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수치 해석을 통해 Gullstrand 모형안에서 광학적 특성(초점거리, 구면수차 및 초점심도)를 분석했다. 방법 : 광학상수 값(방수)이 수정된 Gullstrand 모형안(각막 전·후면, 수정체 피질 전·후면 및 수정체 핵질 전·후면)을 사용하였다. 평행광선이 입사되었을 때 근축 근사 없는 Snell의 법칙에 따른 눈의 광학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모형안으로 입사된 모든 평행광선은 입사 높이가 증가할수록 초점거리, 구면수차 및 초점심도에서 각각 비선형적으로 감소, 증가 및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근축 근사가 적용된 Gullstrand 정식 모형안의 결과와 잘 일치되었다. 결론 : 생체적 분석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눈의 광학적 특성을 근축 근사 없이 수치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눈의 광학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2.
        200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C seeks to minimize variability by transferring the output variable to a related process input(controllable) variable. In the case of product control, a very reasonable objective is to try to minimize the variance of the output deviations from the target or set point. We consider an alternative EPC model with first-order autoregressive disturbance.
        4,000원
        4.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운동심리학의 연구 동향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개괄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 초까지 스포츠심리학은 운동선수의 수행력 향상에 주된 관심을 가졌었다. 그러나 이후일반인들의 운동참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운동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운동심리학은 연구 활성화를 기반으로 독자적 패러다임을 가진 영역으로 학문적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운동행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운동심리학의 모학문이나 인접학문에서 개발된 여러모형들의 적용과 검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기효능감 이론은 운동심리학 분야에서 가장많이 활용된 모형 중 하나로서 운동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운동행동 변화의 단계성과 단계에 따른 효과적인 중재전략에 초점을 맞춘 변화단계이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운동행동을 환경적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사회생태학적 모형도 운동심리학 연구에서 서서히 부각되고 있다. 운동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운동이 다양한 심리적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임상에서도 치료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운동의 임상효과를 극대화하고 이에 따라 운동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5.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단위도 이론인 Nash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먼저, Nash 순간단위도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을 그 정의에 따라 유도하고, 각각의 특성은 물론 둘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추가로,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의 경험공식들을 유도된 Nash 모형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 특성과 비교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as
        6.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방암 환자들의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생존한 유방암 환자들을 돕고 보다 빠르게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서 건강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재활 및 건강 증진의 방법으로 운동은 권장되고 있다. 암 환자들에게 운동을 시작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이행, 유지하도록 돕기 위한 운동 중재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 인간의 건강 행위는 개인의 의사결정에 기초하며 정서와 인지 및 행위를 포함한다는 변화단계 모형(Transtheoretical Model(TTM))을 기틀로 하여 유방암 환자의 운동 행위 단계, 변화 과정, 효과와 손실 의사결정 균형의 사용 정도를 파악하고 운동행위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조사하며 각 요인 간 상관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113명 유방암 환자에게 운동 행위 단계는 Procheska와 Diclemante(1983)의 도구, 변화 과정은 Nigg 등(1999)의 도구, 의사결정 균형은 Marcus(1992a)의 도구, 자기효능은 Marcus(1992b)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총 49.5% 에서 운동을 시행한다고 응답하였고 이를 운동 행위 단계별 유지 단계 22.4%, 실행 단계 27.1%이었다. 현재 운동을 이행하지 않는 준비 단계 26.2%, 심사숙고 단계 16.8%, 무관심 단계7.5%이었다. 운동 행위 단계별 인지, 경험적 과정은 실행 단계에서 높게 사용되었고 준비 단계 이하에서 적게 사용되었다. 행위적 과정은 유지, 실행단계에서 높게 사용되었고 심사숙고, 무관심 단계에서 적게 사용되었다. 유지, 실행단계에서 효과 의사결정 균형이 높게 사용된 반면 준비 단계 이하에서 손실 의사결정 균형이 평균보다 높게 사용되었다.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 또한 유지, 실행단계에서 높게 사용되었고 준비 단계 이하에서 적게 사용되었다. 운동의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위적 과정의 자기해방(p=.000), 손실 의사결정 균형(p=.001) 그리고 유방암 절제시기(p=.003)이었다. 이는 40.3%의 설명력을 보였다. 관련 변수 간 상관성에서 변화 과정, 손실과 효과 의사결정 균형, 자기효능은 서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운동 행위 단계에 따른 운동 중재 구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 보다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