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발 성장인자 관련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성장인자가 탈모에 적용되었을 때 모발의 시너지 효과를 연구하여 뷰티산업 종사자들이 전문적이고 경쟁력 있는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틈새 시장인 점판 시장의 활성화로 뷰티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성장 인자는 인체가 출생 시 가지고 태어나는 세포분열 활성화인자로 기능이 떨어진 세포를 자극하여 모발 성장과 모유두 세포의 세포 분열을 촉진시키며 모발 성장기를 연장시킨다. 모낭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된 성장 인자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F),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Noggin(모낭자극성장인자), 줄기세포증식인자 (SCF, Stem Cell Factor), 케라틴형성세포 성장인자(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간세포성장인자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등이 있다. 이들 성장인자들은 각각 모낭과 모발의 형성을 촉진하며 모낭의 성장을 조절하고 모발의 성장기 유지에 기여하며 정상적인 성장 주기로 컨트롤 한다. IGF-1과 GH를 같이 투여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어 피부 파필라 주위의 매트릭스 세포와 결합 조직 피복(CTS)의 두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프로시니아딘(포도씨 추출물)과 산사열수 추출물은 모발 성장과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에 유의미하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적용 시도 모유두 세포의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모발이 성장함에 따라 IGF-1의 발현 은 증가되고 TGF-β1의 발현은 감소되어 모유두 세포의 퇴행과 감소를 지연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성장인자가 남성형 탈모를 지연시켜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은 좀 더 편리하고 효과가 증대되는 대중적인 두피.모발관리의 한 방법인 샴푸, 트리트먼트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미흡한 점이 보완되기를 바란다 .
        4,200원
        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규칙적인 태권도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뇌신경성장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년 비만 여성 33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은 태권도 그룹(TG, n=15)과 대조그룹(CG, n=18)에 무선 배정되었다. 태권도 그룹은 16 주간 일주일에 5번 태권도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두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과 후 각각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농도 검사와 Stroop Color and Word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태권도 그룹의 BDNF와 IGF-1이 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증가한(p<.05) 반면 VEGF와 Stroop Color and Word Test 결과 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규칙적인 태권도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뇌신경영양인자에는 긍정 적이지만 뇌 인지기능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규칙적인 태권도 운동이 체구성, 체력, 뇌파활성 및 뇌신경성장인자(BDNF, IGF-1, NGF)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의학적 질환이 없는 대학생 24명을 대조그룹(CG), 유산소 트레이닝 그룹(ATG) 그리고 태권도 트레이닝 그룹(TTG)에 각각 8명씩 무선 배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12주 유산소 및 태권도 트레이닝은 주 3회 실시되었으며, 운동강도와 시간은 4주단위로 조정되었다. 뇌파활성 검사 및 채혈은 12주 유산소 및 태권도 트레이닝 전과 후 각각 실시되었으며, 그룹과 시기에 따른 체력요인 및 생화학성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채혈시점을 반복 측정하는 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간의 유산소 및 태권도 트레이닝은 신체구성과 뇌파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산소 트레이닝과 태권도 트레이닝 모두 체력요소 중 평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12주 유산소 트레이닝은 뇌신경성장인자인 BDNF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 12주 유산소 운동은 체력과 뇌신경영양인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태권도 운동은 뇌파활성화 및 뇌신경영양인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6.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fferent ligands can lead to the activ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the subsequent signal transduction leads to an increase in cellular motility, proliferation, invasion, and blocking of apoptosis, and all of thi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ancer. Our studies clarified; 1) The EGFR expression level is reduced during tumor progression or during ligand-induced EGFR activation. 2) ANXA8 and its regulatory pathway may well be alternative, strategic targets for inhibiting tumor metastasis. 3) The molecular pathway of EphA2 signaling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s that control cancer progression and metastatic spread in cholangiocarcinoma (CC). Therefore, therapeutic strategies that target EphA2 and its downstream effectors may be useful to control CC.
        4,800원
        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와 Burkholderia의 공생 시스 템은 숙주와 장내 공생균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는데 있어서 좋 은 공생 연구 모델로 인식되고 있다. R. pedestris의 중장은 총 다섯 구간으로 구성 되며 그중 M4 중장에서만 특이적으로 Burkholderia가 서식하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숙주의 M4는 Burkholderia가 살기에 매우 열악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러한 환경에서도 Burkholderia가 높은 서식밀도를 가지 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공생균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인자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을 세웠다. 숙주 장내와 비슷한 조건을 주기위해서 최소배지에 당을 제거하고 M4 추출물 만으로 공생균이 성장할 수 있는가 확인해 보니 M4 추출물의 양에 비례하 여 공생균이 잘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생균 스스로가 내는 인자인지 숙주가 내는 성장인자인지 알아보기 위해 공생균을 가지고 있지 않은 aposymbiotic 곤충의 M4 추출물을 처리하여 공생균이 성장하는 것을 보았다. Symbiotic 곤충의 M4 추출물의 영향처럼 aposymbiotic곤충의 M4 추출물도 공생 균의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성장인자가 숙주에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숙주 가 제공하는 공생균의 성장인자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서 M4 추출물에 열처리와 proteinase K 처리 또는 phenol 분리를 통해서 단백질이나 지질이 아닌 열에 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고, 에탄올에 침전되지 않는 것을 통해서 다당 및 핵산이 아니 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성장인자가 친수성의 작은 대사물일 것이라 추측하 고, 숙주의 M4 추출물에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와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 하여 공생균 성장인자를 분리하였다.
        8.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bone matrix proteins during the bone healing process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Especially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hanges of bone matrix and growth factors around the titanium implant. Threaded implants were introduced into the long bone of tibia. Time dependent changes of several bone associated protein and and its mRNAs were observed. Protei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collagen, osteonectin(ON), osteopontin(OPN), osteocalcin(OC). Expression of the proteins were measur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VEGF and ON were measured using in situ hybridization, and northen blot technique. Bone regeneration were observed as early as the third day of experiment. Matrix proteins and growth factors observed around implant were identical to the protein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the ON, OC and VEGF were observed mainly in the osteoblast-like cell on the surface of new bone around the implant and the cells lining the margin of bone defect apart from the implant. The observation may not result from direct osteoconducting activities of titanium but by passive adsorption of extracellular factors which has bone inducing capacities. These passive adsorption results in the immobilization of the growth factors and consequent prolongation of the activities.
        4,000원
        9.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the imbalance between epithelial cell growth and inhibitor factors may cause human epithelial cancer. Over-express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GFR) has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ZD1839 inhibits selectively the EGFR tyrosine kinase activity and is clinically used for cancer patients. However the mechanisms by which it exerts its anti-tumor activity remains unclear.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ZD1839 on the cellular level and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ZD1839 with regard to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OSCC) cell growth. The YD-10B and YD-38 cell lines established from OSCC in th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and ZD1839(Iressa)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ZD1839 was reversible and the lowest dose of ZD1839 that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in YD cell lines were 0.1 μM. The delay in cell cycle progression was induced by 0.1 μM of ZD1839 treatment after 24 hr. This reduction i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delay were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the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CDKI), P21CIP1/WAF1 and P27KIP1. Reduced expression of cyclin D1 was also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ZD 1839 to YD-38 cells but not to YD-38.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ZD1839, in vitro was associated with degradation of cyclin D1, which may be used as a possible indicator of a high cell sensitivity to ZD1839.
        4,000원
        10.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eletal muscle injury occurs frequently in sports medicine and is the most general form of injury followed by physical impact. There are growth factors which conduct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ynthesis of myogenic prodromal cells and regulate vascular generation for the continued survival of myocy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and electrical stimulation (ES) on muscle recovery processes according to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Eighteen Sprague-Dawley rats were separated into 2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led group. All animals had suffered from crush damage in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for 30 seconds and were killed 1, 3, and 7 days after injury. 30 Hz and 1 mA impulsion for 15 minutes was applied to the EA experimental groups Zusanli (ST36) and Taichong (LR3) using electroacupuncture and the same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ES group using an electrical node. Hematoxyline-Eosin staining and VEGF immunohistochemistry were used to ascertain the resulting muscle recovery. There were few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A and ES groups, and both groups were observed to have tendencies to decrease atrophy as time passed. In the controlled group, gradually diminishing atrophy could be observed, but their forms were mostly disheveled.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VEGF expression between the EA and ES groups, and tendencies to have an increased quantity of VEGF with the lapse of time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In the controlled group, a little VEGF expression could be observed merely 7 days after injury. In conclusion, EA and ES contributed to muscle recovery processes and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muscle injury.
        4,000원
        1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연역조직 회학 방법 및 in situ hybridization 법을 이용하여 골 치유 과정중의 골성 장 반응 빛 골 기질 단백질 형성이| 관여하는 여러 성장인자 및 골기질 관련물질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임 플란트 배식 후 티티늄 표연과 인접한 주변 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 골 성장과 관련한 성장인지들의 변화를 관칠하고자 히였디 직경 3 -5mm의 thread - ed implan t를 백서 장골에 매 식한 후 시 간적 변화에 따른 골기질 관련 물질 및 관련 mRNA의 분포변호}를 관찰히였다 디1 상은 콜리 겐 . osteonectin(ON). osteopontin(OPN). osteocalcin (OC) 동의 분포의 변호}를 연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보고 이와 힘께 골기질 형 성관련 성장인자인 VEGF와 ON 의 l알헌을 in situ hybricli za tion 법을 이용해서 관찰하였다 3일째 소견에서 는 골 내부에 형성된 나사 산과 잉프란트의 강제적인 접 촉으로 인해서 높은 접촉률을 나티내고 있었으나‘ 부위에 따라서는 혈벙으로민 둘러씨인 부분도 관칠되었 다 7일째 소견에서 는 이 같은 인위적인 접촉부위에서 골 흡수가 일어니연서 골접촉이 크게 감소하였다 7 일과 14일에서 골의 형성은 이주 낮은 정도로 나타났으마. 14 일째에 는 골 집촉의 증기기 다소 나타나지만 골 밀도는 골의 게조로 인해 김소하는 소견을 나타내 었 다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대조균은 콜라겐이 결합조직 에 서 항상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실험군에서는 신생 골에서 일부에 서만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C은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존 골의 손상부위에 부분적으로 양성 만응을 보였다 OPN은 결함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 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ON은 기존골의 일 부와 신생골에서 관찰 되었다 특히 골모세포와 골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 었다 대조군과 실험군들 간의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C은 대조군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인접 골 주변부에서 부분적 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PN은 대 조군과 실험군 동일하게 결합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발현되는 것도 유시하였다 ON의 말현 OJ상도 대조군의 경우와 통일하였으며 골모세포나 골세포 에서 양성 반응을 나티 내 띤 서 골질에 대해서 는 신생골이니 골 게 조 후의 골보다 석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골 개조 이전의 골에서 뚜렷한 양성을 보였다 ON 의 발현잉상에서 연띄조직화학 염색소견과 달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내 mR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다 근 접힌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히는 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얻은 겔론은 다음과 같다 i 소형 임플린트의 떼식 시 나타나는 조직 띤응은 정싱크기 의 임 풀란트에서외 동일힌 소견을 나타내았다 2 골재생은 3일 째부터 관칠되었으며 14 일이후 골재소가 나티니 21 일까지 지속되었다 3 임플란트 주맨에서 나타냐는 골재생관련 성장인자외 골기질 단백질은 골결손으로 인한 재생 시와 동일한 소 낀을 니 타내 었다 4 띤약조직화흐l 염색소견과 달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 포내 mR 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디근접한 세포에서 발힌이 증가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임풀란트 제 료의 표면이 골형성 유도능을 가진 것이기 보다는 골형성 유도 능을 가진 세 포외 인지들이 티타늄 표띤 애 수동적으로 홉착됨으로 잔존 기간이 증가하고 이동성이 감소함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5. 티타늄 인 플렌트의 표띤은 특띨힌 처리 없이 도 곧형성 유도른 증가시 키는 것으로 보인다
        14.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culture cells and growth factors on in vitro culture of Korean native cattle(KNC) embryos fertilized in vitro. Two-eight cell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using 4 types of co-culture cells and 3 growth factors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o-culture of 2~8 cell embryos with bovine oviductal epithelial cell(BOEC), granulosa cell(BGC), uterine epithelial cell(BUEC) and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monolayers,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with BUEC(32.1%) than with MEF(15.3%), BGC(13.2%) and non co-culture control(11.6%). When the morula co-cultured with BOEC for 5 days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were co-cultured with BOEC continuously or with BUEC, respectively,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higher with BUEC(73.9%) than with BOEC(56.0%).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wth factors on in vitro development of 2~8 cell embryos, epidermal growth factor(EGF), transforming growth factor-l(TGF-l)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were added singly or in combination to TCM 199 maturation medium with respective concentration. In a addition of each 10, 30 and SOng /rnl EGF,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the highest in lOng /ml EGF(25.3%). In addition of each 1, 2 and Sng /mi TGF-1,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the highest in lng /ml TGF-1(28.8%). In addition of each 50, 100ng/ml JGF-l,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higher in 100ng/ml IGF-l(16.5%) than in SOng/mi IGF-1(12.9%). When lOng /ml EGF and lng /ml TGF-l was added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similar in groups added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EGF and TGF-l (23.l~24.6%), although higher than in control(16.7%). In the co-culture of 2~8 cell embryos Wth BOEC + each 10, 30 and 5Ong /rnl EGF,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BOEC + long /ml EGF(32.3%) than in BOEC + 3Ong /ml EGF(18.9%) and BOEC + song /ml EGF(9.7%). In the co-culture of 2~8 cell embryos with BOEC + each 1, 2, Sng /ml TGF-l the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as higher in BOEC + Sng/rnl TGF-l(28.2%) than in BOEC + lng /ml TGF-l(21.7%) and BOEC + 2ng/ml TGF-l(21.4%). In summary, higher developing rate to blastocysts were obtained with co-culture of BUEC for co-culture system, with addition of lOng /ml EGF or lng /ml TGF-l for growth factor culture system, and with co-culture of BOEC + lOng /ml EGF or BOEC + Sng /ml TGF-l for co-culture + growth factor culture system.
        4,600원
        1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PG in the fibromyalgia (FM)-like animal model. Methods and Results : To assess the possible effect of PG on FM symptoms, we constructed a FM animal model induced by intermittent cold stress with slight modification. All mice underwent nociceptive assays using electronic von Frey anesthesiometer and Hargreaves equipment.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PG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and phosphorylated CREB (p-CREB),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es were performed. In behavioral analysis, nociception tests showed that the pain threshol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M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of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showed downregulation of BDNF and p-CREB proteins in the FM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PG recovered these changes at behavioral tests and protein level.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effects of PG extract in the FM model may be related to its modulating effect on the BDNF signaling pathway in the hippocampus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Conclusion : Our animal model may be involved in the mechanism by which PG extract is effective as a therapeutic agent for FM.
        20.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드름은 면포, 구진, 낭종, 결절, 색소 침착 등 다양한 피부병변으로 나타나는 모낭피지선의 만성 염증질 환으로 사춘기부터 성인기까지 발생 연령대가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약물 부작용으로 여드름이 발생하기도 하 는데,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uwth factor, EGF) 수용체 억제제 항암제를 사용할 경우 75 ∼ 100%에서 여드름양 모낭염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여드름의 치료로 항생제, 레티노이드 경구 복용 및 외용 약제 도 포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레티노이드 기형 유발 가능성 및 Propionibacterium acne의 항생제 내성률 증가는 기존 치료의 한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여드름양 발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EGF를 함유한 외용제가 여드름 치료에 미치는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한국 성인 10 ∼ 29세 23명을 대상으로 EGF 함유 제품(트러블컨트롤 EGF)과 3종 제품(트러블컨트롤 클래리파잉 클렌징폼, 트 러블컨트롤 올-클리어 필링토너, 레드롤 카밍 모이스처)을 하루 두 번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 후 영상 피지량, 경표피수분손실량, 피부 홍조 측정, 전문가 육안 평가, 사용 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평가하였다. 최종 측정 시, 피부 피지량, 경피수분손실량, 피부 홍조가 통계학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전문가 육안 평가에서 여드름 병변(면 포, 구진)도 통계학적으로 감소하였다. 연구동안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피성장인자 함유 외용제는 경도의 여드름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