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ehavior and acoustic backscattering of the large jellyfish Nemopliema nomurai using hydroacoustics in situ. N. nomurai was distributed at depths ranging from 10~15 m during the day. Regarding the behavior of N. nomurai,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depth, and 3D tortuosity was not high. The vertical direction was ±10° from the horizontal, and moving speed was 0.9~1.5 m s–1.With regard to hydro–acoustical characteristics, the mean TS of N. nomurai ranged from –69.6~–56.0 dB at 38 kHz and –69.4~–54.5 dB at 120 kHz. TS variation (Max TS–Min TS) at 38 and 120 kHz was 0~10.2 dB and 0.2~16.0 dB, respectively. Mean TS and TS variation (Max TS–Min TS) of N. nomurai were higher at 120 kHz than at 38 kHz.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hydroacoustics was effective in estimating the distribution depth, behavior,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4,000원
        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Stal))는 노린재목(Hemiptera) 노린재과 (Pentatomidae)의 곤충으로서 감귤을 비롯해 감, 복숭아등 과수와 콩과식물을 가 해하는 작물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썩덩나무노린재 방제약제선발, 유 인물질 연구 등에 이용하고자 실내 개체군을 수립하였으며 산란행동을 구명하였 다. 2009년 10월~11월 제주시 유기농 감귤원에서 채집한 약 20마리 썩덩나무노린 재 성충을 초기 개체군으로 시작하였다. 아크릴 케이지(크기 110×70×55cm)에 자 율적으로 먹이에 접근하도록 하였고 최대한 인위적인 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관 리하였다. 산란재료 및 수분공급을 위한 식물재료로 칼랑코에 및 페페(소형 포트 20개)를 제공하였다. 주먹이로는 검은콩 및 생땅콩을 충분히 제공하였고, 사육실 온도 25±1℃, 상대습도 40~70%, 광 16L:8D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초기 개체군이 효과적으로 정착하여 규모화 된 실내 개체군(2010년 9월 현재)을 유지 시킬 수 있었다. 교미행동 관찰결과 수컷이 더듬이 및 머리 앞부분을 이용 뒤쪽에서 암컷의 복부 끝을 두드리고, 이 때 암컷이 교미를 수락하는 경우 복 부 끝을 들어 올리게 되며, 그러면 수컷이 돌아서서 교미에 성공하였다. 산란은 적 게는 13개에서 많게는 39개까지 무더기로 알을 낳았고, 난괴 당 평균 알 수는 28.5 개 이었다. 알을 낳는데 걸리는 시간은 1개의 알을 낳는데 2분 27초에서 2분 32초 사이가 걸렸고, 총 산란시간은 1시간 18분에서 21분까지 소요되었다.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scape of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from two vector species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through oviposition and feeding behavior. First, we checked number of PWNs escaped from M. alternatus emerged from three different cases of pine logs. In case A, healthy pine trees were cut into logs and left in pine forest infected with PWN. In case B, healthy pine trees were cut into logs, left in large screen cage, and let them oviposited by M. alternatus emerged from pine trees infested with PWN. In case C, pine trees which were harboring M. alternatus were cut into logs, and PWN was inoculated artificially. The M. alternatus adults emerged from the above three cases of pine logs were checked in the next year to know how many PWN they were harboring in their bodies. The percentages of M. alternatus harboring PWN (18.3 and 15.6%, respectively) and number of nematodes per vector (5,713.1±9,248.3 and 2,034.1±4,746.8 PWNs, respectively) in case A and B logs a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he percentage and the number in case C (38.3% and 20,083.1±32,188.3 PWNs) were higher than those of case A and B. Among 52 M. alternatus adults harboring PWN from all the three cases, 20 adults (38.5%) were harboring more than 5,000 PWNs per beetle. And these 20 adults were harboring 97.9% of the total PWNs in 52 adults. Second, we checked the daily escape of PWNs from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lected at pine forest infested with PWN. The PWN escaped from their vector body for 34.9±12.4 days for M. alternatus, and for 23.9±16.2 days for M. saltuarius, reaching at peak escape during the 2nd week of emergence of the two vector species. A 44.5 and 47.2% to the total PWNs escaped from vector body within 2 weeks of vector emergence for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respectively. The number of PWNs escaped from each vector was 3,570.6±5,189.2 and 1,556.2±1,710.3 for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respectively.
        4,000원
        4.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생태와 소나무재선충 이동과의 관계 및 솔수염하늘소내 소나무재선충 보유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발생지역내 매년 고사목이 발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초 건전한 소나무를 벌채하여 임내에 존치시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을 유인하였다. 또한 야외 사육상(4×2×2.5m)내에 산란목을 설치하고 매개충의 산란을 유도하였다. 피해지내 임내에서 매월 벌채하여 솔수염하늘소 산란을 유도한 해송 공시목에서 이듬해 우화탈출한 솔수염하늘소를 채집(n=60)하여 소나무재선충 보유율을 조사한 결과 18.3%(n=11)였다. 솔수염하늘소 한 마리당 소나무재선충 보유수는 5,713마리(최대 24,533, 최소 13)였다. 야외 사육상에서 산란을 유도하여 이듬해 채집한 솔수염하늘소(n=64) 중 15.6%가 소나무재선충을 보유한 채로 우화탈출 하였다. 솔수염하늘소 한 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2,034마리(최대 16,160, 최소 51)였다. 또한 매개충은 서식하고 있으나 소나무재선충이 없는 공시목에 인위적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이듬해 우화탈출하는 솔수염하늘소(n=81)에서는 38.3%가 소나무재선충을 보유하였고, 솔수염하늘소 한 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20,083마리(최대 128,700, 최소 56)였다.
        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얼룩동사리의 자연서식지 및 산란조건을 관찰한 바 수심은 0.3-0.6m범위, 유속은 0.1-0.3m/sec, 난괴의 정착면적은 2.75-19.56cm였다. 난소의 성숙도는 체장 80mm 이상에서 점점 증가하며 100mm 정도 되어서는 최고의 성숙도를 보였다. 또한 산란행동은 인공수조에서 수컷이 산란장소를 마련한 후 강한 세력권을 형성하고, 암컷을 유인한 후 방란 촉진 구애행동을 보였다. 그리고 난 후 배를 거꾸로 뒤집은 자세로 방란 방정을 마친 후 암컷
        4,000원
        11.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eed of vertical migration and the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of the scattering layers during the evening and morning transitions between day and night were measured in November 1990-1992 in thermally stratified waters of the East China Sea. Acoustical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scientific echo-sounder operating at t재 frequencies of 25 and 100kHz, and using an echo-integration system connected with a micro-computer. Biological sampling was accomplished by bottom trawling to identify fish species recorded on the echo sounder, and th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The values of scattering strength were allocated to group of fishes according to the fish traces on the echo recording paper and the species composition of trawl catches. The vertical velocities of migration derived from the changes in the depths and the values of peak scattering strength of the dense layer vertically migrating toward the bottom or toward the surface. The trawl data suggest that snailfish and fishing frog were the most abundant fishes in all research stations. As sunrise approached, the fish formed a strong concentration just above the thermocline. The the highest values of scattering strength in the entire water column appeared in the depth strata above the thermocline just before the begining of downward migration. As soon as the fish began to migrate downwards across the thermocline, the values of the scattering strength in the depth strata above the thermocline rapidly decreased, while the values for the scattering layer moving slowly toward the bottom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1992 surveys, the speed of the vertical migration was estimated to be 0.38m/min in the upward migration and 0.32m/min in the downward migration, respectively. That is the rate of vertical migration was slightly higher at dusk than at dawn. Similar migration patterns were observed on different stations and under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surveys in 1990.
        4,300원
        13.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미나방알좀벌, Ooencyrtus kuvanae (Hymenoptera : Encyrtidae), 이 기주를 발견한 후 산란을 끝내고 기주를 떠날 때까지 11단계의 연속행동과정, 그리고 자기몸청소, 휴식 등과 같은 부수적인 행동이나 산란관에 의한 상처로부터 나오는 기주체액을 먹는 습성 등이 조사되었다. 기생벌에 기주난이 연속적으로 주어졌을 때는 처음 산란을 마친 매미나방알좀벌은 활발히 주변을 움직이며 다음 산란대상이 되는 기주에 보다 빨리 접근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또한 기주접촉단계에 소요하는 시간이 첫 번째 난에서 보다 두 번째 세 번째난에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산란경험이 기주발견과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4.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육실조건(,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60%)에서 조사된 담배나방(Heliothis assclta Gueness)의 우화, 교미 및 산란의 행동과 일일리듬은 다음과 같다. 불꺼진 후 3시나 이내에 75% 이상이 우화하였으며, 우화된 날개확장과 경화까지는 약 33분이 소요되었다. 성충 수컷은 교미때까지 촉각 운동, 날개 진동, hairpencils확장 , 암컷 산란관 두드림등 일련의 행동을 보였으나, 암컷은 복부끝의 수죽과 이완, 날개 진동 등의 다소 단순한 행동을 보였다. 모든 교미는 암기간 전반기에 주로 일어났으며, 불꺼진 2시간 전후에서 최대 피크를 보였으나, 처녀 암컷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은 24시간된 미교미암컷에 가장 높았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되는데 같은 경향이 미교미수컷에서도 나타났다. 교미지속기단은 평균 14분이었다. 산란 역시 암기간 전체를 통하여 일어났지만, 불꺼진 후 2시간 이내에 최적 피크를 보였으며, 산란수는 교미후 3일에서 가장 많았다. 교미율, 산란수, 수명은 성비에 따라 달랐으며, 교미한 성충의 수명이 교미하지 않은 것보다 더 짧았다.
        4,000원
        1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at rearing room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 of fruits in the firefly (Pylocoelia rufa) larvae and the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dults. As a result, the pear, apple, melon, persimmon, mandarin, grape and peach were shown the feeding behavior of larvae the average 6.40, 3.25, 2.50, 2.20, 2.00, 1.40 and 1.25, respectively. However, the larvae were not shown at all feeding behavior to banana. The hours feeding behavior of firefly larvae was primarily from 8:00 pm until 2:00 am. In addition, the time at which the voracious feeding behavior was until 8:00 pm to 12:00 pm. The 6:00 pm began whisking all the larvae are hiding in the shelter. In the case of the firefly larvae fed only the edible snail, the adults were oviposition an average 49 ± 6 eggs. At that time larva stage, adults of the firefly eating the pears, apples, melon and eat edible snail at the same time there were oviposition the 53 ± 7 on average. In the case of fruits, the pears, apples, and melons has been considered worthy to take the firefly larva fed with the current land snails.
        1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행동 및 산란 후 습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화장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중 수온, 염분 및 광주기가 일정한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된 4쌍의 어미들은 산란주기 및 횟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수정 후 알 관리는 수컷에 의해서 주로 관리가 되었다. 부화일이 가까워질수록 수컷의 eggfanning 횟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부화 직전에 더욱 격렬한 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정보를
        17.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국민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 애완동물 산업인 관상어 산업의 총 가치는 전 세계적으로 150억 달러에 달하며, 199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중 담수관상어 산업은 90% 이상이 인공생산으로서 안정되어 있는 반면, 해수관상어 산업은 특정 어종의 대량 포획에 따른 개체수 감소 및 멸종위기, 포획방법에 따른 어종의 스트레스, 주변 환경파괴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인공종묘 생산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일부 해수관상어를 인공번식시킨 바 있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어로 잘 알려진 cinnamon clownfish(이하 clownfish라 함)의 산란 행동과 자․치어발달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해수관상어종의 번식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수온 27.0±0.9℃, 염분 31 psu에서 사육한 clownfish 어미는 평균 월 1~2회 산란하였고 최대 월 4회 산란하였다. 산란시기가 다가오면 3~5일 전부터 알을 부착시킬 기질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였다. 산란시간은 오전 9~10시 사이였으며, 산란 직전에는 기질 표면의 이물질을 입으로 뜯어내듯이 입의 개폐활동을 한 후 주변의 이물질들을 배와 꼬리지느러미로 물살을 일으켜 청소하였다. 청소를 끝마치기 앞서 암컷의 항문에는 산란관이 미리 돌출되어 있었고 청소를 끝마침과 동시에 산란기질에 알을 부착시킬 점액질을 분비하였다. 암컷이 점액질을 부착시키면 수컷은 입과 배를 이용하여 점액질을 기질에 고루 바르는 듯한 행동을 하였다. 10~15분에 걸쳐 점착기질을 만든 암컷은 즉시 산란을 하였으며 수컷은 뒤따라 방정하였다. 산란 및 방정은 30~40분 소요되었으며, 주로 수컷이 수정란 주변을 돌면서 수정란을 보호하였다. 수정란은 타원형의 침성부착란으로서 연한 오렌지 색깔이었다. 크기는 장경 2.37±0.09 ㎜, 단경 0.94±0.91 ㎜이며, 세포질에 다양한 크기의 유구가 관찰되었다. 난발생은 수정 후 1시간째에 배반이 형성되었고, 1.6시간이 지나서 2세포기로 이행하였다. 3.0시간이 경과하면서 제 2난할이 일어나 4세포기를 거쳐 상실기, 포배기, 낭배기는 각각 9.0, 10.8, 19.3시간째에 보였다. 수정 후 26.6시간째에 배체가 출현하였고 46.0시간째에 머리에 안포와 이포가 형성되었다. 70시간 경과 후 심장박동이 관찰되었으며, 초기 심장 박동수는 분당 160회였다. 수정 후 120.0시간째에는 혈액이 움직였고 근절의 일부 마디에는 황색소포가 관찰되었다. 이후는 부화 직전의 상태로서 배체가 알속을 채웠으며 안구는 흑화되었다. 부화까지 소요된 시간은 수정 후 168.0시간째였으며, 부화율은 89.5%였다. 갓 부화한 자어의 크기는 3.5±0.3 ㎜로 흑색색소포가 주로 두부의 위쪽 그리고 복부와 척추사이를 따라 분포하다. 그리고 등쪽에서 꼬리 부분을 향하여 비교적 옅은 흑색색소포가 관찰되었다. 황색색소포는 코와 눈을 지나서 등쪽에 주로 분포하였다. 부화 후 15일째 전장 10.1±0.2 ㎜였고 대부분 자어의 머리 및 등의 줄무늬가 선명하였다. 등 줄무늬는 등지느러미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항문방향으로 있었다. 부화 후 30일째 전장은 13.1±0.4 ㎜였다. 눈 뒤쪽부터 꼬리의 흰 줄무늬 부위까지 진한 고동색이었고 눈 앞쪽과 각 지느러미는 주황색이었다. 부화 후 60일째 전장은 23.0±0.3 ㎜였고, 몸통의 색깔이 다소 어두운 주홍색이었다. 90일 째 자어의 전장은 41.0±0.3 ㎜로 두부의 흰줄무늬를 제외한 나머지 줄무늬는 완전히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