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호직(1944)의 7첩반상 구성예와 방신영(1957)의 식단 참고예를 근거로 하여 전통표준식단의 영양가를 산출하고 이들을 최근의 영양권장량과 비교 평가하였다. 이들 분석된 전통표준식단의 영양가는 일일 2000-2500kcal의 열량과 80-90g의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었다. 열량 구성비는 탄수화물 73-77%, 단백질 15-18%, 지방 10-12% 범위였으며 총 단백질중의 동물성 단백질 비율은 20-30% 수준이었다. 이들 전통표준식단은 열량 섭취량이 2000kcal를 넘으면 다른 필수영양소(단백질, 무기물, 비타민)도 성인남자의 기준에서 충분한 양이 공급되는 균형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nightsoil sludge compost(NSC) in 3 and 4 cuttings per annum on the dry matter yields and nutritive value of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Annual nightsoil sludge compost(NSC) were applied at levels of 0, 10, 20, 40 and 80 ton ㏊ ¹, respectively. Relative yields of each cut to annual dry matter yield were 29.9%, 46.% and 23.2% for 1st cut, 2nd cut and 3rd cut in 3 cutting system, 23.7%, 29.3%, 34.0% and ¹3.0% for 1st cut, 2nd cut, 3rd cut and 4th cut in 4 cutting system, respectively.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yield of orchardgrass obtained were 8.11 ton ㏊ ¹ at level of 40 ton ㏊ ¹ yr ¹ in 3 cutting systems, ranges of 7.50~10.71 ton ㏊ ¹ at level of 10~80 ton ㏊ ¹ yr ¹ in 4 cutting systems than those of non application level of NSC, respectively(p<0.05). The mean efficiency of dry matter production to application of NSC(㎏ DM/ton NSC) were 46 and 102 ㎏ in 3 and 4 cutting systems, respectively. Although th contents of crude protein(CP, %) of orchardgra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application levels of 10~80 ton ㏊ ¹ yr ¹ by NSC than those of the application levels at the 0 ton ㏊ ¹ yr ¹ in 3 and 4 cutting systems(p<0.05),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NDF, %) and acid detergent fiber(ADF, %) were lower in NSC plots than those at the non  application plots of NSC. The content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 and relative feed value(RFV) of orchardgra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 the application levels of NSC(p<0.05).
        3.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ttle culm벼의 예취높이를 구명하여 조사요로서의 수량 및 영양가를 평가하고자 섬진벼 및 Brittle culm인 KL501 품종을 공시하고 예취높이를 지상 0, 5, 10 및 20cm 달리하여 1996년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생초장, 경직경 및 재생경율은 예취높이를 높게 할수록 크고 높았으며 분얼경수는 품종 및 예취높이간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나 조섬유 및 조회분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이며 2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및 조지방함량은 감소하고 조섬유 및 조회분함량은 증가하였으나 NFE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청예수량 예취높이 10cm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는데 섬진벼는 4.45ton /ha, KL501은 4.71ton /ha이며 건물수량은 섬진벼가 1.16 ton /ha, KL501이 1.14 ton /ha이었다. 4. TDN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을수록 증가하나 2차 예취시는 이와 반대의 경향이며 TDN수량은 예취높이 10cm, 예취시 섬진벼는 0.63ton /ha, KL501은 0.61ton /ha로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4.
        199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양가가 높은 쌀을 생산 보급하여 국민건강증진을 도모코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19개 품종을 대상으로 일반도정법으로 10분도로 도정한 후 배아보존율이 높은 오봉벼를 선택하여 외형, 영양가 및 동물 사육효과를 조사 비교하였던 바 오봉벼의 배아보존율은 96.7%였으며, 외형은 전형적인 일본형에 속하였다. 조사 된 모든 영양성분은 낙동벼 보다 오봉벼가 높았으며, 특히 비타민 B1 과 Niacin은 낙동벼가 각각 0.14 및 1.9mg%인데 비하여 오봉벼가 0.31 및 3.0mg%로 1.5배정도 높았다. 그리고 쥐 사육효과도 증체율과 사료효과에서 낙동벼는 각각 101 및 l25%이며. 오봉벼는 각각 107 및 172% 로 오봉벼가 낙동벼 보다 높았다. 또한 식미도 색을 제외하고 맛, 냄새 및 끈기는 오봉벼가 낙동벼 보다 높았다.
        6.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사료용 맥류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 TDN%, TDN 수량 등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호밀, 트리티케일, 밀, 보리 등 7개 품종을 공시하여 1983년 10월부터 1984년 5월까지 맥류연구소에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a당 청예수량은 4월 20일 채취시. 호밀2호가 929kg로 가장 많았으며 부농(보리), 수원229호(밀), 수원 8호, 수원 9호(트리티케일)의 2배 이상이었다. 4월 30일 예취시에도 호밀 2 호가 2,195 kg으로 가장 많아 타 작물의 2배 이상을 보였고 5월 10일 예취시도 3,506kg으로 가장 많았다. 5월20일 예취시에는 수원8호가 가장 많았다. 2. 10a당 건물수량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4월 20일, 4월 30일, 5월 10일 예취했을 때 호밀2호가 각각 119kg, 305kg, 539kg으로 가장 많았으며 5월 20일에는 호밀 1호가 790kg으로 가장 많았다. 3. 초장은 팔당호밀, 호밀 1호, 호밀2호의 경우 출수 이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수원229호, 부농, 수원 8호, 수원 9호보다 월등히 컸다. 4. 건물률(건물중/생체중 100)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m2 당 경수는 팔당호밀이 많았고 수원9호가 적었다. 엽중비율은 수원8호, 수원9호가 높았는데 시기가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가용무질소물,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NDF, ADF, Lignin, Cellulose, Hemicellulose 등의 세포벽 구성물질도 증가하였는데 수원 8호와 부농이 비교적 양질로 나타났다. 6. TDN%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TDN 수량(건물수량 TDN%)은 증가를 나타냈는데 전시기를 통하여 볼 때 호밀2호, 호밀 1호, 팔당호밀 등 호밀 품종이 월등히 높았다. 7. TDN 수량과는 청예수량, 건물수량. 초장, 조섬유, Cellulose 등이 정상관을, TDN%, 엽중비율, 조단백 등과는 부상관을 보였다. 8. 수원지방에서 청예용 맥류의 예취시기는 5월10일~5월20일이 적합하며 5월10일 이전은 호밀 2호등 호밀이 5월20일 경은 수원8호 등 트리티케일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