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여, 양질의 전문화된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내담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상담자들의 비대면 상담에 대한 주관성의 유형을 구분하고 살펴보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Q 표본은 상담자에 대한 심층 면접과 비대면 상담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종 40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P 샘플은 상담자 29명이었 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주관성 유형은 4가지로, 첫째, 상담효과성 담보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언급한 상담환경 우선형, 둘째, 내담자와 상담자를 위해 더 개발되어야 함을 언급한 필요 맞춤 개발형, 셋째, 정보통신기술의 편리함을 받아들이는 온라인 효과 수용형, 넷째, 자기 역량을 더 키우기 위해 교육을 탐색하는 대처 교육 탐색형으로 주관성 유형의 특성 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비대면 상담에 대한 유형화된 상담자의 주관성 특성을 바탕으로 발전적인 비대면 상담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새 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600원
        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언어 및 놀이발달의 변화과정을 그림책 읽어주기와 놀이참여를 통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2018년 6월15일부터 2019년 1월 30일까지 주 2회 총 56회기로 약 7개월여 동안 단일대상으로 탐색연구 하였다. 상담자는 유아의 반응에 일관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로 자극을 촉진하고, 민감한 반응으로 상호작용하였다. 이에 따른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언어 및 놀이발달 변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6단계로 나타났다. 첫째, 자극-불안정 접촉의 혼란스러 운 단계. 둘째, 자극-접촉의 안정의 단계. 셋째, 자극-촉진 수용의 단계. 넷째, 자극-습득 내면화 단계. 다섯째, 자극-표현 변화의 단계. 여섯째, 자극-확장 적 응의 단계로 변화하면서 유아는 일상생활에 적응하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였 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부모나 다양한 치료 현장의 상담사,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에게 개입을 위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6,6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로 연구방법을 통해 남성 상담자와 내담자 총 4인의 상담관계 체험을 분석함으로써 그들 체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연구 질문 의 인터뷰 축어록을 사용, 이러한 질적 연구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3명과의 세미나를 통한 삼각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첫째, 내담자(상담자)와의 상담전반의 인상 둘째, 치료동맹의 형 성 셋째, 내담자(상담자)와 상담전반의 어려움 넷째, 내담자 변화에 대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점 다섯째, 내담자(상담자)와의 관계체험을 통한 통찰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 분석하 였다. 첫째, 남성 상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은 다음과 같다. 남성 상담자는 상담 초기에 부담, 걱정이 있었지만, 내담자와의 상담관계를 통해 내담자의 변화를 보게 되면서, 상담자 자신에 대한 자 각과 통찰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상담자 자신의 삶의 변화를 체험하였다. 둘째, 내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은 다음과 같다. 내담자는 과거의 상처로, 상담 초 남성 상담자 에 대해 경계적 모습을 보이나, 남성 상담자와의 관계 체험을 통해, 자기 삶의 긍정적 변화를 체험, 상담자와의 관계, 상담자에 대한 인식이 변화, 이 변화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체험 하였다.
        6,0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 실무자 및 외부 상담자들을 상대로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범률을 기준으로 한 결과평가(outcome evaluation)도 의미 있는 평가 전략이지만, 실제 교정활동을 운영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정프로그램 인식 조사는 교정프로그램의 절차와 운영을 알아보는 중요한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방법에 속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곱 가지 기본범주(환경여건, 전문성, 체계성, 효과성기법, 개별화, 평가여부, 기타 항목)를 가지고 실무자 1,006명이 생각하는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응답 대상자로 515명의 교화상담 업무 교정공무원과 491명의 외부 상담자들이 포함되었다. 총 43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각 문항에 대해 “그렇다”와 “보통이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개별화 항목과 평가여부 항목에서 “보통이다”라는 중립적 답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즉, 환경여건과 전문성, 체계성, 효과성기법에서는 긍정적인 태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화와 평가여부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중립적 답변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효과성 인식이 부족한 개별화와 평가 부분을 집중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고, 향후 과학적인 효과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교정 실무자들이 만족할만한 교정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7,000원
        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by age, based on the nutrition counseling data of medical health examination. The subjects were 5, 511 adults(3, 139 males and 2, 372 females) who took comprehensive medical test in Gyeonggi area, and they were evaluate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7. Survey samples were divided by age groups: 30>, 30~39, 40~49, 50~59, 60~69, 70≤ yea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57% male and 43%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etary habits of ≥50 group were relatively good. On the other hand, in 30> yrs group had more dietary habit problems, they had irregular meals and the ratio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And they frequently had meals out. regularity of meals, eating breakfast was higher in ≥70 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01). frequency of overeating was higher in 30>, 30~39≥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01) and speed of eating meal were fast in 50~59 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1). For foods with high cholesterol and fat, it was shown that the older the subject, the fewer the frequency of consumption(p<0.001). For kimchi and salty foods, food intak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e(p<0.001), whereas for fresh vegetables and high-calcium fish, i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p<0.001). All in all, it was shown that as the people get older, their dietary habits tend to get more appropriate.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ir dietary habit by age should be taught, so that people have a healthy dietary habit and food intake for the rest of their life.
        4,200원
        6.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에 따른 구원사역에 있어서의 상담자의 모본을 보이신 몇몇 사례를 들어 구원사역의 증거, 구원의 순서 등과 상담 적용 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한국적 교회사회복지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상담에 대한 이론적 자료나 실천적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문제 방향 제시적인 그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학 중 교회사회복지, 기독교상담학, 조직신학 중 구원론, 목회학 분야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하여 성경, 특별히 신약성경의 4복음서의 내용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의 내용과 증거, 적용 원리, 구원의 순서 등을 고찰하였고, 상담자로서의 모본이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자질 요건과 역할, 상담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4복음서 내용 중 예수 그리스도가 직접 개입한 상담 유형을 제시하면서 그 적용 측면을 교회사회복지 상담 분야와 전인적 관심에 대한 영향과, 구원사역의 완성에 따른 상담자의 모본의 적용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상기한 고찰을 통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설계 제안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과 교회사회복지 상담과의 관계의 도식을 제시함으로써 성경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상담자의 모본의 교회사회복지의 적용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5,800원
        8.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역할, 대인관계, 환경), 정서지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학교 상담자 22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역할, 대인관계, 환경), 정서지능,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고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3요인 중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와 대인관계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상급자와의 관계, 그리고 환경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근무환경 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3요인 중 역할 스트레스, 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역할 스트레스와 환경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교 상담자이더라도 정서지능이 높으면 심리적 소진이 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학교 상담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사이의 관계, 그리고 보호요인으로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학교 상담자를 위한 교육 연수 내용 및 지원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