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송은 양식어류의 양식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행되며, 선별과 같은 물리적인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해산어류인 넙치를 이용하여 수송 시 염분, 수온 및 마취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송 시 해수 염분(35‰, 15‰)과 수온은 20℃ (natural water temperature, NWT), 15℃ (cooling water temperature, CWT)로 설정하였으며 마취제(anesthesia, Anes., Sigma USA)는 50 ppm 희석하여 염분, 수온, 마취제 요인들을 혼합한 실험구를 설정하였 다. 실험구는 각각 NWT+35‰, CWT+ 35‰, NWT+15‰, CWT+15‰, NWT+15‰+Anes. 및 CWT+15‰+Anes.으로 설정하였다. 스티로폼 상자(66×42×20 cm)를 수송용기로 사용하였으 며, 해수 3 ℓ와 액화산소를 주입한 비닐봉지에 넙치 8마리씩 수용하여 수송하였다. 연구 결과 수송 전 코티졸 농도는 2.4±0.1 ng ml-1로부터 CWT+35‰ 구(16.7±12.8 ng ml-1)를 제외한 나 머지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높아졌다. K+ 농도는 수송 전 3.1±0.0 mEq l-1로부터 NWT+15‰ 구에서 4.5±1.1 mEq l-1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실험구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혈액성상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수온과 마취제는 스트레스를 유발 로 인한 삼투압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AST, ALT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신마취제의 잉여 몰부피는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추출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vesicle의 현탁액에서 25℃ 잉여부피 dilatometer로 측정되었다. 우리의 연구에 의해 전신마취제인 Propofol은 잉여몰부피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혔다.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추출 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의 잉여몰 부피는 vesicle의 아미노산과 지질의 영향이다. 이들은 잉여 몰부피 dilatometer로 잉여 몰 부피를 측정되었으며, 흡광세기는 280nm 330 nm 에서 연구되었다.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이 Propofol에 의한 입자크기 분석, 상대적 혼탁도가 기계적 특성을 위해 연구되었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입자 크기 분석은 측정에 의한 중요한 단계이다. Propofol이 vesicle에서 재구성된 시료들 중에서, 특히 PM+RM+Propofol의 잉여 몰 부피가 PM, RM의 잉여 몰 부피보다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4,000원
        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안과에서 점안마취제로 Alcaine싼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었다. 점안 마취제는 안압 측정, 이물 제거, 전방각경 검사, 봉합, 결막 과 각막 수술 둥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점안 마취제를 눈에 정 안했을 때 각막 상피 에 미 치 는 영 향올 알아보고자 Alcaine@ 0.5%(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 Benzalkonium Chloride 0.01%)을 사량의 눈에 직접 점안하여 챔안 후 각막 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옳 Rose Bengal로 염색하여 Slit lamp로 조사 하였다. 또한 결막세포 (done 1- 5c -4)를 배양하여 점안 마취제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 얄아보고자 Alcaine@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각각 0.125-0.5% 농도로 15분 처 리 하여 12시 간과 24 시 간 후에 회 복효과를 조사하기 위 해 MTT assay와 LDH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증식 저해 정도첼 측정하였다.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matoxylin-eosin 염색 후 광화현미정으로 관찰하고, 세포자연사 (Apoptosis) 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실시하였다. Alcaine@을 눈에 점안하면 15분 후에 각막 상피가 괴사되고, 결막의 손상올 관찰 할 수 있었으며, MTT assay 결과, 세포독성판 Alcaine@처리군(0.125, 0.25, 0.5%) 에 서는 세포증식 저해가 70% 률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 0.1 25% 는 대조군과 유사하고, 0.25%에서는 많5% , 0.5% 에서는 65%로 농도 의존쩍으 화 세포 증식저해를 나타냈다. LDH 유출량은: Alcaine@ 0.25% 처리군에서는 1.8배, 0.5%에서는 4.1 배의 유출량이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처리한 군에 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포자연사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설사한 결과 AIcaine@ 0.125% 처리군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 처리군에서는 세 포자연사 (Apoptosis) 에 의해, 고농도 Alcaineæ; 처리군(0.25, 0.5%) 에서는 세포괴사 (Necrosis)를 유도한 것으로 나타나 점안 마취제의 사용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4,300원
        4.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ethyl alcohol, halothane, and procaine in vesicle and suspensions of several lipids have been determined at 25℃ using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otency of general anesthetics has long been known to be correlated with lipid solubility. Denaturations of the bacteriorhodopsin, which is a sole membrane protein in the purple membrane of Halobacteriun Halobium, were studied by UV/Vis absorption changes.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and procaine in egg lecithin were all found to be negative and this result was confirmed as Miller's supposi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