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항 항내 수역면적은 83km2로 전국 주요 항만의 평균인 127.5km2 대비 65 % 수준인 반면 연간 선박의 입항척수는 25,432척으로 통항량이 많으나 동시 묘박 가능한 수용능력은 35여척에 불과함에 따라 항만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박지 수역 확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상정박지 개념을 도입하여 미포항 항계 내에 최적의 비상정박지 위치 선정을 위해 해상교통관측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정박지 예상 해역에서의 선박 진출입안전성, 통항 안전성, 정박 안전성 및 안전관리 측면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이용자, 안전관리기관 및 학계 전문가 그룹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기본 예비안과 최종 예비안을 도출한 후 이해 당사자 간 협의를 통해 최적 배치안을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해상교통시스템 및 선박조종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4,000원
        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항 항내 수역면적은 83km2로 전국 주요 항만의 평균인 127.5km2 대비 65% 수준인 반면 연간 선박의 입항척수는 25,432척으 로 통항량이 많으나 동시 정박능력은 35여척에 불과함에 따라 항만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박지 수역 확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 는 비상정박지 개념을 도입하여 미포항 항계 내에 최적의 비상정박지 위치 선정을 위해 해상교통관측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정박지 예상 해역 에서의 선박의 진출입안전성, 통항안전성, 정박안전성 및 안전관리 측면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이용자, 안전관리기관 및 학계 전문가 그룹 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기본 예비안과 최종 예비안을 도출한 후 이해당사간 협의를 통해 최적 배치안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부족한 울산항 정박지 해소를 위해 이해당사자간 원만한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최적안을 도출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향후 진단 업무와 관련하여 이 해당사자간 마찰로 인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시 좋은 모범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3.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주요 무역항들은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입 출항하는 선박이 점점 증가 추세에 있는 반면 해당 항만에 설정되어 있 는 정박지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박지 부족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최우선적 방법은 정박지 확충이겠지만, 항만 주변 수역의 지리 적인 특성상 정박지 지정 조건을 충족하는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정박지 지정 조건 을 다소 충족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양호한 기상 조건 하에서 단시간 내에 정박이 가능토록 비상(예비) 정박지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정 박지 부족 문제에 대한 해소 및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비상정박지 도입은 단순한 정박지 부족에 대한 해소는 물론 수역시설의 이 용 극대화, 유류비 증가에 따른 해운 선사의 경영 효율화 및 항만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