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eltic fairy tales relating 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Ireland in Victorian Age. W. B. Yeats's Fairy and Folk Tales of the Irish Peasantry, 1888 and Irish Fairy Tales, 1892, The Celtic Twilight, 1893, and Joseph Jacobs's Celtic Fairy Tales, 1892 and More Celtic Fairy Tales, 1894 are correlated with the Irish celtic history, religion and culture. They are best known as collectors of fairy tales at that time. Jacobs thought that the fate of the Celt in the British Empire bids fair to resemble that of the Greeks among the Romans, "they went forth to battle, but they always fell, yet the captive Celt has enslaved his captor in the realm of imagination." And he insisted that nowhere else was there so large and consistent a body of oral tradition about the national and mythical heroes as amongst the Gaels, and especially concerned that the Irish tales and ballads had this peculiarity. The aim of Jacobs's volumes is to present to English children the vision and color, the magic and charm, of the Celtic folk-imagination. While Yeats's volumes show his interest in spiritual beings and his nationalism. Yeats who believes that faith to perpetuate in the three early Cycles of Irish folktales taught by the Druid sees in Tir-na-n'Og, the land of the Sidhe, Plato's and Plotinus' "yonder" when our souls descend whither they return. The Celtic beliefs in rebirth and in the otherworld are connected with beliefs surrounding the burial mounds of the Megalithic people. Among the Celts these tombs were connected with religious usages, chiefly with a cult of gods and fairy-like beings. Beginning with the Ulster Cycle, the sidhe and the Tuatha de Danann merge and become one, and renamed "fairy." A tale entitled "Connla and the Fairy Maiden" chosen by Jacobs is the earliest fairy tale of modern Europe and contains an early account of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Celtic conceptions, that of the earthly paradise, the isle of Youth, Tir-na-n'Og. And in Fairy Folk Tales of the Irish Peasantry there are also new characters like changlings, merrow, leprechauns, banshee, pookas. Samain, the first of November is the beginning of Celtic Year and the biggest festival of Ireland. On the November Eve the sidhe dance with the ghosts and witches make their spells. When the soul has left the body, it is drawn away, sometimes, by fairies. The souls of the dead sometimes take the shapes of animals. And there are 'ghosts' in fairy tales. Yeats chose Lady Wilde's "The Black Lamb" in his volume. And there are 'witches' and 'fairy doctors' in Irish fairy tales. "The Horned Women" of Lady Wilde chosen by the two collectors is the famous tale of witches. Witches and fairy doctors receive their power from opposite dynasties; the witch from evil spirits and her own malignant will; the fairy doctor from the fairies. Samain was adopted by the Christian missionaries to serve their own purposes and renamed "All Souls Day." When the Christian missionaries came to Ireland in the fifth century AD they were able to infiltrate the oral traditions of the Celtic people and infuse Christian beliefs through process of recording the Celtic tales in written form. And the Christian missionaries create the biographies of Christian saints known as "The Legend of the Saint." So there are 'Saints' and 'Priests' in Irish fairy tales. When the pagan gods of Ireland, Tuatha de Danann, robbed of worship and offerings, grew smaller and smaller in the popular imagination, until they turned into the fairies, the pagan heroes grew bigger and bigger, until they turned into the giants. So there are 'giants' in Irish fairy tales like "A Legend of Knockmany." In three major Irish tales cycles (the Mythological cycle, the Ulster Cycle, and the Fenian Cycle) there are so many kings and queens and princesses. Beliefs in the fairy faith, the remnants of an earlier faith than Christianity, have influenced the more modern motifs and characters of Irish Celtic fairy tales.
        7,800원
        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영어 동화를 활용하여 초등 영어 수업에서 다문화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초등 영어 다문화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의미를 확인하고, 초등 영어교육에서의 다문화 통합 수업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조사를 통해 영어-문화 통합 수업의 가치와 한계에 대한 분석을 했다. 또한 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에 대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다문화 통합 수업 모형(KUT: 지식-이해-적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KUT 모형 수업에서 단계별로 활용 가능한 다문화 영어 동화와 수업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수업 모형에 따라 진행한 차시별 수업 사례와 활동 결과물을 통해 초등 영어교육에서의 의미 있는 다문화 통합 수업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수용성의 차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인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춰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5),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 사후검사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한 결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제고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창작, 출판된 아동 다문화문학 가운데 다문화 동화 20편의 내용을 인물, 갈등의 양상, 해결 방식, 다수자의 편견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다문화 동화에 담긴 문제점을 고찰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 다문화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다문화 동화의 개념 및 의미를 정의하였다. 아동 문학 및 아동 다문화문학에 대한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내용 요소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 20편의 다문화 동화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많은 작품에서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은 이국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들은 외모 면에서 주류 한국인과 대비되며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주류 한국인의 경우 다문화가정 등장인물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선한 인물과 부정적 관계에 있는 악한 인물로 양분화되어 나타났다. 갈등의 해결 양상을 분석한 결과 공감 능력이 뛰어나고 높은 도덕성을 지닌 인물이 갈등을 해결하는 전형성이 나타났다. 또한 많은 작품에서 소수자에 대한 주류 한국인 작가의 외부자적 관점이 드러났으며 출신 국가와 이주 목적에 따른 다수자의 편견과 고정관념이 여러 작품에 걸쳐 반복적으로 제시되었다.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소통과 이해의 도구로 국내에서도 다문화 동화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다문화 동화의 내용에 대한 검토와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질적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체와 정서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시기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적 정서와 교육적 가치를 가장 많이 내포하고 있는 전래동화를 동기유발의 자료로 활용하여 문화와 예술, 교육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자는 전래동화 중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흥부와 놀부’를 선정한 통합프로그램을 대구시 수성구 소재의 ‘찾아가는 미술관’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프로그램 수업과 초등학교 5개교, 각 학교 저학년 20명씩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통합교육의 질적인 모색과 교육적 가치 및 문화와 예술의 관계, 그 관계에 따른 통합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미술 영역에서 오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음악 영역에서는 우리 장단의 체험과 우리 민족의 정서, 그리고 정체성도 이해할 수 있었다. 교육적 가치로는 우리의 민족 정서인 충, 효와 권선징악, 형제의 우애 등 윤리적인 의식과 인간성 회복의 교훈도 얻을 수 있었으며, 문화와 예술적 체험에 접목된 영상은 아동들에게 자신감과 더 큰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따라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문과의 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며, 아동들에게 표현 욕구를 더 많이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