fashion comprehensively refers to fashion design using computers and software, and is considered as “Fashion Desig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ncluding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perspectives, so that it may be renamed “Digital Fashion.”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Digital Fashion defined above are analyzed according to how media philosophers conceptualize the digital imag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Digital Fashion Images are technical images produced by computers. Uncanny characteristics expressed through virtual images look more realistic than the actual ones used in experimental works of fashion designers. Such virtuality dynamically expresses various colors and fabric patterns through ligh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at do not yet exist in cloth form, rather in a non-material form of dynamic virtual imagery. Digital fashion images on monitors express digital fashion designs by shaping virtual images through 3D printing. Second, Digital Fashion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re created through deconstruction, while fashion has only been previous viewed visually, Digital Fashion delivers immersions of visual touches as if directly experienced for accepters. Digital Fashion will continuously develop and become more influential as it converges with digital media.
        4,900원
        2.
        201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르 영화의 이데올로기는 이제 과감한 컴퓨터그래픽과 화려한 스펙터클 그리고 입체라는 새로운 기술전략으로 관객에게 승부를 걸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데올로기에 봉합되지 않고 예술로서 영화의 책무를 끊임없이 보여주려는 노력 또한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한 노력은 폭로와 전복의 미학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디지털은 바로 이러한 면에 있어서 이율배반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관객에게 거칠고 날카로운 그들의 삶을 여과 없이 보여주기 위해 디지털은 자기의 모든 장식적 껍질을 벗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디지털 0과 1의 픽셀미학은 이미지의 아방가르드적 현존을 가능하게 하며 관객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게 한다. ‘국내 디지털 아방가르드 영화 <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적하라>는 바로 이러한 진화의 한 축을 이루는 진보적인 국내 실험영화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아방가르드 영화<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적하라>의 숭고미학에 있어서 탈이데올로기적 특징을 리오타르의 이론을 통하여 고찰해 볼 것이다.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