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동물들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서 지방에 축적된 에너지의 양을 판단하고 섭식량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조절 메카니즘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노랑초파리로 지방세포에서 섭식조절과 관련된 유전자를 찾기 위해 mRNA의 과발현을 이용한 1차 스크리닝(screening)과 RNAi를 이용한 2차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지방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 purple이 섭식조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purple은 조효소인 tetrahydrobiopterin (BH4)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데, 연구결과 BH4생합성에 관련된 다른 유전자인 Punch와 Sepiapterin Reductase (Sptr) 뿐만 아니라 BH4도 섭식행동을 조절하는데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흥미로운 사실은 Punch와 purple은 지방에서 발현되어야 하는 반면 Sptr은 뇌에서 발현되어 섭식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이다. 추가연구를 통해 BH4가 섭식에 관련된 뉴런인 neuropeptide F (NPF)을 억제하여 섭식억제가 이루어지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유형의 섭식억제제 개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2.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 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 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 (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 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 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 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 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 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 (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 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4.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30종 한방 식물체 메탄올 조추출몰의 살충활성 및 섭식 저해활성을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5,000ppm으로 검정하였다. 황련의 추출물은배추좀나방에 대해 살충작용을 보였다. 길경, 사삼, 세신, 오배자 및 자초의 추출물은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목통 및 속새의 추출물은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보였으나, 오배자와 황련의 추출물은 이들 나비목 유충 모두에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