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강도성능과 기능성을 보강한 건축내장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목재섬유에 녹차와 3종류의 숯을 혼합한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구성원료의 종류 및 그 배합비율이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적탄성률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정적 휨강도성능을 예측하였다.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은 백탄함유 복합보드에서 전체적으로 약간 우수하였으나, 숯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녹차와 숯의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의 감소하였다. E1급 요소수지를 사용한 복합보드가 E0급 요소수지를 사용한 그것보다 높은 동적탄성률을 나타내었으나, 양수지간의 차이는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비해 현저히 적었고,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보다 현저한 동적탄성률의 향상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과 정적 휨 강도성능사이에 대부분 1%의 신뢰수준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동적탄성률로부터 정적 휨 강도성능이 예측이 가능하였다.
        4,300원
        3.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sheets were fabricated by mixing of nanocrystalline soft magnetic powder, charcoal powder and polymer based binder. The complex permittivity, complex permeability, and scattering parameter have been measured using a network analyzer in the frequency range of 10 MHz10 GHz.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permittivity of sheets was largely dependent on the frequency and the amount of charcoal powder : The permittivity was improved up to 100 MHz, however the value was decreased above 1 GHz. The power loss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data showed almost the same tendency as the results of complex permittivity. However, the complex permeability was not largely affected by the frequency, and the values wer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harcoal powder.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addition of charcoal powder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EM wave absorption in the frequency range of 10 MHz1 GHz.
        4,000원
        4.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yed loess and charcoal fabrics are sold in market as bedding. They have a lot of functions so that people are getting to increase their expenditure for them. Thus we investigated a repellent effect of loess fabrics and charcoal fabrics against house dust mites. The evaluation of the repellent effect of dyed loess fabrics and charcoal fabrics was conducted by using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e compared the repellent effect of dyed loess fabrics at different doses of 0.3, 1.0, 3.2, 10.0 ㎎/㎠ and dyed charcoal fabrics at different doses of 0.3, 0.6, 1.0 ㎎/㎠. Commercial loess fabrics did not have a repellent effect against house dust mites. but commercial charcoal fabrics had the repellent effect by 78% against them. In case of dyed charcoal fabrics added with charcoal powder over 0.6 ㎎/㎠, they showed the repellent effect by over 80%.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ess fabrics and charcoal fabrics have a repellent effect of against house dust mites and they can be commercially used for the purpose.
        4,000원
        7.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8.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초의 본포초기해충인 숯검은밤나방 유충의 경제적 피해수준 밀도를 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초이식전 포장내 유충밀도를 확정하기 위한 표본추출방법과 유충밀도와 연초감수량(품종 : Hicks)의 관계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과찌꺼기, 쌀겨 및 토끼풀더미의 표본추출방법중에서 토끼풀더미가 비교적 높은 표본추출효율을 보였으며 토끼풀더미는 유충의 령기와 실험시기에 따라 의 표본추출효율을 보였다. 2. 포장내잡초의 유무에 따라 표본추출효율은 차이가 있으며 령충을 공시했을 때 잡초가 없는 상태에서는 , 잡초가 있는 상태에서는 의 표본추출효율을 보였다. 3. 숯검은밤나방 유충밀도(X)와 피해율(D)의 관계는 였으며 피해율은 액아의 생장과 결주에 따른 연초개체군의 보상결과를 감안하여 보상피해율(D')을 구하였으며 의 치선회귀관계를 보였다. 4. 보상피해율(D')과 감사량(Y, kg/10a)의 관계는 였다. 5. 관측치만 이용한 접종충밀도와 감수량의 관계 (Y=2.68X) 보다는 피해율 및 보상피해율을 대입하여 얻은 추정회귀식(Y=4.2+1.38X)이 실측치에 더적합하였다.
        4,000원
        9.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거세미류중에서 숯검은밤나방이 과연 우점종인가를 밝히고 그 가해기간 및 가해기의 유충령기를 조사하였다. 년의 조사결과 숯검은밤나방유충이 봄철에 채집된 거세미류중 약 이상을 차지하며 밭작물의 피해초기에는 대부분이 령충으로 가해기간은 약 개월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 해충의 영명을 'dark grey cutworm'으로 명명하였다.
        4,000원
        10.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ent coffee grounds, activated sludge, chicken manure, and agricultural waste-derived biochar were used to manufacture eco-friendly and functional compost via the bioaugmentation of white rot fungus and plant growth that promotes beneficial microorganisms. Six lab-scale composting reactors were established to perform composting. After composting was completed over 45 days, the composts were analyzed for major elemen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mpost maturity, and compost effectiveness on crop growth and quality. Concentrations of T-N and PO4 3−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mposts that had been amended with biochar and/or white rot fungus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those of NO3 −-N, TOC and TOC/T-N had significantly decreased,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effective composting. Besides, the germination indices of these composts were also generally higher than the control by 10-34%, indicating that the composts were mature. The four composts amended with biochar and/or white rot fungus (TR-3, TR- 4, TR-5, TR-6) also appeared to stimulate more growth in lettuce compared to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by 36- 104%). Besides, composts TR-3 and TR-4 respectively enhanced DPPH scavenging activity in lettuce leaves by 58% and 49%, while TR-4 and TR-5 respectively enhanc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by 44% and 37%. This implies that the amendment of biochar and the bioaugmentation of white rot fungus could facilitate the compost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quality functional compost that is able to enhance the antioxidant content in crops. Quality composts could better compete with the commercially available fertilizers in the market, leading to the eco-friendly recycling of organic wastes such as spent coffee grounds, sludge, chicken manure, and agricultural waste.
        1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rcoal concrete. Compress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specimens with various replacement ratio (0%, 10%, 20%) of charcoal.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rcoal concrete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charcoal.
        12.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ission characteristics of gaseous odor compounds emitted from the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odor removal efficiency of odor control devices.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d odor dilution ratio of emission gases ranged from 10,000 to 44,814, which exceed largely the emission standard in the stack. Methylmercaptan, trimethylamine, hydrogen sulfide, acetaldehyde were turned out as major odor compounds of the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the odor removal ratio of odor control devices were very low due to the its improper maintenance and wrong design.
        13.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이오매스에서 얻어지는 바이오차는 토질 개량제와 탄소 격리제로 제한적인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산업전반에서 CO2 에 의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고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탄소 바이오차를 탄소 격리제 또는 시멘트의 혼화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견목재에서 얻어진 바이오차를 혼화재로 사용하여 시멘트 배합조건을 달리하면서 모타르의 압축강도, 마이크로구조, 압축강도, 유동성, 중량감소와 같은 화학적, 물리적 재료성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플리이애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과 비교 평가하였다.
        1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숯은 제조 및 활용과정에서 연소를 통해 함유된 성분들을 방출한다. 연소는 숯의 화학조성뿐만 아니라 숯의 표면 물성변화를 초래하고 다른 성분을 흡착하기 쉬운 상태로 변형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4종 숯에 대하여 화학적, 열적안정성과 중금속 및 유기유해물질의 거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온에서 400℃까지 열중량분석(TGA)과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한 연소에 따른 중량변화와 관련된 물질거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TGA 분석결과 대부분 시료에서 200℃ 이전 약 10% 중량이 감소하였으며, 200℃ 이전에 잔류유기물과 가스상 물질이 소실되는 것을 알려준다. 열분석에 의한 질량 감소는 천연숯과 인공숯에서 다르게 측정되었다. 천연숯 K1, C1 에서는 400℃까지의 가열 반응결과 약 15% 중량 감소가 있었으며, 인공숯 K2, C2의 경우 약 20%의 중량 감소가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400℃ 이하 중량감소는 주요 유기물과 VOC의 소설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조성분석에 근거한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첨가제인 Ba이 Ba(NO3)2 및 BaCO3 등의 형태로 NaNO3와 함께 숯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