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지초지에서 애기수영의 생육제어를 위한 석회와 질소의 적정 시용수준을 추정하였다. 1. 애기수영의 모든 예취회수에서 질소시용수준간과 석회시용수준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석회 200~300kg/10a의 수준에서 질소 21kg/10a 이상을 시용하는 것이 설정하는 것이 애기수영의 생육제어를 위하여 효과적이었다. 3. 질소 16kg/10a의 수준에서의 애기수영의 연간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다. 4. 질소 48kg/10a의 수준에서 석회 520.5kg/10a을 시용할 경우, 애기수영의 완전한 생육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석회 200~300kg/10a의 수준에서 2회 예취와 4회 예취의 생육제어효과가 가장 높았다. 6. 질소 48kg/10a의 수준의 1회 예취, 2회 예취, 4회 예취에서 생육제어효과가 가장 높았다.
        4,000원
        2.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석회(0, 250, 1,000kg/10a)와 인산(0, 17 및 34kg/10a)t용이 alfalfa의 생장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남대학교 농과대학내 온실에서 pot로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동안 alfalf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근류중량 및 acetylene환원력은 pH6.2인 토양에서 석회시용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인산시용 효과는 인정되었다(p<0.05). 파종 후 7주
        4,000원
        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석회(0, 250, 500, 1,000kg/10a)와 인산(0, 17, 34kg/10a) 시용이 alfalfa(Medicago sativa L.)의 생장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농과대학내 온실에서 pot로 수행되었다. 파종후 9과에 alfalf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및 아세틸렌 환원력에 있어서 석회 및 인산시용효과가 나타났으며(p<0.05). 파종후 14과(개화초기)에는 alfalf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3,000원
        6.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어리종 담배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석회시용양(토양 pH)과 질소원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석회시용양은 석회무시용, pH 5.5 교정량, pH6.5 교정량의 3수준으로, 질소원은 연초용복합비료(3.9%의 NH4 , -N와 6.1 %의 NO3-N 함유), Na-NO3,(NH2)2CO,(NH4)2SO4 의 4종을 두어 포장에서 실험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의 토양 pH는 석회시용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며, 질소원별로는 칠레초석구가 높았고 유안구가 낮았다. 그러나 토양중 Ca 농도는 석회시용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나, 질소원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2. 토양중 NO3 농도는 석회다량구가 높았고, 질소원별로는 칠레초석구가 높았다. 그러나 K와 P2-O5 농도는 석회시용량이나 질소량에 따라 일관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이식후 75일의 엽중 초산능질소함량은 칠레 초석구가, 45일의 칼슘함량은 석회다량구가 높았다. 그러나 엽중 인산과 가리함양은 석회시용량이나 질소원에 따른 차이 없었다. 4. 석회시용량이나 질소원에 따른 전알칼로이드와 전질소함량 차이는 없었으나, 석회시용량증가에 따라 칠레초석구의 전알칼로이드함량은 증가하였다. 5. 유안구가 건엽의 가리함량은 높았고 칼슘함양은 낮았다. 그러나 석회시용량에 따른 건엽의 인산과 마그네슘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7.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어리종 담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석회시용량(토양 pH)과 질소원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석회시용량은 석회무시용, pH 5.5 적정양, pH6.5 적정양의 3수준으로, 질소원은 연초용복합비료(3.9%의 NH4 -N와 6.1%의 NH2 -N 함유), NaNO3 ,(NH2 )2 CO, (NH4 )2 SO4 의 4종을 두어 포장에서 시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포기생육은 석회다량구가 알칼리 장해로 불진하였으나, 적심후에는 만회되었다. 2. 초산태질소구는 본포기에는 생육이 불진하였고, 성숙기에는 하위엽의 황화가 빨랐다. 3. 수량 및 대금은 석회시용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질소원별로는 유의성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토양 pH 상승에 따른 수량의 증가정도는 류안구가 제일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