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한자라는 계열에서 서체라는 개념을 어떻게 분석에 이용하면 좋을지를 이시즈카 하루미치(石塚晴通)의 한자자체론(漢字字體論)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시즈카의 한자자체 론은 서체를 글자를 아우르는 표준으로서 상위에 둔다. 이것은 자료 연구의 장에서 탄생한 실지 적인 것임을 학설의 발전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이시즈카가 일컫는 서체는 실질적으로는 문자 체계로서의 차이에 가까운 측면이 있으며, 오늘날 동일한 글자에 대한 서기 방식의 차이로 인식하는 것과는 이질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현대적인 감각에 기인하는 오독 사례를 지적하였다. 그런 다음 역사적인 서체와 인쇄 서체를 구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시즈 카 한자자체론을 화용론적 문헌학 pragmaphilology (Smith, 2020)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5,8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ㆍ진 시기는 경제ㆍ정치뿐만이 아니라 서예(書藝)에서도 중요한 변혁기로 이전의 전서ㆍ예서ㆍ해서ㆍ장초ㆍ행서ㆍ초서 등 여러 서체를 활용하여 서예가들이 개인적으로 예술 풍격을 꽃피우는 양상을 나타냈다. 진나라 시기의 서예는 당시(唐詩)ㆍ 송사(宋詞)ㆍ원곡(元曲)이 나란히 문단에 이름을 날린 것처럼 후대에도 인정받았는데, 특히 ‘상운(尙韻)’의 서예로 대표되는 왕희지 서예는 우아하고 표일한 기운이 넘쳐 많은 이들의 사랑 을 받았다. 왕희지는 또한 광범위하게 한ㆍ위 이래 많은 서예작품에서 유익한 자양분을 얻고, 전대(前代)와 당대(當代)에 분산된 서예 작품에서의 창조적인 요소들을 집대성하여 정제과정을 거침으 로써 자신의 새로운 예술창조에 융합ㆍ통일하여 자아를 풍부하 게 하는 신서체(新書體)로의 변법(變法)에 성공함으로써 한 시 대를 대표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고질(古質)’ 서풍 대신 ‘금연(今姸)’ 서풍을 내세워 후대의 서예가들은 물론 한반도의 서예가들에게도 손길이 닿는 모범이 되었다. 본고는 왕희지의 생애ㆍ사상ㆍ학문 등을 살펴보고 서예의 눈 부신 성취와 함께 서체 변법의 성공과 그 서예가 후대 서예계 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탐구하여 고질의 서풍에서 유미 한 서풍으로의 변법을 고찰하고, 서체의 변법은 중국뿐만 아니 라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쳤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그가 창출한 변법의 서예를 활용한 문인서예의 승화 와 함께 서예의 위상을 정립하고 미래의 지향할 바를 연구하고 자한다.
        6,7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篆刻의 역사는 문자의 형태가 온전하게 갖춰지기 전부터 도기에 문양과 부호를 찍으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印材에 새겨지는 주된 문자는 초기 신석기 시대의 부호표기에서 문자 표기로의 이행기를 거쳐 한자의 서체변천 과정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형태가 변하여 왔고, 전각의 시대적 요구와 용도의 특징에 따라 내용 또한 변천하여 왔다. 전각이라는 명칭은 印文에 사용되었던 서체가 주로 전서였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붙여진 것이다. 인문의 서체는 당대에 유행하던 전서 서체를 중심으로 갑골문, 금문, 대전, 소전 순으로 변하였고, 이후에는 예서와 해서도 사용되었다. 이는 전각의 용도가 실용에서 신표의 상징, 장식용 및 주술용, 예술적 영역의 표현으로 바뀌면서 인문에 새겨지는 내용 또한 달라졌고, 지역적인 특색의 영향으로 서체형태의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각의 서체변천은 실용적으로 사용되었던 관인과 사인, 봉니와 건축물의 와당문에서 후대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간략화시키고 쉽게 쓰려는 형태로 변천해 왔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하대에 이미 인문도의 紋飾에서 도기상의 부호를 새기는 과정에 갑골문이 탄생하였으며, 금문의 자형 또한 은대 청동기문식에서 1.2자가 새겨짐과 동시에 <은새삼과> 에서 서체변천을 주도하였고, 대전 또한 주대의 새인에서 변련과 인장의 형식을 갖추어 방정함을 띠게 되었다. 이후 중국이 통일을 이룬 진대에는 이러한 서체변천과정에서 소전으로 문자 통일을 이룸과 동시에 전각의 제도적 관리가 이루어지며, 인문의 자형이 소전체로 변해갔으나 사인에 있어서는 전 시대의 서체들이 동시에 새겨졌다. 이러한 제도를 계승한 한 대에는 백화만방한 인문서체의 시대를 열게 하여 전서와 예서, 그리고 춘추전국시대에 성행하였던 조충서, 수전, 무전 등의 다양한 서체가 사인에서 새겨져 예술적 표현 영역을 확대해 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각이 서예의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영역을 차지 하고 있으며, 印工에 의해 금ㆍ은ㆍ동ㆍ옥에 새기었던 시대와 문인들에 의해 석인재에 스스로 각을 하던 시대의 풍격은 매우 차이가 났으나 전각의 인문과 측관, 봉니, 와당문에서 새겨지는 서체의 변천은 한자의 字體연변을 주도했으며, 또한 유행서체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고 하겠다.
        5,800원
        4.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강경』은 성왕 9년(531)에 양나라에서 겸익에 의해 전래된 것으로 판단된다.『금강경』은 양(梁) 소명태자(昭明太子)에 의하여 분장(分章)된 것으로, 처음에는 29장으로 분장되었다가, 그 후 32장으로 세분화된 것이다. 초기 <은제도금금강경>의 번역 오류가 <돈황본 1.2>에서는 교정되거나 추기되었다. 이는 <은제도금금강경>이 <돈황본>보다 선본으로 <돈황본>은 다른 번역본에 의하여 교정되거나 추기된 것이다.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는 북조식남조체이다. 이는 북조필법이 혼용된 남조체로 남조에 서 유행한 북조(北朝)필법(筆法)이다. 즉 80%의 남조체와 특징적인 20%의 북조체가 혼용 된 서체이다. 특히 이체자(異體字)의 사용에 있어서 대부분 6세기에서 7세기 초에 유행한 이체자들을 통하여 <은제도금금강경>의 기록법이 <무령왕능묘지(525)>, <왕흥사청동사리 감명문(577)> 등과 거의 같은 시기에 기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9,2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왕자오정 (王子午鼎)>은 기물의 모양이 독특하고 문양은 실랍법 (失 蠟法), 명문은 조충서 (鳥蟲書)를 사용하여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무덤주인, 제작연대, 내용분석에 치중하였는데, 본 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왕자오정> 명문의 내용과 기물의 주인, 그리고 명문에 나타난 서체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왕자오정> 본체의 명문에 영윤자경 (令尹子庚)이란 명칭을 통 해 왕자오 (王子午)가 영윤으로 있던 기원전 558~552년 사이에 열정 (列 鼎)을 주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 덮개에 보이는 붕 (倗)은 자 경과 자남 (子南)의 뒤를 이어 영윤 (令尹)이 된 위자붕 (蔿子馮: 楚叔之 孫倗)으로, 어떤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 기물을 획득하여 덮개를 추가로 만들고, 기원전 548년에 죽으면서 자신의 무덤 (M2)에 부장하였을 것으 로 추정된다. 둘째, 춘추 5패 (覇) 중의 한사람인 초나라 장왕 (莊王)은 9정 (鼎)에 대한 고사로 유명하다. 그의 아들인 왕자오는 자신의 신분보다 한 단계 높은 7점의 열정을 주조하여 당시 초나라의 국력이 막강하였음을 고고 학적으로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왕자오정>과 같이 화려한 청동기 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인문정치가 미약하였기 때문으로 추 측된다. 셋째, 조충서는 춘추전국시기에 장강 중하류 지역에서 크게 유행하여 중원 지역에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오 (吳), 월 (越), 초 (楚), 서 (徐), 증 (曾), 채 (蔡), 송 (宋) 등의 여러 제후국에서 주로 발견된다. 춘추시기에 서 조충서는 무기류에서 주로 확인되고 용기에는 극히 드물다. <왕자오 정>은 현재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조충서의 명문으로 그 사료적 가치 뿐만 아니라 서법예술에서도 상당히 수준 높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춘추시기 초나라 문화권에서는 세로의 길이가 긴 장방형 결구를 선호하고 있다. <왕자오정>의 명문도 이러한 결구를 취하고 있는데, 본 체의 복부에는 조충서로 14행 84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고, 덮개에는 장 방형의 대전 (大篆)으로 4자가 새겨져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 이 기물 본체는 왕자오가 만들고 덮개는 위자빙이 만들었기 때문이며, 덮개를 추가로 만드는 과정에서 좀 더 고풍적인 장방형의 전서를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왕자오정>은 동시기 청동예기 중에서 기물의 제조방법과 명문의 서사방식이 매우 빼어난 것으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최고의 걸작 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당시 초나라 왕실과 국제정세를 알 수 있는 청동기 유물이며 조충서의 초기적인 형태로 조충서의 형성과 변화양상 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6,000원
        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노안 연령층에서 배경색에 따른 한글서체 인쇄물의 가독성(readability)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57명(평균 나이 65.75±10.85세; 남 23명, 여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포인트(pt)의 신명 조 한글서체를 백, 청, 녹, 황색 바탕에 검정으로 인쇄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원거리 시력을 교정한 후 근거리 시력은 40 cm거리에서 0.5(6.3 pt)을 읽도록 교정하였다. 대상자가 선호하는 색상을 조사하였고, 1분 간 올바르게 읽은 글자 수(words per minute, wpm)를 읽기속도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가독성은 백색 배경에서 가장 높았고, 녹색 배경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색 선호도와 일 치하였다. 배경색에 따른 남녀 및 수술과 비수술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또한 배경색별 오류 빈 도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독성에서 색차 간의 유의성은 없으나 명도 차이 간의 유의성은 약한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백색 바탕의 검정 문자에서 일반적으로 높은 가독성을 보였다. 배경색에 따른 가독성의 차이는 명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부분 설명이 가능하나 시각 기능과 시 환경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제시하여 설명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4,000원
        7.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화 마케팅에 있어서 영화포스터 타이틀 로고의 서체적합도와 수용자들의 영화 친숙도, 그리고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 및 영화에 대한 태도, 마지막으로 영화 관람의도의 다섯 가지 잠재요인이 서로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1과 연구2로 구분되어 있는 본 연구는 먼저 연구1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구조모형의 적합성과 각 요인 간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2를 진행하였다. 연구1의 결과, 실험 집단 간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연구2의 구조모형의 경우 영화포스터 타이틀 로고의 서체적합도는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화 친숙도의 경우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와 영화 자체에 대한 태도, 영화 관람의도 사이에도 서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다섯 가지 요인을 이용한 구조모형의 유의미함을 통해 향후 영화 마케팅에서 각각의 요인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6,700원
        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체는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느낌을 주고 있다. 적절한 서체의 선택은 내용의 의미를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들은 일반적인 습관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과 관련된 서체들의 사용은 그 내용의 의미를 확대시켜 준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글의 의미나 연령, 성별, 대상, 문화적 환경 등에 따라 서체를 다르게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서체 선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서체 선택에 대한 기준이나 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의미가 있는 문장이냐 의미가 없는 문장이냐에 따라 서체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와, 의미가 있는 문장인 경우에 긍정적 의미의 문장이냐 부정적 의미의 문장이냐에 따라 서체 선호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서체 사용자에게는 의미에 따라 다르게 서체를 사용해야 하는 지침을 제공하며, 서체 제작자에게는 서체 개발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기여하리라고 본다.
        4,000원
        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더욱이 경쟁이 치열한 시장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선호요인 중 심미성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현실에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그에 따른 소비자의 의식변화를 통해 소비자의 상품구매 기준 역시 변화를 가져왔다. 이렇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디자인 기술과 방법 또한 그에 따른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범주화 이론(Categorization theory)을 통한 전형성과 동시에 중요하게 인지되는 심미성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고, 심미적 영향 요소 중 한글서체와 관련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율동(rhythm)을 선정하여 이를 이미지 형태조작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발상을 유도한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서 디자이너의 아이디어 발상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소비자가 선호할 수 있는 디자인을 창출하여 디자인의 성공 확률을 높이고자 한다.
        4,500원
        1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시력표 투영기용 한글 및 아라비아 숫자 시표를 제작하였다.59명의 대학생을 대 상으로 전체 크기가 5X5단위를 이루도록 설계한 한끌문자 18 개와 5X4단위를 이루 도록 설계한 아라비아 숫자 9 개에 대한 상대가독성을 측정하였다. 우안과 좌안을 서 로 다른 시험렌즈로 운무시킨 상태에서 각 시표를 읽을 수 있는 거리를 측정하여 Strong과 Woo가 사용한 방법으로 각 시표의 상대가독성을 측정하였다. 한글 문자 및 아라비아 숫자에서 가독성이 크게 차이나는 시표똘 제외시키고 한글 시표 13개와 아라비아 숫자 시표 7개의 서체를 약간 수정하고 다시 가독성을 측정하여 사력 0.1 부 터 1.5까지 각 줄에 4개씩 배치될 시표의 가독성의 합이 비슷한 12가지 조합을 선돼 하였다.
        4,000원
        1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다양한 매체의 등장으로 제품을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 제품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들의 다양한 광고와 판촉, 이 벤트 활동 등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을 구입하는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POP광고물은 소비자들의 구매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규모가 큰 매장에서는 디자인 전문 인력에 의해서 POP광고물을 계획적으로 제작하고 설치하지만, 소규모 매장에서는 점주가 개별적으로 POP광고물을 제작하기에는 전문적인 지식과 역량이 부족하 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소규모 개별매장에서 점주의 요구에 따라서 가격표나 포스터, 모빌류, 사인류 등의 POP광고물을 제작하는 수기 POP광고물 제작 전문가들의 역량은 POP광고물과 광고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로 편집되고 인쇄된 광고물보다 사람의 손으로 작성되고 만들어진 POP광고물은 소비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감성 을 자극하여 제품판매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수기 POP광고물의 중요한 표현요소중 하나인 서체표현은 POP 전 문가들의 개인적인 개성과 역량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표현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현황 분석과 효과적인 서체표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10년 이상 수기 POP전문가 50인의 기본서체(10종)를 표현요소(크기, 기 울기, 기본구조)별로 분석하여 수기 POP서체의 일반적인 표현방법을 도출하고 수기 POP서체의 특징을 파악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캘리그래피는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주는 표현력이 강한 글자체로서 전달하려는 문화적 메시지와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한글이 우리의 정서에 맞는 감각이기 때문이며 캘리그래피의 영역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영역 속에 있으나 그 독자적으로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찾아내고, 디자인의 한 요소인 캘리그래피는 한 시대의 유행이 아닌 발전적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서 보다 근원적이고 새로운 사고와 연구를 통하여 그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며 디자인에의 적용 및 시도는 표현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 디자인에서 강력한 표현 도구가 될 것이다. 캘리그래피에서 표현기법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표현기법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이미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 정보전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캘리그래피가 여러 광고 매체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잘못 전달되는 매체표현도 많아 정보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캘리그래피의 매체들은 직접적으로 전달하려고 하는 메시지를 보다 새로운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기억에 오래도록 각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적 캘리그래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글 캘리그래피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표현기법을 통해 신선하고 독특하며, 새로운 표현기법을 구사하고 또한 각 브랜드별 캘리그래피의 표현 사례 및 분석을 통해 이에 따른 문제점 및 캘리그래피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캘리그래피의 미래에 대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