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주요 흐름인 ‘발전과 진화’의 방향성에서 한발 물러나, ‘지우는’ 경험과 그 감성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한 키워드인 지우는 경험에 대 한 통합적 문헌조사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맥락 질문법을 진 행하였다. 맥락 질문법의 경우, 아날로그적인 연필-지우개 사용맥락, 디지털의 대표적인 맥락인 컴퓨터-키보드 사용맥락, 마지막으로 최근 활발한 활용을 보이는 Tablet PC 사용맥락에 따른 사용자들을 모집한 후, 각각의 사 용맥락에 대한 In-depth한 정성적 인터뷰 및 정량적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우는 맥락에서는 특 정 내용을 잘 지워내는 상황적 효용뿐만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도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 공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에서 진행된 탐험적 시도 및 실증적 결과들은 향후 연구들에 대한 학술 적 접근과 함께 실용적 관점에서의 디자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규범 문법에서 격조사와 보조사로 논의되어 왔던 ‘이/가’, ‘을/를’, ‘은/는’은 문장문법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화용적 양상을 보이며 담화 구성에 관여하는 맥락적 요소에 의해 운용이 결정되기도 한다. 문장은 생성 단계에서부터 발화를 목적으로 하며 고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담화를 구성하는 단위로서 의도와 목표를 지닌다. 의사소통에 있어 화자는 자신의 의도 즉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문법적 장치를 사용하는데 화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문법적 장치는 통사적 층위를 넘어선 발화조직 층위에서 그 운용이 결정된다고 본다. 규범 문법에서 통사적 구성체로 다루어졌던 ‘이/가’, ‘을/를’, ‘은/는’은 통사 층위뿐만 아니라 발화 조직 층위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담화적 구성체이다. ‘이/가’, ‘을/를’, ‘은/는’은 화맥, 화․청자와의 관계, 의식, 전제, 함축 등의 맥락적 요소와 문장의 정보구조에 의해 사용이 결정된다. 따라서 조사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위해서는 조사의 사용 맥락이 규명되어야 하며 조사 교육에 있어 조사의 사용 맥락이 교수되어야 한다고 본다.
        6,900원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CI 분야에서 사용성은 시스템의 객관적인 사용성에 초점을 둔 것에서 점차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확장,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사용한다. 휴대전화와 같이 인간과의 상호작용 빈도가 높은 인터페이스에서 보다 긍정적인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을 유발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을 표현하는 인터페이스가 인간에게 보다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유발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감정을 표현하는 인간 목소리를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전화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제작한 후, 감정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기계음을 통해 청각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전화 조건과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조건에서 사용자들이 보다 더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느끼는지, 어떠한 조건을 더 선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참가자들은 4가지 종류의 휴대전화 프로토타입(청각적 피드백이 없는 무음 조건,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시하는 조건, 기계음을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시하는 조건, 기계음과 사람의 목소리를 모두 제공하는 혼합음 조건)을 경험한 후, 그에 대한 경험적 사용성(재미, 흥미, 불쾌감), 유희적 측면(HQ) 그리고 선호도를 평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은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정서를 표현하는 조건의 휴대전화에 대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휴대전화나 기계음을 통해 청각적 피드백을 제시하는 휴대전화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각적 재미와 유희(HQ)를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선호도는 다른 조건에 비해 낮은 수준의 평정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