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uorine-doped tin oxide (FTO) has been used as a representativ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in various optoelectronic applications, including light emitting diodes, solar cells, photo-detectors, and electrochromic devices. The FTO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electron transfer between active layers and external circuits while maintaining high transmittance in the devices. Herein, we report the effects of substrate rotation speed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FTO films during ultrasonic spray pyrolysis deposition (USPD). The substrate rotation speeds were adjusted to 2, 6, 10, and 14 rpm. As the substrate rotation speed increased from 2 to 14 rpm, the FTO films exhibited different film morphologies, including crystallite size, surface roughness, crystal texture, and film thickness. This FTO film engineering can be attributed to the variable nucleation and growth behaviors of FTO crystallites according to substrate rotation speeds during USPD. Among the FTO films with different substrate rotation speeds, the FTO film fabricated at 6 rpm showed the best optimized TCO characteristics when considering both electrical (sheet resistance of 13.73 Ω/□) and optical (average transmittance of 86.76 % at 400~700 nm) properties with a figure of merit (0.018 Ω-1).
        4,0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산부산물의 추출물의 유효 성분 함유량을 최대화 하면서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저온 열분해 탄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왕겨 및 은행잎을 재료로 Thermo Gravimetric Analyzer(TGA;열중량분석기) 추출 실험을 실시하여 열분해속도를 구명하였다. 두 시료는 가열속도 5∼ 50℃/min에서, 가열온도 40∼70℃에서 탈휘발이 시작되어 200∼300℃까지 탈휘발이 활발히 진행되면 서 열분해 속도가 가장 높으며 약 300℃에서 열분해속도가 급감하여 400℃이내에서 열분해가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속도가 높아질수록 열분해가 시작되는 온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최적 가 열속도는 30℃/min로 추정되며 이때 두 시료의 열분해속도는 9%/min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 산부산물의 열분해가 완료되는 온도는 가열속도에 관계없이 400℃ 이내로 추정된다.
        4,000원
        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ution copolymerization of Styrene(St.) with 2-Hydroxypropylacrylate(2-HPA) was carried out with Benzoylperoxide(BPO) as an initiator in toluene at 80℃ in a batch reactor. Reaction volume and reaction time were 0.3 liters, 8 hours respectively. The time to reach steady state was about the six time. The monomer reactivity ratios, r1(St.) and r2(2-HPA) were determined by both the Kelen-Tudos method and the Fineman-Ross method ; r1(St.)=0.376(0.330), r2(2-HPA)=0.408(0.778). The activation energy of thermal decomposition was in the range of 33~55kcal/mol.
        4,000원
        4.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마다 증가하는 폐타이어의 발생 및 그에 따른 처리 문제가 대두되는 현 상황에서 폐타이어의 재생에너지화 기술개발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폐타이어 처리는 시멘트 킬른 및 단순소각에 의한 열원으로의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연소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2차 환경오염 또한 야기하는 문제이므로 폐타이어의 안정적인 처리를 통한 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경제성 향상 및 환경오염 저감 등의 해결책에 관한 기술개발 필요성이 촉구되고 있다. 폐타이어를 자원화하기 위한 열적처리 기술 중 열분해 공정은 무산소의 조건에서 500℃ 정도 온도 조건으로 간접 가열하여 1~2초 이내로 반응시킨 후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여 연료로 변환하는 공정으로서 연소 반응과는 달리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처리 기술이며,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열분해오일, 카본블랙, 철심 등과 같은 유용자원의 회수는 부가가치의 창출을 통하여 경제성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의 다양한 급속열분해 운전 조건을 통하여 재생에너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에는 유동층 반응기에 비하여 시료와 유동매질 간 열 및 물질전달 속도가 높고, 비교적 큰 입자도 열분해 가능하며, 내부에 분산판이 없어 압력강하량이 적은 장점을 지닌 원뿔형 분사층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폐타이어 급속열분해 실험은 반응온도와 질소유량 및 시료의 투입속도 등 여러 인자를 변수로 두어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조건별로 생산된 열분해오일 및 카본블랙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폐타이어의 급속열분해 반응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열분해 오일은 재생에너지원으로서 연료로서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verting biomass to biocrude oil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worldwide as a renewable energy technology and a solution to global warming caused by overuse of fossil fuels because it is a carbon neutral fuel that originates from biomass and, thus, could help prevent climate change. Fast pyrolysis is an effective technology for producing biocrude-oil, and woody biomass is usually used as feedstock.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with this feedstock, high production cost and low higher heating value (HHV) have frequently reported as challenging barriers to commercialization. Thus, coffee ground residue was selected as an alternative feedstock to overcome this barrier due to its higher HHV than other biomasses, as well as an expected improvement in the recycling rate of organic waste from many coffee shops. A kinetic study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of ground coffee residue was carried out previously to investigate pyrolysis characteristics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its kinetic parameters were studied using two calculation models. A bubbling-fluidized-bed reactor was used for fast pyrolysis and the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crudeoil from ground coffee residue were investigated at reaction temperatures of 400-600°C.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decomposition reaction was calculated separately to be 41.57 kJ/mol and 44.01-350.20 kJ/mol with the above two methods. The highest biocrude-oil content was about 51.7wt% at 55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