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기초 화장품 용기디자인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여대생 라이프스타일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군집1은 용기 가운데의 폭이 넓은 형태로 단골점포 신뢰의 독립적 성향과 관련성이 있다. 군집2는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용기형태를 선호하며 적극적 투자, 외국어 중시, 인터넷 쇼핑을 선호하는 성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3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의 유기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큰 점포 신뢰, 점포구경취향, 자기취향에 맞는 제품을 추구의 성향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4는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내려갈수록 날씬해지지만 하단부에서 다시 넓은 형태를 선호하며 가정의지, 브랜드와 디자인 중시하는 성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소비자들은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 다양하고 소비자들은 용기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감성이미지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디자인에 있어서 이러한 세분화된 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세분화된 제품 형태에 대한 연구 들이 서로 상관요소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소비자 시장의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도 보다 세분화된 분석방법들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of female cosmetics on the purchasing preferences of view.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onsumers of female cosmetics from their twenties to the forties. and were 195 consumers who dropped int
        4,000원
        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제품디자인관련 종사자들은 제품심미성이 소비자의 제품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 많은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ulcorner 소비자 반응에 대한 그 영향을 어떻게 측정 할 것인가\ulcorner 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에 대한 심미성 차원의 영향을 탐색하고, 남성용 화장품 용기의 심미성 차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측정을 통한 실증적 결과를 보여준다. 이 연구가 남성용화장품용기에 국한되었다 할지라도 다른 다양한 제품의 심미성 역할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민 전체가 사용하는 의약품 용기에는 매우 민감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고령화 인구의 증가와 인적교류의 이해는 다양한 외국인들이 국내에 생활하는 것을 대비하여 의약품의 복약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용기디자인의 준비가 필요로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용기디자인에 필요한 유니버설디자인 7가지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연구 제안하는 것이다. 그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의약품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인 사용방법과 복약조건을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정확한 복약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려면 용기의 사용방법과 인쇄 및 표기를 통하여 가독성이 뛰어난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향후, 올바른 복약을 위해서는 IOT기술과 연계된 복약어플리케이션은 개발되어 활용방안도 고려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공통된 인지와 복약여부의 결과를 갖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복용량과 시간 등의 복약조건들에 대한 인지요소 등을 통하여 3차, 4차 복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복약순응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용기디자인의 조건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용기디자인은 외국인이나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정보전달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용기디자인을 할 때는 용기와 캡의 관계에서 정량배출과, 정시복용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균재질의 용기, 점자표기, 컬러인식표기, 약품 종류표기, 조제에 의한 약의 제제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의 조건들과 방법들의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갖는 기능성 식물용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기능성 식물용기를 상품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주거환경에서 시제품을 사용한 후 선호도와 디자인을 평가하였다. 시제품은 스탠드형과 걸이형 2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먼저, 37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기능성 식물용기에 대한 경관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38명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한 달간 사용 후 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도구는 경관형용사쌍을 이용한 SD scale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디자인 평가는 한국디자인진흥원(2010)에 제작된 굿디자인(GD)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화분에 대한 기본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화분(2%) 보다 디자인화분(47%), 특수화분(36%), 기능성화분을(15%)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물용기에 대한 소비 욕구가 디자인과 기능성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관선호도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심미성, 장식성, 선호성, 공간성, 편안함의 5개의 요인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두 가지 형태 모두 주거공간에 적합하고 아름다운 디자인과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에 비해 경제성을 제외한 적합성, 합목적성, 만족성, 사용성, 제품성, 심미성 등 6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매의사도 스탠드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 후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탠드형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협소한 장소에 수직적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며, 주거환경에서도 식물을 잘 기르고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