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연구는 충남 예산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젖소 사 육농가 중 10개 전업 검정농가를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의 검정성적 을 통하여 유량 및 유조성분을 조사·분석하여 젖소농가의 경영지표 설정과 농가의 경영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적 자 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산유량은 33.62kg로 나타났다. 산차별로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으며 1산차는 29.60kg로 가장 낮은 산유량 을 나타났으나, 2산차 이상부터 높은 산유량을 보였다. 산 유량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계절별 평균 산유량은 봄에 34.51kg으로 다른 계절보다 높은 유량을 보 였다(p<0.05). 산차별의 유지율은 유의성 없이 1산에서 6산 차까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산유량별 간에 유지율은 유 의한 차이(p<0.05)가 있었고, 계절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는데, 겨울에 유지율 4.15%로 가장 높은 성 적을 보였으나, 여름에 3.6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산차별 간의 단백율은 유의한 차이 없이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산유량별 간의 유단백율은 유의한 차이 (p<0.05)로 1일 30kg미만 군에서는 3.51% 높은 유단백율을 보였고, 40kg이상 군은 3.14%로 가장 낮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간의 유단백율은 가을과 겨울은 각각 3.40% 와 3.41%으로 높았으나, 봄과 여름은 각각 3.28%와 3.27% 로 낮은 수준를 보였다(p<0.05). 총고형분은 산차별 간에 1 산차가 8.92%로 가장 높은 함량를 보였으나(p<0.05), 산차 가 커질수록 감소현상을 보였다. 산유량별에 따른 총고형 분율은 1일 30 kg미만 군에서 8.92%로 높았으나, 40kg이상 군은 8.62%로 낮은 총고형분율을 나타났다(p<0.05). 계절 별 간의 총고형분율은 가을과 겨울에 각각 8.87%와 8.84% 으로 높은 함량이 었으나, 봄과 여름에는 각각 8.77%와 8.75%로 낮았다(p<0.05). 산차별간의 체세포수는 1산차가 100.75천개/ml로 가장 낮은 수를 나타냈으나, 산차가 커질 수록 체세포수는 증가현상을 보였다(p<0.05). 산유량별로 는 1일 30kg미만 군은 157.00천개/ml의 높은 체세포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40kg이상 군의 123.64천 개/ml로 낮은 수로 나타났다. 산유량은 유지율, 유단백율 및 총고형분율과 각각 -0.378, -0.534 및 –0.370으로 음(-)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유지율은 유단백율 및 총고형분율과 의 상관계수는 각각 0.600과 0.493으로 매우 높은 양(+)의 관계를 보였다. 유단백율과 총고형분율 간에는 0.833으로 양(+)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산유량과 유지율의 단순회귀모형은 y=-0.0297x+4.907(R2=0.1426), 유지율과 유 단백율은 y=0.2824x+2.2482(R2=0.3606), 유단백율과 총고형 분율은 y=0.8564x+5.9404(R2=0.6942)를 나타냈다. 따라서 젖소의 산유량과 유성분은 계절적 요인, 그리고 체세포수 는 산차와 산유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젖소의 산유량과 유질개선에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4,000원
        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포유기 사료 급여 기간의 변화가 포유 모돈의 생리적 변화와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256.15 ± 4.39kg의 F1 모돈(Yorkshire × Landrace) 30두를 공 시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법에 따라 3처리구에 배치하였다. 각 처리구는 1) L0-5: 임신기 110일령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2) L0: 분만일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3) L0+5: 분 만 5일 후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하였다. 포유기에는 모돈들에게 사료를 무제한 급여 하였으며, 실험결과 사료의 변화 시기는 모돈의 체중 및 등지방 두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 다. 사료섭취량에 있어서 분만일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돈 사료를 섭취한 모돈이 수치적으로 가장 높았지 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 자돈의 체중 및 유성분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분만 5일전부터 5일후 사이에 포유돈 사료로 교체하는 것은 모돈 의 번식능력 및 포유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추위 pH 조정제로서 일반적으로 중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료에 중조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료의 기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반추위 완충효과를 나타내도록 개발된 액상형 완충제의 젖소사료 첨가제로서의 이용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축으로 착유 중기 젖소 27두를 공시하였으며, 처리는 대조구와 중조 첨가구, 그리고 액상형 완충제 첨가구로 하여 처리별 9두씩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착유우용 자가배합 TMR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중조 첨가구는 대조 사료에 중조를 두당 1일 150g 추가하여 급여하였고, 액상형 완충제 첨가구는 같은 방식으로 액상형 완충제를 두당 15㎖ 추가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산유량은 대조구, 중조 및 액상형 완충제 첨가구의 경우에 각각 23.82, 23.91, 24.91k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액상형 완충제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처리 간에 뚜렷한 유의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처리에 따른 유성분 변화에서는 유단백질 및 무지고형분에서 액상형 완충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 있는 증가(p < 0.05)를 보여주었고, 유지율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성분 중 포도당과 콜레스테롤은 대조구에 비해 액상형 완충제의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처리 간에 유의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개발된 액상형 완충제의 추가급여 시 생산성 증대, 특히 유성분 증가 효과가 있어 반추위 pH 조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중조를 대체하여 반추동물의 사료첨가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5.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기에 따른 두당 1일 유량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및 , 일의 경우 및 , 201일 이상의 경우 및 으로
        4,000원
        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사료급여 종류가 동절기 우유의 생산량 및 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부터 1999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구 처리는 볏짚구(볏짚 위주 조사료+농후사료: T1)를 대조구로 하여 옥수수 사일리지구(옥수수 사일리지 위주 + 농후사료:T2) 및 TMR구(완전혼합사료: T3)를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유 생산량은 T2(31.93.2kg) > T3(29.63.8kg) > T1구(22
        4,000원
        13.
        199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dietary protected amino acid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dairy cow using meta-analysis. Total 21 research papers were employed in analysis, and mixed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effects. Effect of protected methionine (PM) and combination of protected methionine and lysine (PML) were investigated under two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18% and >18%). For performance of dairy cow, milk yield, milk composition including milk fat and protein content and yield and 4% FCM (fat corrected milk) production were used for analysis. In case of milk yield, a trend of increment was found at PM supplementation at low CP (P=0.055). However, the effect of PM at high CP was detected as not significant (P>0.05). In case of milk protein, inclusion of PM at low CP showed significant decremen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MP on milk protein at high CP (P>0.05). Supplementation of MP at high CP level showed significant increment of milk fat (P<0.05). MP supplementation represented significant increment of 4% FCM production (P<0.05) regardless of dietary CP levels. Effects of PML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at both of low and high dietary CP were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However, it seem to be that there was a possible positive effect of MPL application at high dietary CP on performance of dairy cow.
        15.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carboxylic acid supplementation, as replacement antibiotics, of on in vitro ruminal parameters and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in lactating cows. in vitro treatments were 1) Con (4 g of basal diet), 2) CM (4 g of basal diet + 0.05 ml of monensin), 3) CR (4 g of basal diet + 0.1 ml of dicarboxylic acid) and in vivo treatments were 1) Con (25 kg of basal diet/head/day), and 2) CR (25 kg of basal diet + 5 g of dicarboxylic acid/head/day), respectively. A total 10 lactating dairy cows (649±19 kg average body weight, 99±65 average milking days) were divided in to two groups according to mean milk yield and number of days of postpartum. The cows fed a basal diet during adaptation (2 wk) and experimental diets during the treatment periods (4 wk). In the first in vitro experi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in pH, gas production, and ammonia-N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during incubation. However,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R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or CM treatment (P<0.05). Total VFA was tended to higher in CR treatment than those of control and CM treatment (P> 0.05). In the second experiment, milk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reatment (40.39 kg) compared to control (35.19 kg), (P<0.05). Milk composition and MUN were not changed by dietary supplementing dicarboxylic acid.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reporting that supplementation of dicarboxylic acid might enhance the stabilization of ruminal fermentation and increase the milk yield of lactating cows.
        16.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dels for the predict of the milk properties (fat, protein, SNF, lactose, MUN) of unhomogenized milk using the visible and near-infrared (NIR) spectroscopic technique. A total of 180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airy farms. To determine optimal measurement temperature, the temperatures of the milk samples were kept at three levels (5℃, 20℃, and 40℃). A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reflectance spectra of the milk samples. Multilinear-regression (MLR) models with stepwise method were developed for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wavelength. The preprocessing methods were used to minimize the spectroscopic noise, and the partial-least-square (PLS)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ion of the milk properties of the unhomogenized milk. The PL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milk properties of the samples at 40℃ and at 400∼2,500 nm. The optimal-wavelength range of fat and protein were 1,600∼1,800 nm, and normalization improved the prediction performance. The SNF and lactose were optimized at 1,600∼1,900 nm, and the MUN at 600∼800 nm. The best preprocessing method for SNF, lactose, and MUN turned out to be smoothing, MSC, and second derivativ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fat, protein, SNF, lactose, and MUN were 0.98, 0.90, 0.82, 0.75, and 0.61, respectively.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els can be used to assess milk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