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aim that task-induced involvement load has an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and examines the effect of task types and word concreteness on intentional vocabulary learning in the Korean EFL context. This study aims at testing whether productive word-focused tasks lead to equally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when the total involvement load index is equal but the distribution of index levels of each component (need, search, and evaluation) is different. The three productive word-focused task types are gap-fillig, sentence writing, and gap-filling through word transform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d concreteness on vocabulary learning, two groups of target 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vel of word concretenes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upported involvement load hypothesis (Laufer & Hulstijin, 2001) and test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proved to b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vocabulary learning. Moreover,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word concreteness was not a major factor in vocabulary learning.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suggestions are discussed.
        6,600원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ptitude and vocabulary levels of 5th graders of a Korean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Language aptitude was elicited using LLAMA B, D, E and F classified respectively into memory retention, sound recognition, sound-symbol correspondence, and inference and application. A vocabulary size test modified from the vocabulary size test (Nation, 1990) was injected to the students to investigate their vocabulary levels. A correlation between each LLAMA score and vocabulary size of students was tabulated for their correlationship along with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of 95% probability rate. The findings ar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ach language aptitude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Among them, the correlation between memory retention and vocabulary ability i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inding implicates that memory reten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learn and retain new words, and learning vocabulary with pictures is recommended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meanings and forms of new words.
        5,500원
        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ading passage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their readability and lexical difficulty. The read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Flesch-Kincaid Grade Level Index, while their lexical difficulty was measured in terms of STTR (standardized type-token ratio), frequency of tokens per type, and vocabulary frequency levels by using VocabProfile and Oxford WordSmith Tools 7.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readability of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of the NAEA conducted from 2012 to 2014, while the readability between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of the 2015 NAEA reached a comparable level. However, the textbooks from one publisher showed substantively lower readability than those from the other publishers and the NAEA. Secondly, regarding vocabulary frequency levels, the words in 1K and 2K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textbooks and the NAEA, while the NAEA had a higher STTR and lower frequency of tokens per type than the textbooks. It suggests that the NAEA employed more various words with less repetition than the textbook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6,000원
        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어휘영역 내용에 근거하여 개발된 성취기준 의 내용과 체계 그리고 이 성취기준에 의해 개발된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 용과 체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어휘 영역의 성취기준 개발은 일반적인 성 취기준의 개발 원리에 입각하여 학년군 간의 위계성, 연계성, 그리고 교육과정 내 용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분명한 진술 등을 지향하였다. 한문 지식의 특성을 고려 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활동 및 평가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육 과정을 재해석 내지 재구성하기도 하였으며 학교 현장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인식 하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공유와 상호 전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토대로 진행되는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활동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활용의 예를 제시하고 아울러 ‘상’‘중’‘하’ 각 수준에 도달하는 학생들의 지식, 수행 능력, 특성 등도 기술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를 참고하여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에 대한 공유와 상호 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되어 어휘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 교과서에서의 성취기준 구현 ⇄ 학교 현장의 교수․학 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유기적인 관계 정립에 있어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6,700원
        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易讀性’에 관한 여러 논의의 검토를 통해 한자 어휘 수준의 결정 요인 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휘는 단일 변인으로는 텍스트 수준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독성 공식 등 텍스트 수준 결정에 관한 초기의 논의에서는 편의상 어휘의 계량화 측면을 주로 이용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면서 독자 요인과 함께 어휘의 질적인 측면을 주목하게 되었고, 그 활용에 대한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어휘 교육의 최종 목표가 문식성 발달에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서, 이상적인 이독성 공식이 포함하는 어휘의 질적, 양적 요인을 모두 아우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제시한 것이 頻度, 透明度, 입말화 한자어의 처리 문제, 사회 문화적 맥락의 고려이다. 이 이외에도 다른 요인의 고려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시대 변화에 따른 한자 어휘의 위상 변화를 인식하고, 우리 언어 환경 내에서 언어 수준의 질을 높이고 품격있는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사회적 의사판단과 표현에 기여하는 한자 어휘의 특성에 대한 이해 아래 어휘의 선정과 평 정, 교육의 우선 순위 배정 등의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계량 가능한 빈도 이외의 여러 질적 요인은 국문학, 국어학, 국어교육, 한문학, 한문교육 전공 자 등의 학제적인 연구를 통한 핵심 요소의 추출과 상세화 작업이 요구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언어문화 수준의 질적 제고와 관련된 부분이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