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PLC-MS/MS를 이용하여 벌꿀의 동물용의약품 동시분석을 위한 분석법을 정립하고자 식품공전 중 벌꿀에 규격이 설정된 11종의 동물용의약품을 2개 그룹 Group 1 (streptomycine, dihydrostreptomycine, neomycine)과 Group 2 (oxytetracycline, enrofloxacin, ciprofloxacin, cymiazole, chloramphenicol, amitraz, coumaphos, fluvalinate)으로 나눠서 동시에 분석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두 그룹모두 RT는 15분 이내였고, 검출한계는 0.0056~0.0643 μg/g, 정량한계는 0.0169~0.1948 μg/g으로 나타났으며 Group 1 (0.05~1.0 μg/g의 농도범위)과 Group 2 (0.01~1.0 μg/mL) 의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각 동물용의약품의 직선상관계수(R2)는 0.9917~0.9987, 0.9923~1.000으로 매우 양호한 상태를 보였고, 최종 농도가 0.25 μg/g, 1.0 μg/g에서의 회수율은 Group 1 65.1~80.6%, Group 2 64.2~90.3%를 나타났다, 또한 area 및 RT 에 대한 inter (n = 3), intra day (n = 6) RSD (%) 분석결과는 area는 10.92%이하, RT은 1.57% 이하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을 보여 벌꿀 중 동물용의약품동시분석 방법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벌꿀이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산 벌꿀인 밤꿀, 잡화, 아카시아, 재래종 벌꿀과 외국산 벌꿀인 마누카, 클로버, 캐놀라 벌꿀 그리고 인공벌꿀을 각각 12.5%, 25.0%, 50% 의 희석액으로 조제하여 catalase 무첨가 또는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 벌꿀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agar well diffusion assay로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talase 무첨가의 경우 12.5%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밤꿀이, 25.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 꿀> 밤꿀 > 잡화꿀 > 재래종꿀 > 클로버 꿀 > 아카시아꿀이 , 50.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 > 캐롤라꿀 > 재래종 꿀 > 잡화꿀 > 클로버꿀 > 아카시아 꿀 순으로 항균활성이 인정되었다 (p >0.01). Catalase 무첨가의 경우 12.5%, 25.0%, 50.0%로 희석한 벌꿀의 생육억제환은 각각 5.85 ~ 6.60 mm, 4.26 ~ 8.27 mm, 5.24 ~ 11.49 mm 범위였다. Catalase 첨가의 경우 12.5%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25.0% 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이 밤꿀보다 항균활성이 더 높게 나타냈다 (p > 0.01). 50.0% 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 > 클로버꿀 > 캐로라꿀 > 재래종꿀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마누카꿀, 밤꿀, 클로버꿀, 캐롤라꿀, 재래종 꿀 사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 > 0.01). Catalase 첨가의 경우 12.5 %, 25.0 %, 50.0 %로 희석한 벌꿀의 생육억제환은 각각 5.89 mm, 5.01 ~ 6.84 mm, 3.10 ~ 8.28 mm 범위였다.
        4,000원
        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벌꿀이 흰쥐(Sprague Dawley, ♂)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설탕, 아카시아, 붉나무 그리고 잡화벌꿀을 각각 10%와 20%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7주간 섭취 한 수 벌꿀의 효과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LDH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아카시아꿀, 붉나무꿀, 잡화꿀용액 섭취군에서 증가하였다. α-HBDH활성은 설탕용액, 아카시아꿀, 붉나무꿀, 잡화꿀용액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벌꿀 섭취군 중 20% 아카시아꿀 용액만 GOT, GPT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ICD 활성은 붉나무꿀 용액에서 증가하였으나 아카시아 및 잡화꿀 용액에서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벌꿀용액 섭취는 PHI, 전혈 G-6-P DH 활성을 감소시켰으나, aldolase역가를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4,000원
        4.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벌꿀이 흰쥐(Sprague Dawley, ♂)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고과당 식이와 함께 설탕, 아카시아, 붉나무 그리고 잡화벌꿀을 각각 10%와 20%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7주간 섭취케 한 후 벌꿀의 효과를 비교한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과당 식이와 함께 벌꿀의 섭취는 대조군에 비하여 식이효율을 증가시켰다. 벌꿀섭취군이 정상군과 대조군보다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고과당식이와 함께 10% 붉나무꿀을 섭취한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증가율은 57.0%였고, VLDL, LDL-콜레스테롤 감소율은 48.36% 이었다. 혈청중 인지질 함량은 고과당식이를 한 대조군에 비하여 20% 아카시아꿀과 10% 잡화꿀 섭취군에서 증가되었다. 혈청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대조군보다 벌꿀 섭취군이 감소하였으나 아카시아꿀에서 증가되었고, triglyceride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벌꿀섭취는 간장의 중성지질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인지질 함량은 감소되었다.
        4,300원
        5.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벌꿀이 흰쥐(Sprague-Dawley, ♂)의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설탕, 아카시아, 붉나무 그리고 잡화벌꿀을 각각 10%와 20%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7주간 투여한 후 벌꿀의 효과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벌꿀식이에 의한 혈액 중 glucose함량은 증가되었으나 붉나무꿀 용액에서만 예외적으로 낮았다. 벌꿀식이군은 정상식이군, 대조군, 설탕식이군 보다 혈청중 fructosamine 함량을 증가시켰고 그 순서는 설탕용액<붉나무꿀<잡화꿀<아카시아꿀 순으로 증가되었다. 정상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설탕식이군과 벌꿀식이군의 pyruvate, lactate 함량을 감소시켰다. 정상군과 대조군보다 설탕식이군과 벌꿀식이군에서 혈청중 β-hydroxybutyrate 함량이 증가하였다.
        4,300원
        6.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ortable quality evaluation system of bee-honey by near infrared spectroscopic technique. Two kinds of bee-honeys from acacia and polyflower sources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system consists of power supply, tungsten-halogen lamp, detector, and optical fiber prob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laboratory spectrophotometer. Total of 346 spectra was divided into a calibration set and a prediction set. The PLS (Partial Least Squares)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 the quality parameters of bee-honeys. Reflectance spectra, moisture contents, ash, invert sugar, sucrose, F/G ratio, HMF(hydroxy methyl furfural), and ratio of honeys were measured. The PLS models of the laboratory spectrophotometer showed good relationships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quality parameters of honeys in the wavelength range of 1.100~2.200 nm. The PLS analysis of the portable quality evaluation system showed good relationships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quality parameters of honeys in the wavelength range of 1.100~1.300 nm and 1.400~1.700 nm. The results showed the feasibility of the portable quality evaluation system to determine the quality parameters of bee-honey in the field during harvesting.
        7.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벌꿀의 내포되어 있을 수 있는 미생물의 포자의 제균에 관한 연구로 선행연구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을 분석하였으며, 벌꿀 음료 제조 후 유통 중에 문제시 되어지고 있는 내열호산성균의 제균에 관한 연구결과이다. 분석을 위한 내열호산성균 실험법은 진공감압기를 이용하여 micro filter를 이용한 막분리 배양법을 이용하였다. 미생물 실험 결과 일반세균, 대장균군,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은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8.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효모 Sacch sake, Sacch. bayanus 그리고 누룩을 이용하여 벌꿀주를 제조하고 그 발효특성 및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벌꿀 희석액의 알코올발효에는 Sacch sake와 누룩의 혼합첨가 그리고 Sacch. bayanus와 누룩의 혼합첨가에 의한 벌꿀 발효주가 효모 단독균주를 이용하는 것보다 발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생성량도 높게 나타났다. 효모와 누룩 혼합첨가구의 경우 발효중 환원당은 급속히 감소하고 알코올 함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