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도서지역 산림식생의 인간 간섭 유무와 정도에 따른 생태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남해안 유인도서(대모도)와 무인도서(구도)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산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구조 및 종조성 특성(총피도, 중요치, 종다양성, 지표종, 생활형 조성 등)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 유형은 대모도에서 총 11개 식생단위(1개 군락군, 2개 군락, 개 아군락, 9개 변군락, 그리고 4개 아변군락), 구도에서 총 8개 식생단위(2개 군락군, 5개 군락, 그리고 6개 아군락)가 구분되었다. 총피도(S)와 종다양도(H′)에 있어서 구도는 교목층이, 대모도는 관목층이 다른 층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대모도 N-R5-D2-e, 구도 MM-R5-D2-e로 나타났다. 과중요치(FIV) 분석결과 대모도에서는 차나무과와 소나무과, 구도는 녹나무과와 참나무과 분류군들이 상위그룹을 이루고 있었으며, 과별 종구성비에 있어서는 대모도는 국화과가 4.5%(19종류), 구도는 백합과 가 7.3%(8종류)로 가장 높게 나타나 두 도서간 인위적 교란 정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지표종 분석에서는 대모도는 청미래덩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미소지상식물(N)이, 구도는 황칠나무,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 대형지상식물 (MM)이 대개 유의한 지표종(p <0.0005)으로 나타났다.
        4,300원
        2.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onducted as a sector study of a reasonable management plan for uninhabited islands. we conducted bird surveys at 233 uninhabited islands of Shinan-gun, Jindo-gun, Wando-gun in Jeollanam-do from May to October, 2012. In this study, total 26 family and 39 species were observed. Among them three bird species, falcon, eagle owl, oyster catcher belonged in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which is protected by the law in Korea, and four species, tattler, storm petrel, streaked shearwater, oyster catcher which are Near Threatened (NT)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2015) were observed. Uninhabited islands are used as habitats of many resident and/or stopover birds and need to be conserved and protected from destroying by human outdoor activities. This survey is to aim at making a comprehensive plan to conserve these islands if necessary.
        4,000원
        3.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3,358 islands in Korea and about 85% of them are uninhabited islands. Concerning thi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has been seeking not only to settle the fundamental policy on the preservation, the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but also to search the proper types of management suitable for the specialities by inhabited islands. Accordingly, we participated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from May 2012 to January 2013 by MLTM intended for 171 un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Mokpo City, Yeosu City, Jindo-Gun, and Shinan-Gun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uninhabited islands. In this treatise, we report the result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about twenty six uninhabited islands nearby Hong-do island.
        4,800원
        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3,358 islands in Korea, about eighty five percentage of them are uninhabited islands. Concerning thi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has been seeking to settle the fundamental policy on the preservation, the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and to search the proper types of management suitable for the specialities by inhabited islands. As part of such research, we participat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from May 2012 to January 2013 by MLTM intended for 171 uninhabited islands in Mokpo City, Yeosu City, Jindo-Gun, and Shinan-Gun of Jeollanam-Do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uninhabited islands. First of all, in this treatise, we report the results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about nine uninhabited islands nearby Gakyeo island in Shinan-Gun of Jeollanam-Do.
        4,000원
        1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서남해안의 목포시, 여수시, 진도군, 완도군, 신안군 5개 행정구역에 속한 256개 무인도서에 서식하는 곤충의 분류조사를 실시하였다. 항구에서 배를 이용하여 무인도서로 직접 이동하였고, 포충망과 독액을 이용한 곤충채집을 한 후 연구실에서 채집물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로 9목 59과 122종의 곤충이 분류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무인도서 조사지역별로 각 곤충종이 서식하는 분포도를 만들어 볼 수 있었으며, 금번 발표에서는 서식지별 분포 및 다양성에 대한 부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1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도해지역인 신안군 임자면 임자도 일대 19개 무인도서에서 나비를 조사하여 총 5과 11속 14종을 확인하였다.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나비가 5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부전나비과 (Lycaenidae)가 4종, 흰나비과 (Pieridae), 네발나비과 (Nymphalidae)는 2종, 팔랑나비과 (Hesperiidae)는 1종이 나타났다. 본 조사의 우점종은 남방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푸른부전나비 (Celastrina argiolus), 먹부전나비 (Tongeia fischeri), 호랑나비 (Papilio xuthus), 청띠제비나비 (Graphium sarpedon)이며, 이들 중 청띠제비나비는 서남해안 일부지역에서만 서식하여 한반도 내에서 서식 분포가 매우 좁은 종이다. 나비의 분포는 섬의 면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공급원과의 거리나 최고 고도와 유의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변화에 따른 종의 확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000원
        16.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신안군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총 1004개의 도서가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대부분 섬들은 일정한 지역에 밀집이 되어있으나 각각의 섬들은 육지 또는 타도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생물상의 조사는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섬 생태계에서 곤충류의 종다양성은 조류를 포함한 상위포식자의 생태계 먹이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일대 28개 무인도서의 곤충상을 확인하여 무인도서의 보존 및 관리방안 설정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된 28개 무인도서의 곤충류 출현 양상은 총 12목 60과 122종 92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가도에서 9목 22과 32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정 곤충종의 출현 현황은 국내 미기록 1종, 남방계 특성종 3종, 해안사구 지표종 1종, 기후변화 지표종 1종이 조사되었다.
        4,300원
        17.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geological,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of uninhabited islands in the Buan Coast, located between Byeonsan offshore and Sangwangdeung-ri of Wido-Myeon. The islands contain typical coastal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such as seastack, tafoni, sea cliff, erosion cave, and notch. Geology of the islands consist mainly of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that indicate the geological history of the islands. This investigation allows the classification of islan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nature conservation of the islands.
        4,000원
        18.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종조성표의 불연속성인 분류법과 연속성인 배열법을 적용하여 강화군 무인도서 해식애의 식물종조성 및 식생을 분석하였다. 해식애에서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담쟁이덩굴(58.3%)이었으며 다음으로 소사나무, 분꽃나무, 음나무(각각 37.5%)이었다. 식물의 군락구조는 신갈나무군락, 찰피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도서별로는 신갈나무군락이 소송도와 분지도, 찰피나무군락은 대송도, 소송도, 소사나무군락은 우도, 수리봉, 비도, 팥배나무군락은 수시도, 대송도, 소송도, 곰솔군락은 석도, 우도에 나타났다. 도서별 유연관계는 소송도와 대송도의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 전형적인 해안단애초원군락이 결합하지 않은 이유는 해식애 대부분이 표토가 거의 없는 암석바위의 지형적 환경조건 때문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4,000원
        2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onditions and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habitatin uninhabited islands of Incheon Korea. The emergence area of Peucedanum japonicum was 4.9m distance in coastline,and altitude and slope was 7.4m and 47.5%. Soil pH, organic matter and P2O5 of habitat were 7.1, 8.3% and 29.0㎎/㎏, andcontents of K, Ca, Mg and Na were 0.66, 4.9, 3.4 and 1.13cmol+/kg, respectively. Growth plants with Peucedanum japonicumwere total 55 taxa, and Gakeuldo in uninhabited islands was the most as 25 taxa. In growth plants with Peucedanumjaponicum, plants of over 25% frequence per plot were Miscanthus sinensis, Dendranthema boreale, Lilium lancifolium,Hemerocallis middendorffii, Elymus dahuricus,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Asparagus schoberioides, Gypsophila oldhamiana,Cocculus trilobu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Artemisia capillaris, Crepidiastrum denticulatum and Sedum oryzifolium.The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habitat was classified into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community, Dendranthema boreale community,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community,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community and Hemerocallis middendorffii community. According to general condition of habitat, suitable growing areaswas determined to slightly acidic from mild alkaline soil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