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ive the bathochromic effects of wool fabrics by using natural dyestuffs with minimum heavy metallic mordants. The natural dyestuffs used in this research were the indigo plant, Phellodendron amurense, and Caesalpinia sappan. Sample no. 1 was pre-dyed five times with indigo. Sample no. 2 was pre-dyed five times with indigo and then once dyed with Phellodendron amurense. Following the same method as sample no. 2 with an additional Phellodendron, Sample no. 3 consisted of a pre-dye five times with indigo and twice with Phellodendron amurense. Sample no. 4 was pre-dyed six times with indigo and then once dyed with Caesalpinia sappan. Sample no. 5 followed the same method as no. 4 with an additional dye of Caesalpinia sappan. Sample no. 6 was pre-dyed five times with indigo and then once dyed with Phellodendron amurense and once dyed with Caesalpinia sap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l samples showed deeper colo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face K/S measurement, the surface K/S of wool fabrics was >20. Third, the results of lightfastness measurement showed superiority over grade 4 in samples no. 1, 2, 3, 5, and 6. However, sample no. 4 was grade 3. In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measurement, sample no. 2 showed greater superiority than grade 3—4, while samples no. 1 and 3 were grade 3. In addition, the colorfastness to dry cleaning for all samples was satisfactory or excellent by more than grade 3.
        4,000원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 왜곡을 평가하기 위하여 객관적 및 주관적 측색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 Colorchecker Classic의 15번(Red), 16번(Yellow) 및 14번(Green) 색표를 가상신호등으로 설정하여 객관적 측색을 실시하였다.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각 렌즈를 장착한 후 가상신호등을 촬영하였 다. 본래 색상과 렌즈 장착 후 측정된 색을 CIE 1976 L*a*b* 색도좌표로 표시하였고, 좌표간 거리 값인 ΔE* ab를 산출하여 색 왜곡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32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교통신호등의 관찰된 색을 한국 색채 표준 디지털팔레트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본래 색상과 비교하였다. 결과 : 객관적 평가에서, 황색 및 녹색 가상신호등의 색왜곡은 근적외선 차단렌즈 착용 시 가장 작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근적외선 차단렌즈에 의한 적색 가상신호등의 색왜곡은 녹색렌즈보다 크지만 갈색, 회색 및 청색렌즈에 비교하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평가에서, 적색 신호등을 주시했을 때 근적외선 차단렌즈에 의한 색왜곡은 갈색렌즈와 비교하여 더 많았으며, 청색 및 녹색렌즈 착용과 유사하였고, 회색렌즈 착용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왜곡은 다른 렌즈와 비교하여 객관적 평가에서 가장 낮았으나, 주관적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주관적 색 재현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쇄에서 종이의 인쇄적성은 인쇄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연 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잉크젯에 의한 종이의 인쇄적성은 앞으로 전자융합산업의 발달을 고려해본 다면 더욱 주요한 연구가 될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잉크젯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CMYK 프로세스 잉 크의 인쇄적성을 파악하고 종이의 특성에 따라 색재현 정도를 ICC 프로파일값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 였다. 잉크젯의 토출 특성을 이해하기 노즐에서의 잉크 유동을 시뮬레이션 하였고 종이의 재질이 다른 두 종(갱지 및 인화지)의 피인쇄체 위에 각기 다른 망점으로 인쇄하여 색재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종이의 관련 특징들 즉, 거칠음도, 투기도, 광택도 및 압축도,과 이에따른 색재현 특성을 ICC 프로파일모니터링에 쓰이는 ΔE값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종이의 낮은 거칠음도와 투기도 그리고 높은 압축력을 가지는 인화지에서 더 높은 색재현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