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꼼장어는 곰장어가 경상도 사투리로 된소리화된 것이다. 꼼장어의 정식 명칭은 먹 장어인데, 먹은 검다, 컴컴하다는 의미의 순우리말로 먹장어 눈이 퇴화하여 수염과 같은 더듬이로 먹이를 찾는 모습에서 이름 붙여진 것이다. 곰장어가 꼼장어로 발음 되는 현상을 말머리 된소리 현상 혹은 두음 경음화 현상이라고 한다. 말머리 된소리 화는 음절의 앞에 위치하므로 음운론적 영향 관계보다는 외적인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 먹장어라는 기의(signifié)의 측면에서 보자면 ‘꼼장어’와 ‘곰장어’는 같은 기표(s iginifiant)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말처럼 각 기표에는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신념과 가치가 부착되는 내포적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본고는 ‘꼼’장어에 대해 식용의 역 사와 사회적 배경을 문화사적 관점에서 접근해봄으로써 ‘꼼’장어가 곰장어와 다른 내 포를 가진 기표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꼼’장어가 식용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에 접어 들면서부터이고 부산과 경상남도 일대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전국으로 알려졌다. 꼼 장어의 식용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1970년대와 80년대의 부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경공업 중심의 수출주도산업화, 살아있는 날 것의 꿈틀거림, 거칠고 투박한 부산 사투리, 그리고 서민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특징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정체성은 바로 ‘저항’이다
        5,2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천태가 제정한 참법 중의 하나인 『법화삼매참의』의 구성과 내용, 그리고 문화사적인 의의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해를 위해 이 책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문화사적 의의에 대해서는 역사와 수행으로 구분해 살펴보고 있다. 천태는 다양한 참법을 제정했지만 그것을 수행론과 결부해서 체계화시키고 있다. 일상의 의례와 수행을 별개의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수행과 의례가 언제나 병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분석된다. 천태의 참법은 단순한 계율에 머물러 있었던 참회를 의례 속에 수용하여 수행의 차원으로 승화시키고 있는 점이다. 이런 점은 참회가 세속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의례를 통해 종교적 감흥과 체험을 지향하고자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천태의 수행법은 당대에 그치지 않고, 중국 의례문화의 역사에 일대 전환기를 만들게 된다. 이전의 단순한 참회, 내지 계율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던 참회를 의례 속에 포용하여 일상의례로 전환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는 당송대를 거쳐 발전하는 동북아시아 의례의 전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 등의 의례 문화가 발전하고 정착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법화삼매참의』는 천태의 定慧幷修나 理事無礙의 사상적 토대 위에 제정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다양한 대중을 포용하기 위해 事懺과 理懺의 원리를 동시에 운용하고 있다.
        7,000원
        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oughout history, tableware has attained an important position in human culture, and historical eras are clearly reflected in the shape of tableware items, which are tied to the cultural background of foods. In particular,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foods within a food-culture, such as the means for cooking, storing, or eating, have impacted the usage and shape of tableware along with the food behaviors of individuals. Korea, China, and Japan have all played important roles in producing limitless amounts of high quality porcelain products and take pride in being leaders of the world's porcelain production industry. Based on their natural geographical proximity and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these three countries have long influenced one another not only in terms of technical concepts but also in improving quality within the tableware industry. Thus, by comparing Korea, China, and Japan's evolutionary interdependable variance with regard to their tableware, food-culture, and food-behavior, one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stream and cultural exchanges relevant to china and porcelain. Ultimate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ableware, the conclusions of this conceptual study offer researcher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tance of food-culture and contribute new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4,000원
        6.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recogn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about western table decoration. For the study, the documentary study would be accomplished. the range of time was during Renaissance, Baroque, Rococo, and Neo-classic period, and the range of space was among Italy, France, and England. Styles for example architectures, interior designs, arts, and sculptures represented their own period, and had great influences on eating habits, and the eating habits would be influent on kitchen utensils. As a results of the fact, the structural elements and decoration of table would b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iods of time. Today's food cultural trends consisted of consumption, taste, sense, and consumers' demands become diversified, so the paper would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new designs proper for our own modem sense that cope with modem feeling.
        5,200원
        9.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od created the havens and earth and god gave man every seed-bearing plant and every tree that has fruit with seed in it. These food is all vegetable food that don`t take diseases of adult people. But God gave Noah the green plants. Everything that lives and moves will be food for Noah. Just as God gave man the green plants. And then man must not eat meat (animal protein food) that has its lifeblood still in it and God must not eat fat in it. The fat contains much fat(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that have susceptibility to disease of coronary heart, hypertension and atheriosclerosis etc. God must not eat these fat before we don`t know that it have susceptibility to disease of adult peopl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