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expected that the temperature in Pyeongyang will be similar to that (16.6℃) in Seogwipo in the late 21st century, and most of South Korea will enter the subtropical climate due to climate change. Change in the precipitation pattern like the range of fluctu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will lead to expanded uncertainty in securing reliable water supply, along with a serious impact on demands for living and industrial water due to change in the volume and period of river outflow. As industrial water for production activities is estimated based on the contract quantity, it is difficult to apply rationalization of water usage and incentives in water recycling. Therefore many companies are making efforts in complying with the effluent standard while spending few resources on such rationalization and recycling. This study researched water risk management over 115 Korean companies by 28 questions in 4 categories. Through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ater risk management levels and seek response plans.
        5,500원
        2.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21세기 후반 평양의 기온이 현재의 서귀포 기온(16. 6℃)과 유사해지고, 남한의 대부분은 아열대 기후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 한 기후변화로 강수량의 변동 폭이 증가하는 등 강우패턴의 변화는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를 초래하고, 하천의 유출량과 시기변화로 생활 및 공업용 수의 수요 등에도 심각한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이 예상된다. 기업의 생산 활동에 이용 되는 공업용수는 계약수량으로 산정되고 있기 때문에, 물 사용의 합리화 및 재생이용 의 인센티브가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많은 기업은 배수기준을 엄수하는 것에 노력 하고 있지만, 물 사용의 합리화 및 재이용에 대해서는 그다지 자원을 투입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후 변화에 따른 우리기업들의 물 리스크 관리현황을 115 개 기업을 대상으로, 4개 카테고리, 28개 질문을 통하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 여 물 리스크 관리수준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4,600원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2012 OECD environmental report, Korea was ranked as the first country of water stress. Water footprint is a method to calculate water usage during the life cycle of a product from material procurement through production to disposal to recycle and to quantify the load to water resources. In water footprint calculation, water consumption unit is used. Agricultural water use is over 48% so it is urgent to mange that area Korea needs to spread the discussion about water footprint as quickly as possible, for the study to prevent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water shortage. This paper, through water footprint calculation and comparison in Chungju and Geochang areas, looks to counter measures for water risk, targeting domestically-produced apple.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