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는 가장 문제가 되는 주요해충이다. 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를 입은 농가는 표고버섯의 생산뿐만 아니라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져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국내 표고버섯 재배양식은 크게 원목과 톱밥배지에 의한 방법으로 나뉘는데 재배양식의 차이 및 지역 간 주요 피해원인이 되는 버섯파리의 종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봄부터가을까지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의 주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를 채집하였다. 채집은 황색 끈끈이트랩(참고,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였고 버섯파리의 종 동정은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버섯파리류의 다양한종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원목을 이용하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는 Bradysia difformis, B. alpicola가우점종인것으로 나타났고, 톱밥배지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B. difformi와 Scatopsidae sp.의종이 다량 동정되었다. 그 외에도 B. trispinifera, B.longimentura, B. chlorocornea, B. protohilaris 및Lycoriella ingenua가 동정되었다.
        4,000원
        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애완용곤충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외국 산 애완용 곤충의 수입가능성이 증대하여 차후 외국산 애완용곤충의 수입허용 등 여건 변화 시 즉각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관련 정보의 확보를 위해 2011년부 터 2012년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에서 애완용곤충의 DNA바코드 연 구를 실시하였다. 사슴벌레과 및 장수풍뎅이과를 중심으로 주요 외국산 애완용 곤충을 선정하여 분류 및 생태 정보, DNA 바코드 정보 등 관련 생물정보를 확보하고 주요 외국산 애 완용 곤충의 분류 동정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2년 동안 외국산 사슴벌 레과 63종 443개체, 한국산 사슴벌레과 7종 23개체, 외국산 장수풍뎅이과 24종 205개체, 한국산 장수풍뎅이과 1종 3개체의 DNA 바코드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이번연구를 통해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검역현장 및 특사경 단속 시 정확한 분 류동정 업무 수행과 차후 수입허용을 위한 위험분석 시 활용이 기대된다.
        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슴벌레과(Lucanidae)는 딱정벌레목(Coleoptera)의 풍뎅이상과(Scarabaeoidea)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약 1,000여 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17종이 서식하고 있다(백문기 등, 2010). 사슴벌레의 가장 큰 특징은 잘 발달된 큰 턱으로 그 생김새가 매우 다양하고 특이하여, 애완용 곤충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있다. 최근 외국의 애완용 사슴벌레류에 대한 관심과 국내반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살아있는 곤충의 수입은 식물방역법에 따라 금지되어 있으므로 검역과정에서 지속적인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성충이 아닌 알 또는 유충은 분류동정이 힘들기 때문에 단속시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이에 외국산 애완용 사슴벌레류의 신속하고 정확한 분류동정을 위하여 mtDNA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분류 동정 방법을 구축하고자 2011년부터 DNA barcode를 활용하여 외국산 애완용 사슴벌레류의 연구를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외국산 41종 318개체, 국내산 7종 23개체의 분석을 완료하였다.
        4.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obtain novel genes related to the human craniofacial development, molecular cloning and sequencing, and in situ hybridization using craniofacial tissue sections were performed and followed by protein structure simulation. Totally 231 clones were obtained from the subtracted craniofacial tissue cDNA library of human embryo. Random cloning using the non-redundant clones from the craniofacial tissue of human embryo was done and obtained 398 clones from the premade human chondrocyte cDNA library. Their partial sequence data showed that 214 clones of subtracted cDNA library of craniofacial tissue were still non-redundant in Genebank search. And 20 clones among 498 clones of premade chondrocyte cDNA library were known to be undefined genes. Through in situ hybridization screening in the craniofacial tissue sections of 10 weeks old human embryo 36 clones were found to be positive in specific tissues. Depending on the cell types of sirnilar developmental origin, the positive reactions could be divided into five groups. Among the 20 clones of undefined genes from human chondrocyte cDNA library, 7 clones showed characteristic positive reaction in human cartilage tissue by in situ hybridization. From the simulated protein structure, motif analysis and in situ hybridization studies for the 7 undefined clones, Ch89, Ch96, Ch129, Ch285 clones may function in the outer space of the cell constituting a part of matrix protein complex, and Ch276 as a transmembrane protein which might partic ipate in matrix calcification around chondrocytes. Ch153 is a kind of antirnicrobial protein also acting as an inflammation mediator, and Ch334 clone is a zinc finger protein, of which expression increases in human adult tissues We presume these novel genes from human chondrocytes may provide a new path of chondrocyte development and functions of human craniofacial tissues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