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3.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Unlike European standards, domestic performance assessment standards for truck mounted attenuators (TMAs) was first stipulated in 2014 using the NCHRP Report 350 of 1993 as the standard instead of the 2009 MASH of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mprovement in the domestic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TMAs.. METHODS : Considering the latest TMA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in the U.S. and Europe, domestic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must improve stipulations related to impact speeds, impact conditions, impact cars, and support trucks. The performance change in the TMAs according to the variation in the impact speed, impact condition, impact vehicle, and support vehicle was investigat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RESULTS : The TMA for an impact speed of 100 km/h showed a limit to the safety of the occupants of the collision vehicle and workers on the road for a collision speed of 120 km/h. The safety of the workers on the road was also not guaranteed for the collision of the remaining 73.8% of vehicles that exceeds the maximum impact car weight of 1,300 kg, the lower 26.2% of the total mass composition of domestic passenger cars. In addition, a TMA that satisfied only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vehicle was hit head-on to the center of the TMA did not reduce the risk of a secondary collision of the impact vehicle. Furthermore, the safety of workers on the road was not guaranteed when a travel distance of a support truck of 10 tons or more was applied to a work vehicle of less than 10 tons. CONCLUSIONS : To improve the safety of road traffic, a performance level corresponding to an impact speed of 120 km/h was added to the domestic TMA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and the eccentricity and oblique collision conditions were mandatory. Furthermore, the maximum impact vehicle weight of 1300 kg was raised to 2000 kg, and the test requester had to present support trucks of lower and upper weights such that TMA mounting trucks of various weights could be used.
        4,600원
        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finite element impact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structural performances of a guard-rail system for roadside using new steel materials (SS275) in the KS standard. The type SS275 shows an enhanced tensile strength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type SS400. Subsequent simulation results present that the improved model performs much better in containing and redirecting the impacting vehicle in a stable manner. The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parameters are verified by comparing different models with dynamic responses determined in the barrier from the crash simulation.
        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damage of structures and loss of life by terrorism are internationally increasing. Among these terror that have a possibility to can happen in korea and that can caused lot of human life loss is the vehicle terror. To prevent the vehicle terror, the anti-ram barriers are needed. But domestic standard about anti-ram barriers are not clear. So, in this study, we will utilize and analyze the vehicle impac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domestic bollard and suggest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ose. In Korea, granite, elastic, steel and stainless bollard are used. The performance of those bollard is not available. Elastic bollard couldn’t stop the vehicle, and the others just could stop the vehicle only at the speed under 10kph. Therefore, set the variable to reinforce, and evaluate the defence efficiency of bollard. As a result, granite and elastic bollard was not suitable for the anti-ram barriers. Performance of steel bollard increased as thickness grew. So steel bollard should must be thicker than 10T. And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effected insignificantly on the defence efficiency, so more than 24MPa compressive concrete be used. Performance of stainless bollard increased as thickness grew. So stainless bollard should must be thicker than 13T.
        4,000원
        1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국내 내진 성능 평가 기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필댐의 동적 상세 해석에 대한 안전성 평가 기준은 지진 하중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댐마루 연직방향, 횡방향 최대 변위가 정적하중에 의한 변위를 포함하여 제체 높이의 1%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여, 평가 기준에 대한 합리성 검토가 필요하다. 중약진 지역에 속하는 국내 지진학적 특성상 지진시 댐 계측 데이터로 근거를 마련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외 계측 데이터 D/B 등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안전성 평가 기준을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원심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함께 수행하여, 변형 기준을 검토하였다. 또한,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매개 변수 분석을 수행하고, 댐체의 횡방향 변위와 침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변형 기준과 비교, 검토하였다.
        4,500원
        1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설치되고 있는 가드레일의 단부처리시설(end treatments)은 차량의 관통이나 전복을 유발할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사고 시 탑승자가치명상을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차량이 가드레일의 단부에 충돌하였을 경우, 가드레일이 차량내부를 관통하여 탑승자에게 직접적인 상해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성능평가기준(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에 근거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단부처리시설에 관한 성능평가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의 설치사례 및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단부처리시설의 mechanism을 파악하고 국내 도로환경 에 적합한 단부처리시설을 제안하였다. LS-DYNA 프로그램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단부처 리시설에 대한 성능을 검증한 결과 성능평가기준(안)에 모두 만족한 결과를 보였으며, 개발 단부처리시설에 대한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수행한 결과 성능평가기준(안)의 탑승자 보호성능, 단부처리시설의 거동, 충돌 후 차량의 거동을 모두 만족하였다. 국내 최초로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개발된 단부처리시설이 고속도로나 국도에 설치된다면 단부충돌사고의 심각성을 감소시켜 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1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heelhouse front glass of a Fore-Bridge-Ship (Ro-Ro Ship) was broken by the shipping of water in rough seas, and then the flooding of seawater into the wheelhouse caused the uncontrollable condition of the ship. The hull which was entered into the floating condition rolled severely, and the heavy rolling caused secondary damage such as the collapse of a lot of cargo. It was an incredible accident because the height of bow freeboard was about 2.5 times higher than the standard height of minimum bow freeboard regulated by the International Load Line Convention(1966). And it would be also difficult for navigators to imagine a great deal of seawater flooding into the wheelhouse because the front glass was positioned at about 20m height above the sea surface.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the evaluation for the safety navigation of the Fore-Bridge-Ship numerically against ship's speed and encountering angle to the wave in each sea state of rough sea, by using the integrated seakeeping performance index (ISPI) which is able to evaluate synthetically the safety operation of ships. And then the problem on the application of the past criteria proposed as the safety navigation of a merchant ship was clarified by inquiring the dangerousness of the shipping of water at her bow deck, which caused the breakage of the wheelhouse front glass.
        4,300원
        1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cent earthquake damage of surrounding countries is increasing, occurrence of frequent earthquakes in the country, thus, the interest abou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is increasing. Korea, was established in 2008 earthquake measures method, KBC2009 was also amended by design standards. KBC2009 based seismic design and seismic strengthening has become mandatory, Design of the building before the current seismic design standards must be satisfied in KBC2009. Therefore, ATC-40, FEMA-273 an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will conduct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t the Previous design code building.
        1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 영국 등 외국에서는 설치되는 위치 및 내화성능 시간 등에 따라 방화유리 또는 내화유리의 사용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는 반면, 국내 건축법에서는 방화유리를 발코니 방화벽 등 일부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유리부재를 방화구획 등에 사용하려 하여도 관련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그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방화유리 및 내화유리 관련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찰하여, 화재시 건축물에서 유리부재의 적절한 방화성능기준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된 자료는 유리부재 설치에 대한 규정 개정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7.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철도터널내 화재시 터널내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간-온도곡선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철도터널건설과 터널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터널연장이 길어짐에 따라 터널 내 화재사고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철도터널의 화재빈도수는 적지만 화재시 인명과 교통차단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는 막대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철도터널 화재에 대한 적합한 시간-온도 곡선을 규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의 통행량, 차량 종류 등을 고려한 열방출율을 기초로 외국에서 제시된 시간-온도 곡선을 검토해 보았으며 국재 실정에 가장 적합한 설계화재 모델을 제시하였다. 탄화수소(HC)시간-온도 곡선이 국내 철도터널의 설계화재모델로 가장 적합하였으며, 탄화수소 시간-온도곡선에 의한 철도터널 구조체의 온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콘크리트터널 구조체의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1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선박을 이용한 화물운송의 증대, 해양관광 및 레저 활동을 위한 연안 여객선의 운항 증가, 그리고 해양생태계 파괴와 사회적 문제로 확산된 서해안 기름유출 사고 등 해양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박의 안전운항은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운용되고 있는 선박의 출항통제기준에 대한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검토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운항 시 안전운항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갖는 파랑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연안항로에 취항하고 있는 대표적인 선형의 여객선들을 대상으로 해상상태 및 선형에 따라 내항성능지표를 이용하여 선박의 항해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박출항통제 기준의 개선과 연안 여객선의 안전운항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