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고지방 및 고 콜레스테롤식이(HD)를 먹인 rat에서의 저지질혈증 및 항염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카제인과 유당(cMRP) 그리고 락토바실러스 fermentum H9 (FcMRP)에 의해 발효된 cMRP에 의해 반응된 마일라드 반응 생성물의 효과를 조사했다. HD 식이를 실시한 rat은 정상적인 식이를 먹인 rat과 비교했을 때, 간의 트리글리세리드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HD 그룹에 비해서 Simvastatin, L. fermentum H9(H9), cMRP, FcMRP의 처리기간의 총 트리글리세리드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학적 분석에서 cMRP, F-cMRP 및 H9-를 먹인 rat에서 간과 대동맥 조직의 지질 축적이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F-cMRP와 cMRP는 HD 그룹에서 내중막 두께를 감소시켰다. 게다가 H9, Cmrp, F-cMRP 처리는 ICAM-1 및 VCAM-1의 발현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지만, MCP-1의 발현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했다. 특히, ICAM-1과 VCAM-1의 발현은 HD 그룹에 비해 F-cMRP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이 연구 결과는 낙농 식품의 cMRP와 F-cMRP가 심혈관계 질환, 특히 죽상 동맥 경화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2.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성폐기물 내 존재하는 질소를 회수하여 재이용 또는 재활용 하기 위하여 암모니아탈기 방법을 이용한 질소회수 효율 확보 방안을 연구하였다. 고농도 암모니아 함유 폐수에서(매립장 침출수, 식품폐수, 축산폐수 등) 목적으로 암모니아회수를 위한 탈기 기술 개발사례가 있으며 주로 탈기효율을 높임으로서 동력비용을 절감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암모니아 탈기 운영에서 60%이상을 차지하는 pH조절용 약품비용 절감을 위한 기술이 보급되어야 실질적인 상용화 및 보급이 활발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암모니아 탈기 시 소요되는 공기는 입자성오염원이 존재할 경우 산소전달의 방해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고액분리 전・후를 비교 평가하여 이에 따른 탈기 효율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또한 pH에 따른 적정 NH3 /NH4 비율을 선정하여 pH조정용 약품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확보 하였다. 탈기 시 온도가 20℃일 때 소요되는 이론적 공기량은 2,400 L-air/L-water이나 70℃일 때는 이보다 약 10배 감소한 262 L-air/L-water 나타낸다. 이에 온도조건 변화를 통해 탈기 공정에서 대부분의 동력비를 소모하는 공기 주입량 절감을 위한 최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3.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폐기물 정책 및 처리방법이 변화됨에 따라 매립지로 반입되는 폐기물들의 유기물함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매립장내 수분이 낮아져 매립지가 안정화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매립장의 조기 안정화를 위하여 최근 국내에서는 매립지내 침출수 재순환에 관한 법제화가 이뤄졌다. 한편, 하수슬러지를 고형연료로 생산하기 위하여 수열탄화(Hydrothermal carbonization)공정을 도입시, 해당 공정에서 배출되는 고액분리된 액체생성물 발생량은 투입폐기물량의 80% 정도로 반드시 적정처리 또는 재활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립장의 조기안정화를 목표로 수열탄화액이 매립장 순환수로써 활용가능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되는 폐기물 조성을 반영한 폐기물과 수열탄화액 등을 serum bottle에 넣고 35℃ 항온 및 혐기적 조건에서 지속적으로 가스발생량 및 가스 조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수열탄화 반응후 고액분리된 액체생성물은 기존의 침출수 주입효과와 비교할 때 보다 우수한 메탄가스 발생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암모니아 탈기 후의 수열탄화액은 탈기과정에서 투입된 Na+의 영향으로 순환수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낮은 바이오가스 및 메탄가스 발생량 등을 나타내 폐기물 분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