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목의 정확한 수령은 수목의 수간과 뿌리 사이에서 관찰 되는 나이테 수로 결정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해당 부위 가지면 아래에 위치하며, 노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제한되어 있어 생장추를 이용한 생장편 채취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가슴 높이에서 생장추로 채취한 생장편의 횡단면에서 관찰되는 나이테 수에 생장편 채취 높이까지의 생육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합하여 수령을 추정하다. 따라서 수고생장 속도에 관한 기초자료는 수목의 수령을 추정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고유수종이다. 하지만 환경변화로 인해 고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상나무의 고사를 유도하고 있는 환경인자들로 온도 상승, 수분 스트레스 증가, 태풍 등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생물학적 한계 수령도 고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2017년 지리산국립공원 반야봉 일대에서 실시된 구상나무 고사목 100여 본의 수령을 조사한 결과 100년이 넘는 구상나무가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상나무의 수령과 관련된 연구 중에 생장편을 채취한 높이까지 구상나무의 수고생장이 도달하는 기간이 보정된 것이 없기 때문에 실제 수령은 다소 증가 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지리산 아고산대에서 고사한 구상나무의 수고 생장 속도와 청주 미동산수목원에 식재된 구상나무의 수고 생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고산대와 저지대의 구상나무 수고생장 속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또한 구상나무 수령 추정 시 얼마나 많은 수령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알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지리산 아고산대에서 고사한 구상나무 1본과 청주 미동산 수목원에 식재된 구상나무를 대상으로 10cm 간격으로 나이테 수를 조사한 결과 가슴높이(120cm)까지 생장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이 각각 17년과 11년이었으며, 처음 10cm 까지 수고생장을 하는데 각각 4년과 3년이 소요되어 가장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다. 이후, 지리산 아고산대 구상나무 는 80cm까지 10cm씩 수고생장을 하는데 약 2년이 소요되었으며, 청주 미동산수목원 구상나무는 40cm까지 10cm씩 수고생장을 하는데 약 2년이 소요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고산대 구상나무가 저지대에서 생육하고 있는 구상나무보다 수고생장 속도가 느리며, 가슴높이에서 채취한 생장편을 이용하여 구상나무의 수령을 추정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0년 이상을 추가해야 함을 확인되었다. 생육환경에 따라 수고생장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생육 환경에 따른 구상나무의 수고생장 속도에 관한 연구가 체계 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구상나무의 수고생장은 느리기 때문에 수정 추정 시 보다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이 함께 확인되었다.
        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of enhancing arboretum’s competitiveness and suggest efficient ways in making other arboretum afterwards by grasping decision factors that make people visit an arboretum operating in Korea. For this study it was conducted mo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visitor’s characteristic, and then fou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ly in revisitors, though other factors had nothing to do with results. The satisfaction of facility and tour effect is higher in revisitors compared with first visitors. In the gender aspect, women were satisfied with the distinctive things more highly than men among five lower factors of satisfaction. Also, in the age group aspect,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the scenary were ranked higher from 20 to 30 than from 40 to 50. The findings will provide imformation on the satisfaction of the arboretum visitors and enhance arboretum’s competitiveness.
        4,500원
        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물표본은 지구상의 모든 생물 종들이 존재하였던 시간과 장소에 대한 영구적인 기록으로 분류학의 기본적인 연구 재료일 뿐만 아니라, 생물을 재료로 하는 생물자원 사업의 증거자료로써 매우 중요하다. 2010년 ‘나고야 의정서’채택으로 생물자원을 둘러싼 국가간 경쟁이 더욱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각국은 생물자원 주권 증명을 위해 생물종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정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과 비교하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표본확보 및 기확보 표본에 대한 정확한 정보구축이 필요하며, 이들의 이용도 및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현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내 보유중인 약 40여만건의 곤충표본에 대한 분류군별, 지역별, Diva-GIS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포도 작성으로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표본확보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내 소장된 표본 466,470점의 분포정보 분석. 표본 정보 수정 및 재입력 과정, 정확한 좌표정보 및 채집지가 기록된 374,331건 선발하여 분포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본의 수집지역과 미수집지역을 파악하였다. 이외에도 목별로 채집종수를 파악하여 향후 추가로 확보가 필요한 분류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기반으로 국립수목 원 장기적인 표본수집 방향과 연구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1999년 5월 24일 임업연구원(현 국립산림과학원) 중부임업시험장으로부터 독립하여 신설된 국내 최고의 산림생물종 연구기관으로 산림생물과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립수 목원이 위치한 광릉숲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4,465 ha의 좁은 면적이지만 국내 기록된 곤충 종(14,188종, 2010년)의 약 28%인 3,977종이 보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기념물 제218호이 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장수하늘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종과 국내 미기록 곤충이 발견된 곤충 종 다양성의 보고라고 할 수 있겠다. 국립수목원 개원 이래 곤충연구 분야에서 수행되었던 연구 과제와 성과를 뒤돌아봄으로 써 산림곤충의 종 다양성, 산림의 공익적 가치, 산림복지와 국민들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산림곤충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수립, 논의하고 국내 곤충 전문가들로의 연구과제 수요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
        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금강수목원 및 금강자연휴양림 주변의 곤충상을 조사하고 이들에 대한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향후 이 지역에서의 곤충상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산림박물관에 전시물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금강수목원 지역은 공주 및 세종시 일원의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보전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향후 기후변화와 관련한 취약종의 조사 및 분포역의 변화 등의 관련연구를 위해 기초자료가 확보가 요구되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봄부터 가을에 이르는 4∼9월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곤충표본을 수집하여 표본을 제작하고 분류·동정하였다. 금번 조사 결과 총 264종 1,100개체의 곤충류가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된 곤충류를 분류군별로 정리하여 자료로 작성하였으며, 시기별 출현양상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들 조사결과는 향후 당해지역의 곤충변화상 연구를 위한 비교자료 뿐만 아니라 산림박물관 내에 전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8.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ere performed in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to assess the effects of beneficial insects against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on Phyllanthus acidus (Linnaeus) Skeels and Tetranychus urticae Koch on Acalypha wilkesiana Muell Arg. We investigated the density of leaf-feeding P. comstocki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 weeks and T. urticae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 weeks after introducing their natural enemies; Chrysoperla nipponensis (Okamoto) and 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The densities of P. comstocki were suppressed 80.0% (after 4 weeks) and 97.5% (after 8 weeks) after introducing C. nipponensis. The densities of T. urticae were suppressed 84.1% (after 4 weeks) and 99.6% (after 6 weeks) after introducing P. persimilis.
        4,000원
        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만금수목원은 새만금간척지의 농업용지 내 조성될 국가수목원으로 2025년 개원하는 면적 200ha의 해양기후대 해안·도서식물을 수집, 보전하는 세계 최대의 해안형 수목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수목원조성대상지는 지리적으로 해양성 기후와 내륙기후의 기착지점으로 생물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적공간으로 여타수목원과의 차별성을 갖는 곳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국가수목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양분선택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새만금수목원 조성을 위한 개인별 평균 지불의사액은 6,607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를 전국 시도별로 확장하면 연간 207억 원에 달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수행하였더니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내부수익률은 각각 141.86억 원, 1.16, 7.48%로 계산되었다. 이 값은 각각 0, 1.0, 5.5%를 상회하므로 새만금수목원 조성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새만금수목원 조성 및 유지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며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1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예정지인 세종시의 주변지역인 전월산 곤충상을 조사하고 이들에 대한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향후 이 지역에서의 곤충상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산림곤충자원의 확보차원에 수행되었다. 특히 금번 조사 지역은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보전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향후 기후변화와 관련한 취약종의 조사 및 분포역의 변화 등과 같은 관련연구를 위해 기초자료가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지 주변지역인 전월산을 중심으로 2013년 5∼9월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곤충표본을 수집하여 표본을 제작하고 분류동정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나비목은 11과 150종 975개체를 확보하였다. 이들을 분류군 별로 살펴보면 밤나방과가 58종 439개체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자나방과가 40종 213개체로 조사되어 두 번째로 많은 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명나방과, 독나방과, 갈고리나방과, 재주나방과 등의 순으로 채집조사되었다. 이들 조사결과는 향후 당해지역의 곤충변화상 연구를 위한 비교자료 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이후 전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1.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박물관 10개소에서 운영 중인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산림박물관의 효과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은 기대도보다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이용 대상연령의 다양성, 학습도구로서의 전시구성, 지역외부기관의 연계성 등의 경우 전시기법이나 재료가 학습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산림박물관과 수목원을 연계한 체험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체험 위주의 전시연출을 위해 이용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참조하고, 체험전시의 주제와 내용전달 방식 등을 조화롭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지역단체가 같이 참여 할 수 있는 참여형 산림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기획을 마련해야 한다.
        4,000원
        1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수목원 조성예정지인 경북 봉화군 서벽리 및 충남 세종시 일대의 곤충상을 조사하고 이들에 대한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향후 이 지역에서의 곤충상변화 연구 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산림곤충자원의 확보차원에 수행되었다. 특히 금번 조사 지역은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보전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향후 기후변 화와 관련한 취약종의 조사 및 분포역의 변화 등과 같은 관련연구를 위해 기초자료 가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8월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곤 충표본을 수집하여 표본을 제작하고 분류동정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491종 4,239 점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조사를 통해 확인된 딱정벌레목의 주요 우점종은 버들잎 벌레(Chrysomela vigintipunctata), 아우점종은 홀쪽잎벌레(Psylliodes attenuatus) 로 나타났다. 이외에 고유종 2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과 외래 동물종 3종이 각각 채집되었다. 또한 나비목의 주요 우점종은 검은점뾰족명나방(Endotricha loivaceali)이 222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고, 넓은띠담흑수염나방 (Hydrillodes morosa)이 97개체, 줄보라집명나방(Craneophora ficki)이 86개체가 채집되어 아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한국미기록종인 Ypsolopha amoenellus 가 처음으로 채집되는 성과를 얻었다.
        13.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치추정의 방법은 대상재의 설정, 지불수단의 결정, 지불의사 유도 방법 결정, 가상적 상황설정, 설문, 분석,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가치 추정은 DBDC방식으로 진행 하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도출된 추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알려진 logit분포를 가정한 함수의 분포 형태별로 각각의 추정액을 도출 하였다. 통계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1인당 대구수목원을 방문하여 얻는 연간 휴양의 가치는 WTPmean 12,718원, WTP median 11,033원, WTPtruncated mean 11,468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대구수목원이 제공하는 연간 환경의 가치는 약 160억 원에서 190억 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가치추정법은 그 연구 대상지나 대상 재화만 변경하여서 기타의 환경재 가치 추정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4,300원
        1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4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광릉수목원에서 어류군집을 조사하였다. 출현한 어종은 총 9과 22종 1,272개체였고 출현한 어종 중 멸종위기야생동∙식물에 속하는 종은 Cottus koreanus 1종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종은 Micropterus salmoides 1종이었고 출현한 어종 중 한반도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9종(종구성비: 40.9%)이었다. 우점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St. 1)와 Zacco platypus (St. 2~7) 이었다.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지수 및 종풍부도 지수로 보면 St. 3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어류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Silurus microdorsalis, Cottus koreanus, Odontobutis platycephala 등은 왕숙천수계에서 광릉수목원 내 봉선사천에 국한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932년 조사와 비교 시 17종이 출현하지 않았고 7종이 새로 추가되었다. Hemibarbus mylodon, Acheilognathus signifer, Zacco koreanus 등은 왕숙천 수계 내에서 소멸된 것으로 생각되며 Acheilognathus signifer와 Zacco koreanus는 복원 대상종으로 생각된다.
        4,000원
        18.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안 및 도서지역의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상록활엽수림의 복원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천리포수목원 닭섬에 대한 현존식생구조를 밝히고 도입식물들의 활착 상태를 조사하였다. 천리포수목원의 한랭지수는 -7.7℃.month로 목포(-7.6℃.month)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서해안을 흐르는 황해난류의 영향으로 한서의 차가 비교적 적은 난온대성 기후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11개 식생구조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 곰솔이 우점종이었으며 1976년부터 식재하기 시작한 상록활엽수는 26종 708개체이었으며, 이 중 15종 121개체가 활착하여 약 19.1%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4,000원
        19.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ests are valuable natural resources for people living around the mountains. In particular, the comfortable feeling or heal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enefits obtained from forests. This healing can be possible by many aspects of forests, including the landscape, natural sounds, anions, and pleasant aromas. We focused on the volatile organics from forest causing pleasant aromas, phytoncides. Twenty phytoncides were monitored from February to September in a national tree garden (BaekDoDaeGan SooMokWon). Five sites were monitored two times per month and 20 phytoncides were detected. Borneol showed the highest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and the order of concentration was borneol > mycene > sabinene > limonene > α-pinene. The average phytoncide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high in spring and summer season when the trees were physiologically active. Daily monitoring showed that the afternoon hours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phytoncides than the morning hours, which may be due to the stabilized atmospheric conditions at the sites. Among the five sites, coniferous forests gave higher phytoncide emissions than broadleaf tree forests.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forests produce several phytoncides that cause a healing effect and a forest bath may be beneficial to the health of visitors to forests.
        20.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policy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public arboretum and survey the program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operators based on the case of the Daegu arboretum. According to the order of policy priority regarding the Daegu arboretum, the expansion of the education program topped the list with 0.155 point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 vision and goal, and the reestablishment of function, which scored 0.135 and 0.135 points, respectively. Fostering citizens’ participation through volunteer work was in the upper ranks with 0.131 points. Building networks among public arboretums and constructing a research cooperation system with universities turned up with 0.09 and 0.075 points. As the result of program satisfaction,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around 0.66 points higher than that of operators’ satisfaction. In the case of participants, comprehensive satisfaction, including that with the program operation method, was very high at 4.85 points. Out of the entire program, the operators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 benefits. This study aims to share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arboretums constructed in urban areas, analyzing policy prioritie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the Daegu arboret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for the improvement plans of public arboretums. If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arboretums are modeled with other follow-up case studies, it will help ensure that public arboretums become evolving rather than fixed areas for citizen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