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organic Hanwoo was compared to imported beefs from the America and Australia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rude lip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anwoo. Marbling of Hanwoo has been recognized as well among the comparison groups. Cooking loss of Hanwo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mported beefs, and its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cooking, share for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anwoo than imported beefs. Contents of total composition amino acid were lower in Hanwoo than imported beefs, but ratio of essential amino acid was higher in Hanwoo. In Hanwoo,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FA) were lower, and poly unsaturated fatty acid(PUFA)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mported beefs. Especially, oleic acid content was ranged 53.95~ 56.05% in all tested beef samples, and its content was the highest in Hanwoo. Hanwoo was higher than imported beefs in MUFA/SFA ratio, but it was lower in PUFA/SFA ratio. Lipid peroxide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Hanwoo than imported beefs during their storage for 21 days at 4°C. Contents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omparison groups. Activitie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in Hanwo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merican beef,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ustralian beef. Therefor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nwoo beef are thought to be more dependent on the MUFA than phenolic compounds.
        4,8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주는 효과를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무비구,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벳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 (각각 6.14와 3.97 ton/ha)가가장 높았으나 (p<0.05), 유기질 비료구 (각각5.24와 3.37 ton/ha), 액상우분뇨 (각각 5.53과3.63 ton/ha) 및 콩과 혼파구 (각각 5.00~5.15와3.32~3.33 ton/ha)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청보리의 TDN과 RFV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 (p<0.05). 청보리를 급여 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구가연간 ha당 평균 2.5~2.9두를 사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한 구가 ha 당각각 6.69~7.13, 0.46~0.51 및 3.95~4.18 ton으로나타남으로써, 호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3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본과 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는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효과까지 고려하여 두과작물 등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한우사양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000원
        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에 있어서 다배란처리에 의한 체내 정상수정란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PEG에 용해한 FSH의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1일 2회 4일간 근육 주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회 근육주사 방법과 비교하여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황체수, 총 회수란수 및 이식가능 수정란수에 있어서 현저히 증가 (P〈0.05)하였다. 따라서 한우에 있어서 PEG에 용해시킨 Folltropin-V의 1회
        4,000원
        6.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grow organic forage as a prime requirement for organic Hanwoo cattle production over a period of 3 years (2012~2015) in Gyeongbuk region, Korea through mixed cropping of winter fodder barley with legume and application of fermented cattle manure. The effect of barley-legume mixed cropping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was studied on forage productivity of whole-crop barley (WCB) and evaluation of feed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AS 9.3 software. Barley-legume mixed cropping increased (P< 0.05) yields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s compared to those of sole WCB as monoculture. Similarly,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also higher (P<0.05) in barley-legume mixed sowing forage compared with those of sole WCB as monoculture. In case of manure application, yields of DM, CP and TDN were also found (P<0.05) highest in 100~150 ㎏ N/㏊. However, varying cattle manure levels did not influence (P>0.05) CP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In response to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level, ADF content increased (P<0.05) but TDN content and RFV decreased (P<0.05). The Barley-legume mixed sowing and increasing application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also significantly enhanced (P<0.05) feed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head/ha) having 450 kg body weight with 400 g of daily gain. Findings of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barley-legume biculture not only cut nitrogen application level of fermented cattle manure by over 50 kg per ha but also increased their feed value and productivity of forage as compared to WCB monoculture. This would be contribution to the diversity of forage resources as well as production of organic animal product by creating low cost and high quality organic forage.
        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organic rye to provide dairy farmers with safe organic feeds. Also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mount of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verage 760~786 kg/ha) than i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353 kg/ha) (p<0.05).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s and the single-sowing of rye tended to improve by increasing the level of nitrous fertilization rather than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amount of crude protein on the rye according to the mixed-sowing of legu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ture (average 8.29~9.90%) than in the single (average 4.93%) (p<0.05). The comparison by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for the rye in 50 kg N/ha than in fertilization treatments (p<0.05).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mount in the single-sowing of rye was average 46.86% and has lower than average 49.96~50.12% of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especially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with 54.55% in 150 kg N/ha for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p<0.05). The breeding ability of annual organic livestocks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feed value of ry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bility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3.72~4.12 heads)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2.26 heads) (p<0.05). By summarizing above results, the mixed-sowing of legume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the feed value of rye for increasing organic livestock breeding ability in southern area of Gyeongbuk regions, and the study for identifying the appropriate fertiliza-tion level using livestock excretions is further necessary.
        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양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총체 밀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2년(2012~2013년) 평균 총체 밀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6.10~7.70, 0.59~0.76 및 3.84~4.74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07, 0.35 및 2.54 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총체 밀의 평균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100~150 kg N/ha(7.24~7.59, 0.67~0.73 및 4.43~4.69톤/ha)가 무비구(5.96, 0.57 및 3.71톤/ha)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총체 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사료작물의 혼파구에서 평균 9.83~10.03%로 총체 밀 단파구의 8.37%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DF 함량은 헤어리 베치 혼파구 그리고 RFV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9.17~9.52%로 처리수준 간 차이가 없었고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100 kg N/ha 까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3.99~4.20두로 단파구(평균 2.21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질소 수준 100 kg/ha(평균 3.68두)까지 무비구(평균 3.09두) 보다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 밀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 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호밀에 콩과 사료작물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의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호밀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구별 단·혼파 비교에서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호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특히 콩과 작물 중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유기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28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1.94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50두 보다 매우 높았으며(p<0.05), 호밀 단파 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발효우분을 시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는 것이 유기 가축사육 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1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when whole crop wheat and triticale as winter forage crops were grown on different applying sources (no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or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in combination with hairy vetch and forage pea at the level of 50% cattle slurry application during the period of 2009~2011. The experimental plots were consisted of 5 treatments. Each treatment was triplicates and allocated in the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whole crop wheat, annual mean dry matter (DM) yield was significantly (P
        1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of Hanwoo steers by feeding self-product organic rice straw and concentrates(conventional, T1 and organic T2). Sixteen Hanwoo steers(8 months on the aver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treatment groups. Feeding trail was carried out in 2 treatment(8 heads/ treatment) by Hanwoo steers for 600 days form 8 to 28 months in age. The range of average daily gains of T1 and T2 were 0.76 to 0.77㎏ in the growing stage, 0.93 to 0.90㎏ in the first fattening stage, 0.99 to 0.84㎏ in the middle fattening stage, and 0.59 to 0.64㎏ in the latter fattening, respectively, and the gains for overall period was higher in T1 than in T2. Concentrates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TDN)(T1) intakes per unit of kg gains were higher than T2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cass characteristics, the carcass weight in T1 were higher about 5% than in T2.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dry matter(DM) intakes, crude protein(CP) and TDN contents of feedstuff between treatment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marbling in T2 score was higher than in T1 about 2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ib-eye area, back fat thickness and fat color(p>0.05).
        1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sumer"s concerns over beef safety are increasing according to resuming U. S. beef import And a few beef producers have converted into organic beef recently. This organic beef must have taste, nutrition and safety that consumers dem and for. Korean organic beef should be gone on sale at the shop under direct management of producer"s organizations or the special shop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So they should win consumers" confidence for beef safety and transparency in producing and marketing process.
        1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d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ituations of Korean organic beef cattle at Hongseong Chungnam. Case Farmers have raised cattle organically based on interchange between a few Consumers" Life Cooperatives(CLC) and them. CLC furnished with funding to purchase calves and bought the cattle beef. However, they have many problems related to procuring organic feed in producing organic beef. Presently, they have used organic byproducts from sowing farming and prepared grass places. But they don"t breed organic beef cattle in a large scale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organic feed output.
        1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ducing Korean organic beef cattle costs a great deal because it needs breeding conditions like the organic feed, an uncontaminated breeding farm and so on. So the price of Korean organic beef (KOB) is more expensive than that of Korean general beef (KGB). To overcome this adverse price condition, a case production organization in Asan will choose direct marketing routes for consumers or the shop under direct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or franchise shops. As a result, these marketing routes are expected to narrow the price gap between KOB and KGB. And consumers will accept the price of KOB if quality of KOB is very high level, for example the first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