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앵초의 특성조사는 소백산(연화봉), 주흘산(주봉), 덕유산(삿갓봉), 가야산(두리봉), 지리산(노고단) 등 5개 지역을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큰앵초의 높이는 23.1∼31.3㎝이고, 평균 26.8㎝이며, 잎의 수는 2.9∼4.7개이고, 평균 3.8개이다. 엽신의 길이는 6.2∼7.6㎝이고, 평균 7.1㎝이며, 엽신의 너비는 7.8∼9.3㎝이고, 평균 8.7㎝이며, 엽병의 길이는 10.9∼16.5㎝이고, 평균 13.5㎝이다. 잎의 길이와 폭의 비율은 0.79∼0.82로 광타원형이다. 엽연의 형태는 결각이 둔하고 불규칙적인 것과 예리하고 깊으며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의 길이는 5.9∼10.9㎝이고 평균 7.2㎝이며, 뿌리 수는 27.6∼48.2개이고, 평균 37.7개이다. 개화기는 5월말∼6월 초이며, 꽃의 수는 5.4∼10.1개이고, 평균 7.2개이다. 화관너비는 21.7∼26.2㎜이고, 평균 23.4㎜이다. 열매의 길이는 1.3㎜∼2㎜이고, 평균 1.8㎜이며, 종자의 수는 10개∼18.2개이고, 평균 14.2개이다. 조사지의 상층우점종은 신갈나무이고, 중층은 당단풍나무, 노린재나무, 함박꽃나무 등이며, 하층은 철쭉, 진달래, 미역줄나무, 국수나무 등으로 나타났고, 종다양도는 0.7534∼0.9950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1∼4.6이고 염기포화도는 3.18%∼9.09%로 나타났다. EC는 0.18∼0.7dSm-1으로 나타났고, NaCl은 0.003∼0.006%로 나타났다.
        4,6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메기 (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210일간 기아 시 계측 형질 및 체 절단면 형질을 측정하여 그 기아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이군의 생존율은 92.2±0.47% 였으며, 기아군에서는 74.4±2.59%의 생존율을 보였다.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및 BWAA/Ls의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p<0.05), 다른 16개 항목 DALAD/Ls, DPDPL/ 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및 DAUE/HL 에서는 초기군, 섭이군 및 기아군의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섭이군은 각 체 절단면에서 기아군 보다 더 높은 전체 높이 (THX), 더 넓은 너비 (WX) 및 더 넓은 면적 (AX)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기의 기아 상태에 대한 외형 및 체 절단면 형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메기에 대한 먹이 조절에 대한 방법을 보조하고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타 어종에서 적용 시 그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 채집된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성충은 원산지의 성충과 그 크기가 비슷했다. 체형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은 더듬이 바깥쪽 (antenna 2) 길이이며, 그 다음으로는 머리넓이 (head width), 복부넓이 (abdomen width)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유기물 분해와 분변토 생산의 우수개체를 선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국내 51개 조사지역 중, 22개 지역에서 아메리카동애등에가 출현했으며 위경도 및 고도 등 지리적 특성보다는 유기물의 존재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곤충의 발생현황은 유기성 폐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by comparing the external shape traits and skull size of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from May 2014 to November 2016. Body weight, head-body length, ear length, and hind-foot leng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tail l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males compared to males (p=0.003). To examine the secondary sexual dimorphism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T. triton, B_HR, T_HR, E_HR, and H_HR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head-body length, and only T_H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3). Because of comparing male and female averages, among the 21 traits, the greatest length of skull (GLS; p=0.020) and occipitonasal length (ONL; p=0.01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length of incisive foramen (LIF)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significance level was 90%. However, the other 18 trai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5). Other than GLS, ONL, interorbital breadth (IB), and breadth of occipital foramen (BOF), there was female-biased SS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analysis of external morphology and skull characteristics of T. triton in Jeju Island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 triton. In addition, the data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T. triton, which is known as a single species, inhabited in China and Russia. The data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iogeography and ecology research of T. triton, based on geographical conditions, climate effects, and habitat environment.
        4,0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희귀수종인 가침박달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 및 선행 연구와의 차이를 파악하 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정보를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외부형태형 질과 토양 조건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가침박달 자생지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3.25-29.83%, 전질소함량 0.15-1.14%, 유효인산 3.0-156㎎/㎏, 치환성 K+ 0.39-1.49cmol+/㎏, 치환성 Ca2+ 2.48-38.07cmol+/㎏, 치환성 Mg2+ 0.77-18.29cmol+/㎏, 양이온치환용량 7.3-23.0cmol+/㎏으로 확인되었으며, 토양 pH는 4.6-7.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앞산 집단의 경우,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이 가장 높았고, 화서의 길이가 길고, 꽃의 수가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성 있게 차이를 나타냈다(P < 0.001). 또한, 집단의 유전적거리와 지리적 거리, 일부 외부형태형 질의 차이를 통해 이들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희귀 수종인 가침박달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서식지 내 보존을 위해 외부형태형질, 유전적 구조, 생육상태, 식생구조, 환경특성 등 다양한 데이터의 종합적 고찰이 필요하다.
        4,000원
        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토리에 구멍을 뚫고 가지를 자르는 도토리거위벌레(Cyllorhynchites ursulus, n=130)의 큰턱(mandible)의 외부형태 와 가지를 자르는 기작을 생체모방에 이용하기 위하여 분석을 하였다. 또한 큰턱의 외부형태와 자르는 기작비교를 위하여 비슷한 습성을 가진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 n=30), 왕거위벌레(Paracycnotrachelus longiceps, n=15)의 큰턱 외부형태를 분석하였다. 외부형태 분석을 위하여 각 종의 큰턱을 주사형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 도토리거위 벌레의 자르기 행동과 뚫기 행동은 영상 촬영으로 분석하였다. 도토리거위벌레는 큰턱을 좌우로 움직이며 3개의 톱니형태의 이(teeth)가 있으며, 밤바구미의 큰턱은 상하로 움직이며 2개의 톱니형태의 이가, 왕거위벌레는 좌우로 맞물리면서 씹는 움직임이며 톱니형태의 3개의 톱니형태의 이를 가지고 있다. 도토리거위벌레는 큰턱의 내·외전건 (adductor · abductor tendon)을 움직여 구멍을 뚫고 가지를 자르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외전건이 내전건보다 굵어 더 큰 힘이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of Crocidura shantungensis collected from Korean Peninsula, Ulleung Island and Jeju Isl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d-body length (HBL), tail length (TL), ear length (EL), and hind foot length (HFL) in males and HBL, TL, and HFL in females among three populations (p<0.05). The HBL and TL in the Jeju Island population were larger (8.0 mm and 4.0 mm in lengths,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Korean Peninsula population. Based on skull analysis, a total of thirteen trai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populations (p<0.05). The condylo-insicive length (CIL), maximum width of brain case (MWB), mandibular length (ML), and mandibular height (MH) in the Jeju Island population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Korean Peninsula population (p<0.05).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at two principle components (PC) identified from the PCA affected on the body size and width of the skull, respectively. Discriminant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populations could be discriminated through skull traits. These findings concluded that the Jeju Island population was greater in the size than the Korean Peninsula, suggesting that the Jeju Island shrews have successfully adapted to the island environments and they had morphologically differentiated during glacial period after natural immigration into that Island.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Island Rule’, showing that the population is well adapted to the island environments. This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biogeograph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insular animals.
        4,000원
        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ternal ultrastructur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ntennal sensilla and hair-pencils of Palpita indica (Saunder)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ntennal flagellum of male and female has six types of sensilla: long trichodea, short trichodea, chaetica, coeloconicum around spines, camaniformia and styloconica. There are sexual differences in antennae of P. indica. The female antenna has a coeloconicum sensillum without spines nearby the long trichodea sensilla on ninth flagellomere. Otherwise, auricillica sensilla are distribute on the basal segment of male antenna. These structures are not showed in the female antenna. There are a lot of pores on the hair tufts of the male hair-pencils.
        4,000원
        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ennal receptors of the adult male and female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was studi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is antennal receptors were developed to accept the chemical or mechanical signal in the environment. The antennae of L. trifolii is 317.52 ㎛ long and composed of the scape, pedicel, funicle, arista. Antennae located between compounds eye on the middle in the head.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four types of receptors were characterized and grouped into morphological classes: Trichoid, Basiconic, Coeloconic, Chetiform sensilla. Trichoid sensilla are located on the all segment. As a rule, female is more than male. This sensilla are long and slender hair with straight or slightly curved, and taper to a sharp point apically. Basiconic sensilla are observed only on the funicle. The number of basiconic sensilla in male and female are almost same in both sexes. This sensilla are long and thick hair with stright or slightly curved, and taper to a blunt point apically. Coeloconic sensilla are observed only on the funicle. This sensilla were showed a finger-like projections the peg apex. The number of basiconic sensilla in male and female are almost same in both sexes. Chetiform sensilla are located on the all segment. This sensilla are needle-like, tapering sharply. Pedicel are more than scape. The number of Chetiform sensilla in male and female are almost same in both sexes.
        4,200원
        12.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돌나물과(Crassulaceae)의 돌나물속(genus Sedum)은 약 400여종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기린초속(genus Phedimus)은 약 20종이 아시아부터 유럽까지 분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 분류체계에서는 기린초속과 돌나물 속을 독립된 각각의 속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한국산에 대한 연구에서는 기린초속이 돌나물속 아래 가는기린초아속(subgenus Aizoon)으로 사용되고 있어, 가는기린초아속이 기린초속으로 승격되는 것이 타당한지 정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식물의 전체적인 크기와 외형, 잎의 형태 등의 영양형질과 종피 표면의 무늬와 같은 생식형질이 기린초속과 돌나물속의 식별에 주요한 자료로 판단되었다. 특히, 종자의 표면 무늬는 돌나물속은 육각형의 무늬와 그 속에 하나의 유두상 돌기를 가지고, 기린초속은 사각형의 무늬와 양 끝에 하나씩 유두상 돌기를 가져 두 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식별형질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외부형태 학적 결과는 돌나물속과 기린초속을 독립된 각각의 속으로 인정하는 분류체계를 지지한다.
        13.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 L.) 7종의 44개 질적형질 및 28개 양적형질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질적형질 중, 27개 형질은 본 속의 모든 종에서 나타나는 공통형질이었으며, 28개 양적형질 중 단일형질은 인편엽의 수(2-4장), 잎의 수(2장), 악편의 수(3장), 수술의 수(12개) 및 암술의 수(6개) 등 5개였다. 잎 표면의 흰색 얼룩무늬는 개족도리풀과 무늬족도리풀을 다른 종들과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었으며, 금오족도리풀과 털족도리풀의 잎 이면에는 긴 연모가 다수 분포함으로써 짧은 털이 분포하는 다른 종들과 차별화되었다. 악통 내부 표면의 선모는 종에 따라 자루가 없는 선모(개족도리풀, 족도리풀, 자주족도리풀)와 자루가 있는 선모(금오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털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의 2가지 유형이 구분됨으로써 이들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악편의 길이, 형태, 색 및 반곡 정도, 악통 입구(통인)의 직경 및 색 또한 유용한 분류형질로 확인 되었다. 악편 표면에 발달하는 선모의 밀도는 드물게 분포하는 금오족도리풀과 밀생하는 자주족도리풀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보이는 다른 종들과 뚜렷하게 구분시켜주었다. 한편, 금오족도리풀의 화주돌기 길이는 나머지 종들의 그것과 뚜렷하게 차이가 났다. 연변족도리풀과 녹연변족도리풀의 실체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요구된다.
        1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analyze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the environment of the foraging site of Vespertilio sinensis. The external morphology was analyzed by twelve parameters and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foraging site was analyzed using GIS 10.1 program. The wing membrane was inserted into the ankle of the hind foot and the wing ratio was 1.42, the middle type between broad-short wing type and long-narrow wing type. The fur color was blackish brown but the guard hair color was whitish. The shape of the ear was a rounded triangle and tragus was a fan shape. This study showed that V. sinensis preferred the deciduous forest of the upper forest zone, where human interference was less. We believed that abundance of insects, depending on water system, was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the foraging sit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as very similar to the nature preservation zone including Baekyang valley and Keumsun valle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15.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ssurian tube-nosed bat (Murina ussuriensis) is a registered endangered species that has not been observed in South Korea since 1960. We were able to capture three individuals of M. ussuriensis between 2011 and 2013 at Sobaeksan National Park. The discovery of this species was the first time within 50 years.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M. ussuriensis, we analyze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captured ba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 ussuriensis weigh approximately 5.2 g, which is less than that of a typical small bat such as Pipistrellus abramus. The bat's wing-type ratio was determined to be 1.22 and classified as a broad and short wingspan type. The bat uses FM signals for ultrasound with a peak frequency of 92 kHz. The M. ussuriensis seems to be a forest-dwelling bat that preys on insects by maneuvering expertly within the complex mazelike structure of forest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on the hibernation and foraging sites of the bats is necessary to protect and monitor the species.
        1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ul'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which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s distributed in India, Nepal, China, Korea, Japan. Korea pharmacopeia listed 'Usul' as either a species of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or A. bidentata Blume. Recent taxonomic studies in China and Japan delimited these taxa as two varieties, A. bidentata Blume var. bidentata and var. japonica Miq. A multivariate morphometric study of Achyranthes bidentata complex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ntities of taxa that usefully could be recognized. Five quantitative charact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293 specimens from Korea. The univariate analysis of inflorescence length, interval between florets, angle between floret and floral axis indicated that ranges among all taxa were continuous. However, quantitative characters of membrane size and the number of hairs within 4 were useful to identify two varieties. In PCA,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accounted for 89.4% of the total variance. PCA revealed that var. bidentata showed distinctions in morphological attributes from var. japonica entity. Therefore, continued recognition at the infraspecifc level for these taxa is supported.
        18.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분포하는 대사초절에 속하는 3분류군의 외부형태형질을 분석하고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이들 간의 유연관계를 밝혔다. 대사초절 내의 기본종인 대사초의 외부형태학 특징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과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을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문헌에 언급된 형질들 중에서 잎의 형태는 생육지 조건에 따라 변이가 심하였지만, 지하경 생장 양상, 잎과 과낭의 털의 존재 등은 종수준에서 구분하는데 좋은 형질이었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털대사초는 독립된 종으로 처리되는 것을 지지하였다.
        19.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린초 자생지 네 곳(광덕산, 사명산, 용화산, 통영지역)의 집단에 대하여 이들의 종내 유연관계를 알아보고 야생화의 원예화 또는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생지별 식생조사 및 외부형태 형질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50개의 형태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 1, 2, 3은 전체 변이에 대하여 각각 22.9%, 14.2%, 7.4%를 설명 하였으며, 주성분1에 대한 주성분2의 도시 결과 4개의 자생지 집단은 서로 중복되어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형태적 형질에 대한 주성분 분석은 여러 자생지들의 집단 간에 모든 외부 형태적 형질들이 연속적 양상을 나타냄을 보여주었고, 편차가 가장 큰 형질은 잎의 크기와 형태에 관여되는 형질들이었다. 식생은자생지에서 18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식생군락을 조사한 결과 좀깨잎나무하위군락, 넓은잎외잎쑥하위군락, 맑은대쑥하위군락, 노랑물봉선하위군락, 까치고들빼기하위군락, 쐐기풀하위군락, 더위지기하위군락, 닭의장풀하위군락, 개망초-쑥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의 10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0.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특산식물인 가시딸기에 대한 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다른 점은 잎의 양면에 털이 존재하고, 특히 주맥에는 선모가 존재한다. 털은 꽃잎과 줄기를 제외하고는 모든 부분에 존재하고, 가시는 엽병과 줄기에 존재하였다. 소엽은 3-7장이고,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