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3년 8월 진해만을 대상으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여 미량금속(As, Cd, Co, Cr, Cu, Fe, Hg, Mn, Pb, Zn)의 분포를 살펴보고,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미량금속의 평균농도는 As 11.1 mg/kg, Cd 0.52 mg/kg, Co 14.1 mg/kg, Cr 69.8 mg/kg, Cu 57.2 mg/kg, Fe 3.7 %, Hg 0.064 mg/kg, Mn 600 mg/kg, Pb 40.1 mg/kg, Zn 167.2 mg/kg 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미량금속 중 As, Co, Cr, Fe의 농도는 만 전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 Cd, Hg, Pb, Zn는 마산만을 포함한 진해만의 북쪽 해역, Cu는 진해만 남동쪽의 고현만, Mn은 거제도 북쪽과 마산만 남쪽을 잇는 만 동쪽방면의 외해로 열린 해역에서 국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각 미량금속의 공간적 분포, 퇴적물 입도 및 미량금속 간의 상관관계와 요인분석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봤을 때, Co, Cr, Fe는 퇴적물의 입도, Mn은 퇴적물의 산화환원 상태, 그리고 As, Cd, Cu, Hg, Pb, Zn은 만 주변의 오염활동으로 인한 미량금속 공급에 따라 분포가 지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량금속 중 As, Cd, Cr, Hg, Pb의 농도를 국내 해양 퇴적물 환경기준인 주의기준(TEL), 관리기준(PEL)과 비교 시, Cd, Hg, Pb의 농도가 만의 북쪽인 마산만 주변에서 주의기준을 초과하였다. 각 미량금속의 농축계수 및 농집지수를 계산한 결과, As, Cd, Cu, Hg, Mn, Pb, Zn가 일부 해역에서 인위적 오염을 보였다. 이 중 As, Mn, Zn은 우려할만한 수준의 오염을 보이진 않았으나, 마산만을 포함한 만 북쪽에서는 Cd, Hg, Pb, 만 남동쪽 가장 안쪽의 고현만에서는 Cu로 인한 오염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해당 원소의 농축에 대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연안에 서식하는 고래의 조직 내 미량금속 농도 잔류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동해안에서 혼획된 밍크고래의 간, 창자, 근육, 표피, 지방 내 미량금속(Cu, Cd, Pb, As, Zn, Hg) 농도를 측정하였다. 조직 내 Cu, Cd, Zn, Hg은 간에서 가장 높고 지방에서 가장 낮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As는 지방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근육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밍크고래의 조직 내 미량금속은 Zn > Cu > As > Pb > Hg > Cd의 순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른 미량금속은 수컷은 간과 표피에 Cu, As, Zn을, 암컷은 창자와 근육에 Cu와 Pb을 더 효율적으로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도에 있어서는 간의 경우 Cd, 근육은 Hg, 표피와 지방은 As와 Hg, 창자는 Cd, As, Hg이 성숙한 개체에서 미성숙한 개체보다 상당히 높은 농도를 보였다.
        4,000원
        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등의 금속은 해수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량금속이라고 하며 일부는 미량영양소로서 생명체의 생리활동에 필요하지만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는 독성을 나타낸다. 미량금속(중금속)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성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해수와 담수 등 자연수 중의 미량금속 측정은 정확도와 정밀도에 있어서 큰 오차를 가지고 있음이 장기간 인식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5년 이후 미량금속의 해수 중 농도가 과거에 인지된 농도의 1/10~1/1,000 정도로 낮아졌으며, 수직 분포는 생물, 물리, 지화학적인 과정들이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부분 미량금속에 대한 분석방법과 기기의 발전에 기인하며, 시료 채취, 보관 및 분석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해양환경 관린 조사 및 연구에서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서 시료의 채취, 보관, 분석에 대한 정착한 인식 및 이해 부족은 자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해양환경 연구 및 환경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수 중 미량금속의 정확한 자료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의 해양 심층수 자원 기반 환경 연구의 일부로 청결기술을 적용하여 해수 중의 용존 미량금속(Cd, Co, Cu, Ni, Pb, Zn) 농도 분포와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원과 경북 지역에 총 6개 정점을 선정하고, 각 지역마다 최대 채수 수심 각각 200-300m와 500m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본 연구의 미량금속을 위한 연안해수 표준물질(CASS-4)의 분석 결과 각 원소 평균 회수율은 Co의 89.4%에서 Cd의 99.8%의 범위였다. 용존 미량원소의 분포는 해역 및 시기적인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Cd, Ni, Zn의 경우는 영양염 의존형으로 표층에서 낮고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Co, Cu, Pb은 수직적으로 불규칙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동해 심층수 원수의 중금속 농도는 해역별 수질 기준과 먹는 물 기준을 만족하였다.
        4,000원
        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pulation of river otter (Lutra lutra) has been declined most of the world due to hunting, habitat destruction and indirect or direct influences of eutrophication, acidification and toxic chemicals.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pulation
        4,000원
        8.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산 주변 경작지의 일부 농산물에 대해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폐광산에 의한 오염방지 및 사후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남 지역에 분포한 광산지역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주변 경작지에서 7종의 농산물 (상치, 양파, 감자, 무, 고추, 호박, 콩) 28건에 대해 미량금속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수은의 경우 대부분의 검체에서 불검출이었으며, 일부 농산물에서 0.01 ppm이하의 정도로 검출되었다. 비소는 28건의 시료 중 8건에서 0.012 ~ 0.029 ppm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시료는 불검출이었다. 납은 양파를 제외한 다른 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고, 함유량은 N. D. ~ 0.114 ppm 있었으며, 카드뮴은 거의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N.D. ~ 0.124 ppm), 수은, 비소, 납, 카드뮴 등의 함유량은 오염된 수준이 아닌 자연 함유량 수준으로 판단된다. 구리의 경우 두류인 콩에서 3.070 ~ 7.825 ppm으로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광산 지역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망간은 상치 (3.688 ~ 23.935ppm)가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아연의 경우 콩과 상치에서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다.
        4,000원
        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금속 광산 주변 경작지의 농산물에 대해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폐광산에 의한 오염방지 및 사후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남지역에 분포한 광산지역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주변 경작지에서 7종의 농산물(상치. 양파, 감자, 무, 고추. 호박, 콩) 28건에 대해 미량금속 함유량을 조사하였으며 광산 지역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수은의 경우, 대부분의 검체에서 불검출이었으며, 일부 농산물에서 0.01 ppm이하의 양이 검출되었다. 비소는 28건의 시료중 7건에서 0.011∼0.038 ppm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시료는 거의 불검출이었다. 납은 미량이지만 모든 검체에서 다양하게 검출되었고. 함유량은 N.D.∼0.176 ppm이었으며, 카드뮴은 거의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N.D.∼0.101 ppm). 수은, 비소. 납, 카드뮴 등의 함유량은 오염된 수준이 아닌 자연 함유량 수준으로 판단된다. 구리의 경우 두류인 콩에서 4.356∼10.624ppm으로 타시료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광산 지역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망간은 상치 (4.332∼24.385 ppm)가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아연의 경우 콩과 상치, 고추에서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다.
        4,000원
        1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주광역시에서 생산·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총 80개 품목(양파, 파, 마늘, 상치. 배추, 고추, 시금치. 무, 배, 복숭아)을 구입하여 중금속 및 미량금속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은은 모든 검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소는 0.001 ppm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카드뮴과 납의 경우 각각 N.D.∼0.088 ppm과 N.D.∼0.096 ppm으로 검출되어 자연 함유량 수준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의 생육에 필수 원소로 작용하는 구리, 망간과 아연의 함유량은 0.109∼l.072 ppm, 0.829∼6.195 ppm, 0.731∼6.176 ppm으로 검출되었다.
        4,000원
        1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ace metals in Korean foods, the contents of Magnesium, Zinc, Manganese, Molybdenum and Selenium are studied in this paper. As show in the Table 1; a total of 250 samples of 25 species were analyzed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ranges and mean (mg/100 g) were; Mg, 12.212-151.346 (55.164); Zn, 0.045-38.180 (2.473); Mn, 0.003-0.796 (0.225); Mo, ND-0.035 (0.007); Se, ND-0.069 (0.016). 2. The levels of all metals except Mo in shell fishes were high and the level of Mo in spices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foods. 3. The levels of Zn and Mo in oyster were higher than another spcies.
        4,000원
        1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grasp status of trace metals contained and corelation analysis between cereal and soils, the samples which have been collected from four myeons in Ulju-ku Ulsan-city were 48 for cereal and 48 for soils. The average Hg containing level' of samples is 0.006 ppm for cereal and 0.062 ppm for soil, Pb is 0.302 ppm for cereal and 1.137 ppm for soil, Cd is 0.012 ppm for cereal and 0.027 ppm for soil, Cu is 2.01 ppm for cereal and 0.885 ppm for soil, and Zn is 7.853 ppm for cereal and 2.366 ppm for soil. Corelation analysis between cereal and soil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Hg, Pb and Cu, but it didn't show any significance for Cd and Zn.
        4,000원
        1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drace 돈 내장 척출물인 대장, 소장, 심장, 신장, 간장 및 위장관을 공시료로 하여 미량중금속 물질인 구리(Cu), 아연(Zn), 망간(Mn), 카드뮴(Cd) 및 납(Pb) 윈소를 ICP분석법으로 잔류분석하면, 중탕가 열처리, 가압가열처리 및 팬 유적가열처리에 따른 중량손실과 중금속 잔류량의 변화를 분석 고찰하였다.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중량 손실율은 중탕가열처리, 가압가열처리 및 팬 유적가열처리에 의하여 각각 23.11∼34.53%, 18.48∼28.00%, 14.20∼25.22%범위였으며, 부위별 중량손실율은 심장부위가 크고 간장부위가 낮게 나타내었다. 신선시료중 미량중금속 잔류총량은 대장, 소장, 심장, 신장, 간장 및 위장부위에서 11.298±5.302ppm, 27.325±8.179ppm, 16.756±6.334ppm, 21.107±6.057ppm, 25.369±10.164ppm, 12.611±5.513 ppm으로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중금속 총 잔류량 변화는 중탕가열처리구에서 4.16∼32.57%, 가압가열처리에서 12.01∼28.09%, 팬유적가열처리구에서 9.60∼25.76%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납원소는 평균 21.76%, 구리, 아연, 망간, 카드뮴원소는 18.00∼18.61%범위로 감소되었다. 내장근 시료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P>0.05)가열처리방법간에 있어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4,000원
        1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lluting gases emitted from industrial sites take compound forms consisting of gaseous and particulate phases. Localization of PTFE membrane filters has thus been initiated to remove particulate materials and mercury, which is a heavy and hazardous metallic element. More specifically, a PTFE membrane filter was fabricated by thermal laminating technology to vary porosity on the filter surface for removal of particulate materials thereon. Optimized equi-biaxial stretching ratio control enables minimization of large-size pore formation with an average pore size of 0.58 μm and improved air permeability of 8.03 cm3/cm2/sec. Various adsorbents were tested for removal of mercury vapor by surface treatment of the PTFE membrane filter. The filter’s surface was further altered using functional amine group compounds: one composed of silane coupling agent (APTMS) was found suitable as a mercury adsorbent. When ACF with a large surface area was used as support material, mercury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threefold to 0.162 mg/g-ACF. Furthermore, the developed PTFE membrane filter was tested in its capacity of differential pressure and filtering efficiency using a pilot scale particulate removal unit. Stable and consistent differential pressure was maintained during long-term operation and less frequent periods of filter shutdown due to pores filling with 99.96% of particulate removal efficiency, which was more than satisfactory filtration efficiency.
        1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지하수에 생존하는 황산염환원미생물인 바쿨라템을 이용하여 용존된 우라늄을 제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용존 우라늄의 초기 농도는 50μM로 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총 15일 실험기간 내 용존된 우라늄은 본 연구에서 이용한 바쿨라텀과의 반응을 통하여 대부분 제거되었다. 미생물학적 반응을 통한 우라늄 제거과정에 미량 중금속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망간, 구리, 니켈, 그리고 코발트 성분을 각각 200μM씩 반응용액에 첨가하여 우라늄 제거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중금속 성분들은 미생물의 우라늄 제거 속도와 양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구리는 상당기간 미생물의 활동을 제약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5일 이상의 반응기간을 거치면서 구리에 대한 미생물적 내성이 발현되어 남아 있던 우라늄이 나중에 제거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미량의 니켈과 코발트는 생물기원의 맥카나와이트 생성 및 성장과 함께 공침하여 저감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17.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ine trace metals (Zn, Fe, Al, Pb, Mn, Cu, Ni, Cr, and Cd) and S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organs and tissues(muscle, bone, kidney, liver and skin) of the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llected at Daejeo-dong, Pusan city and the Sorak Mt., Kangwon Province. All the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from all the mice examined. As for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mice from Daejeo-dong, Zn, Fe, Al, Mn, Ni and C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Sorak Mt.(p<0.05), suggesting that pesticides including Zn and factory wastes containing several metals might contaminated the environment of Daejeo-dong. As regards the element concentrations in each organ and tissue, Fe, Al, Pb, Mn, Cu, Cr and Cd concentrations were high in liver or kidney; Zn in skin and bone; Ni in bone, skin and kidney; and Se in muscle, liver and skin in all the mice examin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juveniles and adults in average concentration of metals(Zn, Fe, Pb, Mn, Ni, and Cd) in every organs and tissues of mice collected at Daejeo-dong. Much higher average levels of metals in juveniles indicate that considerable burdens of metals might be transferred through the placenta.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between young and old adults in average metal concentrations, which suggests that the mice might accumulate the metals during their life time, although they might excrete the metals not only through reproductive activities, such as parturition, lactation and ejaculation of semen, but also through molting, judging from higher accumulating ratios of most metals in skin of adults than of juven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