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되어 있는 수직정원공간의 경관적 이미지를 파악하고 향후 수직정원 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변수 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 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은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유네스코점과 돈의문박물관마을 외벽의 수직정 원이고 네이버 설문조사 툴을 이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기법은 기술통계분석과 인자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점 전면부 수직정원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평가는 깨끗하고 아름다우며 흥미로운 공간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신비로운-신비롭지 않은’, ‘연속적인-단절된’ 등의 변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치를 보이 고 있는 바 이는 명동 한복판의 독립된 사각형 건물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돈의문박물관 마을 수직정원은 특이하고 아름다운 경관으로 인지됨을 볼 수 있다. 반면 ‘높은-낮은’, ‘넓은- 좁은’, ‘정돈된-정돈되지 않은’ 등의 변인은 다소 부정적 의미의 평가를 받았다. 모두 4개의 인 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고 전체 변량 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69.88%였 으며 30.20%는 오차변량과 특수변량이라 볼 수 있다. 인자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직정원의 시각 적 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를 ‘특이성인자’, ‘자연성인자’, ‘정연성인자’, ‘개방성인자’ 등 4개로 분류하였다. 수직정원 경관에 대한 시각선호에 가장 영향을 높게 미치는 변인은 자연성인자 및 정연성인자로 나타나 수직정원의 전반적인 경관이미지가 자연적 아름다움에 의해 좌우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6.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모두가 이미 인지하고 있는 함축된 코드가 있다면 소통은 훨씬 원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에 발생했던 어떠한 문화적 혹은 사회적 사 건을 은유하여 그 사건과 유사한 내용을 해당 문화권에서 언급할 때는 반복적 설 명이 굳이 필요하지는 않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패러디다. 패러디는 계획된 반복 적 표현으로 우회적인 설득양식을 가지고 있다. 이 독특한 표현은 포스트모던에 이 르러 개념적 혼란을 겪고 있다. 그 이유는 원래 벌레스크나 트레비스타와 같은 유 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또 하나는 비판적 의식으로 전통적인 예술과 현실 사 이를 검증하는 포스트모던 과정에서 패러디의 유사 표현양식들이 범람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패러디된 것을 패러디하는 다중적인용의 등장으로 개념적인 혼란 은 더 심화되었다. 그 주범은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일 수 있다. 또한 패러디는 오랜 역사를 통해 그 의미를 확장시키고 있으므로 명확하게 정의하기에는 진화의 속도 가 너무 빠르다. 그렇지만 포스트모던과의 충돌로 패러디의 발전은 고사하고 종결 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훼손된 패러디의 복구는 어렵지만 패러디의 정의에 근접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형식주의와 구조주의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형식주의와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정의한 패러디의 요소들을 벨라스케스의 ‘궁녀들’과 그 유사작품들을 병치하여 패러디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6,000원
        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injoong Misool(People's art)” of the 1980s emerged in Korea in its social, cultural, and art historical context. This paper also aims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meaning and form of the individual artist's works, which have been overlooked under the dominant discourse that has emphasized their political role as a collective group. In particular, this paper scrutinizes the work of “Critical Realists” by examining the way in which they perceived Korean society in the early 1980s and visualized their experiences of the period. The figurative art newly emerged in the early 1980s challenged the formalist Modernism, which was adopted into Korea and translated into monochrome paintings and the work of the conversative academicism of the 1970s. The figurative art encouraged a social communication and moreover it intended to criticize the conflicts in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domains in Korea. The targets of its critique include the unavoidable results of the unprecedented development of economy, various social phenomena of the post-industrial society, and the growth of the commercialized kitsch culture. Along with Shin, Hak-chul's work that incorporates collage technique since the 1980s, the work of some members of “Reality and Utterance” and “Im- sul-nyun” exemplify their critical interests in disclosing the false dream of wealth and happiness by both referring to and drawing on the utopian fantasy manipulated and distributed by mass media and commercial advertisement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Nouvelle Figuration emerged in France and Europe during the 1960s, which is comparable to the new figurative art emerged in Korea during the 1980s. Nouvelle Figuration criticized the autonomy in art isolated itself from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after WWII, in particular the indifference of Informel and abstract art as well as American abstract art. Moreover it became rather politicized around May of 1968. Given that French Nouvelle Figuration was introduced in Korea in 1982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figurative art in Korea,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ew figurative art emerged in the 1980s in Korea cannot be categorized merely in relation to People's Art. This paper intends to critically redress the notion that People's art was formed in the particular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independent of the contemporary artistic practices outside Korea. It will provide a critical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content and form of the new figurative art, from which People's Art was germinated, in the global context.
        6,400원
        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ngbanxi("model plays") symbolize the Cultural Revolution(1966~1976) in China. The Eight Model Revolutionary Works include five Chinese Modern Peking Operas, namely, 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智取威虎山), Harbor City(海港), Shaijabang(沙家浜), The Red Lantern(紅燈記), and Raid on the White Tiger Regiment; (奇襲白虎團), ballets such as The Red Detachment of Women(紅色娘子軍) and The White-Haired Girl(白毛女); and a symphony: Shajiabang(沙家浜). On April 24, 1967, Chinese leaders, including Mao Zedong, saw a performance of The White-Haired Girl. Yanbanxi was performed in Beijing between May 24 and June 15 the same year. The Red Lantern was designated as a work for the proletarian classes by Jiang Qing(Mao Zedong's third wife and the most influential woman in China) and spread nationwide. It was also made into a film to be enjoyed by many people. The modern Chinese operas went a long way in their creation of visual images of revolutionary heroes. The Red Lantern, in particular, came to be regard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revolutionary opera. In the course of such a process, Jiang Qing used Yangbanxi as a political tool for compelling the people to worship and pledge their allegiance to Mao in an effort to turn the Cultural Revolution into a class struggle on behalf of her husban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artists were made to associate with workers, farmers and soldiers based on the idea of advocating revolutionary arts for the proletarian classes. The characters in The Rend Lantern were portrayed as heroes from the proletarian classes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era. Chinese leaders set forth the principles of artistic expression, stressing three important factors: politics, heroes, and heroic acts, which were to be applied to all the visual arts, including Yangbanxi.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new view of fine art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by focusing on the productive significance of a leading style of a specific era in the past. To that end, this paper sheds light on products made in conformance with political instruction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revolutionary heroes in The Red Lantern.
        5,400원
        1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날씨'와 '일기예보'를 다루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회-기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시각적 이미지는 실제 세상의 현상을 묘사하는 '실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시기의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는 대부분 학생들에게 친숙하였음을 의미한다. 시각적 이미지와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한 주도권 양상은 복잡하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대부분 기하학적 코드나 숫자 문자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의 정보의 양과 형태, 구조 및 사회적 의미 등을 해석하는 새로운 분석도구를 제안해준다. 또한 차기 과학교과서의 이미지 선택에 사회-기호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것이다.
        4,300원
        1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rm ‘modern’, in broader sense, refers to the concepts like modernity,modernization, modernism and the like, which came from Westernization impling therecognition of indigenous culture as being inferior to Western culture by comparison alongwith the expanded influences of the Empire of Japan. These concepts, however, ratherthan evolving from Western standards, came into being as a form of civilization led byJapan which had already tasted the fruits of modernization by 1920s. Since 1920s, the policy of, so-called, reconstructing Asian countries by Japan came tocreate eastern way of modernism, as a new East Asian trend mainly revealed in Chinawhich was against colonization after Japan’s invasion and conquest of Manchuria.Therefore, Eastern‘modern’unlike Western one could be understood in the widespreadterminology,‘Modern(摩登)’in Shanghai, reflecting consciousness like‘Fashion’or‘Trend’in female images on a variety of visual media. By 1930s it was the most notablethat‘modern’was accepted as something similar with‘Fashion’, or‘Trend’in socio-cultural contexts. These atmosphere had led commercial arts to enable to communicatewith the public in a great deal of supports and success in Shanghai which was widelyregarded as the citadel for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among which transformations infemale images were remarkable as a representative form of culture. It is also remarkablethat‘historical modernity’transforming from the feudal age to modern society wasconsidered a synchronic modernity, and nationalism was regarded as a sort of beingmodern, while involved in the newly-changed female images as a fashion mode. Changes in fashion including hair style in Shanghai by 1930s, as a way ofexpressions showing what was modern through commercial artistic productions, wereeasily noticed in visual media as an outlet of modern women’s inner desire revealing theirpursuit for new mode of life in metropolitan cities. As a characteristic of the time creating anew code of visual female images, it is notable that there existed another form of‘modern’satisfying socio-cultural needs of the general public seeking for being‘modern’.
        5,100원
        1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성 수트소재의 구성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이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판하는 남성용 검정색 계열의 춘하 소재 20종을 수집하여, 시각적 질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피험자는 의류학과 대학원생과 의류관련 업체 종사하는 20~30대 전문가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으로 "부피감", "신축감·드레이프성", "강연감", "평활감"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강연성"과 굽힘특성과의 관계를 제외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시각적 질감 이미지 평가가 일치하였다.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평활감", 압축에너지(WC), 밀도, "강연성"이었으며,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부드럽고 압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고 밀도가 성근 직물을 춘하 남성용 정장으로 선호하였다.
        4,300원
        17.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 국립공원의 삼림경관, 삼림 시설물 경관, 집단시설지구 경관, 사찰경관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이 지닌 환경적 질을 계량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이용개발 및 보전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심리량 분석을 취해 S.D.Scale을 측정하고 인자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의 공간 이미지 구조를 밝혔으묘, 시각적 선호도를 측정하여 결정인자를 추출하였으며 각 인자 상호간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은 종합평가적 차원, 공간적 차원, 자연성 차원 및 물리적 차원, 호감성 차원 등 5개 인자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평가적 차워, 공간적 차원 및 호감성 차원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주요 설명변수는 계곡물의 깨끗함과 상쾌함, 지형지세의 특이성, 등산로 설치의 자연스러움 및 사찰건물 외관과 주변 인공식생과의 어울림 등이 시각적 선호도 결정의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5,200원
        19.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well-maintained landscape can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a city. Gyeongju which is the famous ancient capital of Korea, has numerous historical resources. However, the disharmony between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weaken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At present, most landscape analysis methods mainly focus on plans, photos, and animation, which have certain limitations in the expression of landscape spatial scale and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use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to take the Wolseong District of Gyeongju historical areas as the object in order to evaluate the landscape visually. Compared with planar landscape analysis methods, such as photos and videos,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is more immersive and intuitive to experience the spatial scale. The study results revealed images, visual characteristics, and visual influence factors of the landscape, which provide essential data for th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landscapes in similar historical areas in the future.
        20.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과서는 시대적 이념과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공식적인 지식 전달의 매체이다. 학습자는 교과목에 대한 첫 이미지를 교과서의 표지를 통해서 갖는다. 교과서 표지는 교과목에 대한 인지가 시작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충분히 연구되어 오지 않았다. 초등학교 국어과는 언어 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초 교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에 대한 조형성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를 시각적 ⋅상관적 요소의 6가지 항목인 형상, 크기, 색채, 방향, 레이아웃, 배경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의 경우, 단일한 메인 오브제를 강조하고 제한된 색채를 적용하여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분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학습자의 창의력을 유발하기 위하여직 접적인 그래픽 모티브와 구체적인 공간과 상황의 묘사보다는 추상적 발상에 근거하여 시각이미지가 구성되어야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