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백제 사비시대 부여와 익산의 왕실사찰인 정림사지, 제석사지, 그리고 미륵사 지에서 출토된 3점의 塑像에 대한 분석을 통해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백제 미술의 對中交 流 양상을 고찰했다. 구체적으로는 3인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세속 인물상의 자세 및 의복, 그리고 두 보살상의 두발 표현 등을 중국 남북조시대 및 隋唐代 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3인상의 경우, 남북조의 출행도 및 예불도와 유사성이 지적된 바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 연구가 남북조시대 출행도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차이를 간과했음에 주목했다. 3 인의 자세, 인물 구성, 侍者의 성별과 역할, 그리고 폐슬과 소매가 넓은 포복의 형태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실마리로 백제 3인상이 북조가 아닌 남조 문화와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무왕이 건립했다고 전하는 제석사지와 미륵사지에서 발견된 두 점의 보살상 頭部에는 連 弧形 髮際線이 출현한다. 연호형 발제선은 중국에서는 이미 4~5세기부터 출현했지만, 중국 전역으로 보급된 것은 대략 6세기 말부터이며, 그 연원은 장안양식과 관련이 있다. 연호형 발 제선은 삼국에서는 7세기에 비로소 등장하며, 이후 통일기 신라에서 유행한다. 그러므로 백제의 두 사찰 출토 소상에서 출현하는 연호형 발제선은 6세기 말부터 백제가 행한 적극적인 수 당 교류의 결과이자, 백제 미술에 미친 수당대 장안양식의 한 사례로서 주목할 만하다.
        7,000원
        6.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inese character carved on the monument at Moo Jang Temple(무장사, 藏寺) bear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calligraphic specimen of Wang Hee Ji(왕희지, 王羲之) the famous Chinese calligrapher. This has led many to believe that these characters on the monument are an assembly of Wang's calligraphic writings culled from one place to another. However, when considering how proportionally and harmoniously those characters are arrayed and how homogeneous they look in size and heavy stroke style, one may find it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y are merely a collection of Wang's calligraphic works selected and pieced together carefully. According to my own inquiry, numerous experts of the field in the past, including Kim Jung Hee (김정희, 金正喜) and Hong Yang Ho(홍양호, 洪良浩), have recorded that those characters in question are the work of Kim Yook Jin(김육진, 金育珍), a calligrapher during the Silla Dynasty. I would also propose that what we see in the monument are not the work of Wang Hee Ji but the work of Kim Yook Jin who, with Wang Hee Ji as his primary model, had mastered the art of calligraphy to the highest possible level. If this is true, what we see in the monument is a great calligraphic work produced by an individual who had accomplished such an artistic achievement that is comparable with that of Wang Hee Ji. Kim Yook Jin's new dexterity was such that even the experts in the field could be mistaken his work for that of Wang's. If this claim here turns out to be valid, it is likely that we are witnessing a fresh new mane added to the list of the Korea's greatest calligraphers. Fu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is addition is that it will shed light on some unexplored chapter in the calligraphical history of Silla Dynasty which includes a handful of calligraphers only such as Kim Sang(김생, 金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