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백두산 화산분화의 전조현상 증가로 인해 백두산 분화의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주변국인 일본의 화산 활동 또한 활발한 추세이다. 일본 화산 및 백두산으로부터 500km 이상의 거리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경우 화산 분화로부터 근접 재해의 직접적인 위험은 없으나 화산재 확산에 의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및 대응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 이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 중 하나로, 화산재 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화산재 입자의 공간분포 예측 및 대기 중 화산재 농도와 지표면의 화산재 퇴적 두께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 예측 모형에 의해 도출된 대기 중의 화산재 농도와 낙하 화산재 퇴적 두께를 이용하여 한반도 근역에 대하여 화산재 공간 확산 확률 및 낙하 확률 분석 기법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4,000원
        2.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소 화산은 일본 규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가장 큰 칼데라 화산중의 하나이다. 나카다케 분화구는 아 소 칼데라의 중앙 화구군에서 유일한 활동적인 화산체이다. 2016년 10월 8일 아소 산에서 36년 만에 폭발적인 분화가 발생하였으며, 분연주가 11 km 상공까지 상승하였고 화산재는 최대 300 km 떨어진 지역에서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서는 미국 USGS에서 개발한 Ash3D모델을 이용하여 2016년 10월 8일의 분화에서 발생한 화산재의 확산과 침적에 대 한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분화에 의해 발생한 화산재는 아소 칼데라 화산의 동쪽과 북동쪽으로 확산되 어 우리나라에는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북동 방향으로 최대 400 km 이상 먼 곳까지 침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수치모의 결과는 관측 확인된 화산재 침적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빠른 화산재 재해 예보를 위하여 Ash3D를 이용한 수치모의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3.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on the resistance of varieties bred by crossing with Asominori to bacterial leaf blight. Nakdongbyeo and Dongjinbyeo which were susceptible to HB 9011, 8 resistant varieties including Ilmibyeo derived from Asominori and Asominori, Hwangok, 13 varieties including Chukoku 45 which were resistance to HB 9011, HB 9022 and HB 9033 were used to screen their res ponce depending on the various screening methods such as the true resistance, the secondary infection resistance and the disease common field test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13 varieties tested, 11 varieties including llmibyeo showed tme resistance to HB 9011. Less than 1.0cm of disease lesion were developed on these varieties. Disease lesion was not developed on most of the Asominori lines including Daechongbyeo against IIB9011 and 1lmibyeo was also resistance to HB 9011, on this variety disease lesion area rate was 1.2%, and 7 varieties including Hwajinbyeo showed field resistance to HB 9022. Disease lesion area rate were 19.6% on Nakdongbyeo. 15.6% on Dongjinbyeo, from 3.0% to 2.4% on Asominori lines, and 0.5% on the Asominori when screened at disease common area. Disease was not developed on Keumnambyeo.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ces were found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test methods of the true resistance, the field resistance ancl the field resistance at disease common field tests on Asominori lines, but in some cases, even the varieties on which disease lesions developed, showed field resistance to HB 9022 and HB 9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