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잎선충(線蟲) 방제(防除)를 위(爲)한 볍씨의 온탕침적조건(溫湯浸績條件), 벼품종간(品種間)의 저항성(抵抗性) 정도(程度), 피해경율(被害莖率)과 수량감소(收量減少) 정도(程度) 등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볍씨 온탕침법(溫湯浸法)에 의(依)한 선충(線蟲) 방제효과(防除效果)는 에서 10-15분간(分間) 처리(處理)하였을때 가장 좋았다. 벼잎선충(線蟲)에 대한 품종간(品種間)의 피해경율(被害莖率)은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의 경우 White tip 증상(症狀)이 나타나지 않았고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들은 대부분 White tip 증상(症狀)이 잘 나타났는데 그 중(中)에서도 오태(五台)벼와 부광벼는 각각(各各) 95.6%, 81.8%의 높은 피해경율(被害脛率)을 보였다. 그러나 볍씨내 선충밀도(線蟲密度)에 있어서는 통일형(統一型),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 모두 벼 10g당 100마리 이상(以上) 검출되었다. White tip 증상(症狀)이 나타나지 않았던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들도 선충(線蟲) 접종구(接種區)에서는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가 감소(減少)되는 품종(品種)이 많았고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에서는 피해경율(被害莖率)이 높았던 오태(五台)벼와 부광벼는 40% 가까운 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을 보였으며 전체적(全體的)으로 통일형(統一型) 보다는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에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량(收量)의 감수정도(減收程度)가 높게 나타났다.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 중(中) 영덕(盈德)5호(號)는 접종구(接種區)에서 White tip 증상(症狀)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수량(收量)도 감소(減少)되지 않아 벼잎선충(線蟲)에 대하여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으로 생각된다.
        4,000원
        2.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5년부터 3개년에 걸쳐서 전국 387개 시.읍.면의 1, 160개 논에서 벼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논에서 벼와 관련된 선충은 35종이 밝혀졌으며 본 조사로 26종이 새로이 추가되었고 세계적으로는 Criconemoides informis, Criconemella paragoodeyi, Criconema (Criconema) jaejuense, Ditylenchus longicauda, Eutylenchus africanus, Merlinius n. sp., Meiodorus n. sp., Ogma (Homogma) serrata, Ogma (Homogma) insulicum, Orientylus orientalis, Paratylenehus lepidus, Pararotylenchus Pini, Triνersus n. sp., Tylenchorhynchus claνicaudatus, Tylench-orhynchus nudus등 15종이 벼기생선충으로 새로이 기록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Criconemella paragoodeyi, Ditylenchus longicauda 및 Merlinius n. sp. 등은 전국적으로 분포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밀도 또한 높으므로 벼의 중요한 기생선충으로 사료된다. 벼뿌리선충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밀도 또한 높았고, 애벼뿌리선충은 남부지방에서는 벼뿌리선충과 같이 분포되고 있으나 북부지방으로 갈수록 점차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