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서비스에서 작업치료 인력의 공급현황과 공급추계를 분석하고, 수요추계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장기요양 시장에서의 작업치료사 인력 수급 정책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장기요양시장에서의 작업치료사 인력 공급현황과 공급추계를 위한 연구자료는 보건복지부의 각 연도별 보건복지통계연보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작업치료사 활동현황에 대한 내부자료(2008년~2018 년)를 활용하였다. 작업치료사 인력 공급추계는 인력변화 추이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이러한 추이가 앞으로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장래 인력을 추계하는 총수방법을 활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합계 및 평균치(전년대비 증가율, 3년 평균 증가율 등)등을 구하였다. 결과 : 장기요양기관에서 활동 중인 작업치료사는 2008년 41명에서 2018년 758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고, 이를 연평균 증가율로 환산하면 37.8%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 인력 증가율(전년대비 증가율 또는 3년 연평균 증가율)이 계속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020년에서 2030년에 걸쳐 인력에 대한 수요에 비해 공급이 과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엇보다 장기요양서비스 내 작업치료 인력의 수급 불균형의 문제를 해결하고 적정 인력 공급과 관리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의 장기요양서비스에서의 작업 치료사 인력 수급 정책의 방향이 지금까지 인력의 양적 공급에 주목한 것이라면 앞으로는 작업치료사가 장기요양시장에 진입하여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저임금 등의 노동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인력 질적 관리로 전개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4,000원
        4.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ECD 국가와 우리나라 간호인력의 현황 및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여 간호인력의 수급 방향 을 제시코자 한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OECD 국가들은 크게 두 가지 방식 을 취하고 있었다. 첫째, 면허인력(11.6%) 보다는 활동 간호인력(19.2%)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활동 간호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면허인력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병상 수를 꾸준히 감소 (-15.8%)시켰다. 그 결과 간호인력의 높은 노동강도와 이직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100병상 당 간호 인력 수’가 증가(33.7%)하였고, 이는 활동 간호사의 증가로 이어졌다. 둘째, OECD 국가들은 양질의 간 호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동 간호인력 중 ‘간호사 대비 간호보조 인력의 비율’을 20% 수준으로 유지해왔 다. 반면, 우리나라는 면허 간호인력(62.2%)과 병상 수(148.0%)를 지속적으로 늘려 왔다. 그 결과 ‘100병 상 당 간호인력’이 OECD 국가 중 가장 적고, ‘인구 1000명 당 활동 간호사수’는 OECD 평균(6.93명)의 50% 이하 수준(3.1명)에 머무르고 있다. 그리하여 ‘간호사 대비 간호조무사 비율’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인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간호인력 수급 정책의 방향은 양적 확대―간호대학의 입학정원 증원을 통한―보다는 간호인력 보유와 적정 간호인력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6,100원
        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정확한 작업치료인력 공급 및 현황을 분석하고, 수요를 파악하여 미래의 적정 작업치료 인력 수급을 추계함으로써 작업치료 인력의 적정달성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사 양성 및 증가현황과 작업치료사의 전문가 활동 및 취업현황, 그리고 작업치료사의 적정 공급 추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작업치료사의 양성 및 증가현황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 자료를 수집하였고, 작업치료사의 전문가 활동 및 취업현황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내부자료를 이용하였다. 작업치료사의 적정공급 추계는 통계청, 보건복지가족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 우리나라 작업치료 공급 및 인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 4년제 19개교, 3년제 전문대학 27개교로 2원화되어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고 있다. 작업치료사 국가고시 응시자의 평균 합격률은 78%로 현재 4395명의 작업치료사가 배출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정보공시센터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작업치료(학)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79%였고, 2009년 취업률은 83%였다. 전문가 활동을 위해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가입한 작업치료사는 54.9%였으며, 기관별 취업 현황은 재활병원, 병원 및 종합병원, 노인요양병원 순이었다. 작업치료 인력 수준의 국제비교는 공급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으나, 2020년에 이르러서는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의 작업치료사가 양성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57.9%는 의료기관에 취업해 있다. 2020년 이후로는 10만 명당 작업치료사의 수는 37명으로 선진국과 비슷한 양적성장이 예상된다. 앞으로 작업치료사가 의료기관 외 지역사회에서 만성 장애인과 노인을 위해 작업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선진적 법제도의 변화가 시급하다.
        4,8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7.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ers, which stresses introduction of foreign work force in a legal manner rather than in the position of being trainees, is anticipated to efficiently improve introduction and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of foreign work force and related difficulties such as illegal alien problems, absurdity on sending laborers overseas. In this paper, a prospective model of supply and demand of work force has been developed basing on various categories of industries and patterns about nationally practical foreign employees to look over efficient supply and demand of work force suiting employment of foreigner among foreign work force policies. To propose the prospective model, we have derived industry- and pattern-related matrixes of foreign laborers basing on Inter-Industry Analysis Method put forth by Professor Leontiyef in 1930, and through the derived matrix assessed repercussions concerning overall domestic industries and foreigner types and decided yearly weight; the capacity of supply and demand of foreign laborers can be compared through proposed statistical estimation and government estimation by combining the determined weight with yearly incomes of foreign laborers. This paper has thoroughly considered the particularity of our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ers and applied the Weibull distribution and incorporated the dependence of foreign laborers during the limited period of 3 years to the industry relation analysis, ultimately proposing an efficient supply and demand method about domestic foreign work force.
        4,300원
        1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사 면허제도가 도입되고 2년제 전문대학에 안경광학과가 셜치되어 안경사 인 력을 배출하고 었으나 업계의 실정에 맞는 인력수급에 대한 계획없이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향후 안경사 인력의 적절한 수급체계를 유지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내 안경사 면허취득자, 현업종사자, 안경사용인구 대비 안경사의 현황, 안경사 배출 교육기관의 입학정원과 교육현황을 외국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987년 안경사 면허제도가 도입되어 1989년 1 ,281 명, 1990년 9,065명의안경사가 배출된 이 래 10년 동안 매년 평균 1 ,아)() 여명씩 증가되어 2αm년 현재 안경사 면허자 는 총 20,232명에 이르고 있다. 2) 1984년 대구보건전문대학에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어 1986년 80여명의 졸업생올 배출한 이래 2000년 12월 현재 17 개 2년제 대학(입학정원 1 ,460명)과 4개의 4년제 대 학(입학정원 300 명)에 안경광학과가 개셜되어 12,460여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었으며, 2001 년에는 2개의 2년제 대학(입학정원 80 명)이 추가로 개셜되어 2004년부터 매년 1 ,880여명의 졸업생이 배출될 전망이다. :n 안경원의 수는 1않써년 3,873개에서 2αU년 6,614개로 매년 평균 270여개가 중가 하였고, 가용안경사의 취업률은 1990년 7,532 명 (9 1.0%) 에서 2000년 11 ,잃3 명 (69.5%) 으 로 매년 평균 2.1%가 감소되었다. 4) 2000 년 현재 취업안경사 대비 안경사용자는 전국 명굵 1,815 명이며, 광주시가 1,043 명으로 가장 낮고, 경기도가 2,817 명으로 가장 높았다. 안경원 대비 안경사용 인구는 전국 평균 3,088 명이며, 광주시가 1,932 명으로 가장 낮고 경기도가 4,699 명 으로 가장 높았다. 5) 1995 년 현재 선진 외국의 안경사 대비 안경착용인구는 평균 3,146 명이며, 독 일이 4,707 명으로 가장 높고, 미국이 1,786 명으로 가장 낮았다. 6) 외국은 안경사와 옵토매트리스트의 교육과정이 엄격히 구분되어 있으며, 안경사 의 수와 안경원의 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7) 1987 -1999년 동안 실시된 전국 안경사용률 조사를 근거로 안경사용인구를 추 정하여 산출된 안경사 수요추계는 선진국의 기준(안경사 l 인당 3,000 명)시 2005년 8, 154명, 2010년 9,516명이었고, 2αm년 국내 취업안경사 기준(안경사 1 인당 1 ,815 명) 시 2005년 13,478명 , 2010년 15,729명 이 었 다. 8) 최근 6년간 면허사행 웅시옳(89.6%) 과 합격률 (58.1%)율 적용하여 산출한 공급 추계는 2005년 21 ,642 명, 2010년 27,898명이었다. 9) 안경사 수급전망은 선진국 기준(안경사 l 인당 3,αm 명)시 2005년 13,쇄8명, 2010 년 18,382명이 과잉공급되고, 2이x>년 국내 취업안경사 기준(안경사 1 인당 1,815 명)시 2005년 8, 164명, 2010년 12, 169명이 과잉공급될 전망이다. 이처럼 안경사 인력수급과 관련하여 수적, 질적 및 분포 불균형이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수적 및 분포 불균형올 해결하기 위한 안경광학과 입학 정원의 감소 조정, 질적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안경사 면허소지자의 계속교육 제도 마련 둥과 같은 적정 안경사 인력수급에 대한 해결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900원
        11.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s of medical services in terms of health medical and social welfare will be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old-aged society and medical technologies. Accordingly the roles and task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become more important, and the demands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will be also increased. Therefore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manpower management o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is required. Whe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re classified by their job sites - clinic, health, and other,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clinic is the biggest.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proportion will be kept in the future. On this point of view, the demand and supply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in clinic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occupational therapists demanded are usually depended upon the factors such as health care needs from public, system of medical fee payment and medical insurance, medical policy, share and coordination system of the role of medical service suppliers, and usage of medical facilities by public. This study shows that eve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including the students in college in 2000 itself are over-estimated and over-supplied already under the current system of legislation, even though the estimation on manpower needed in this field shows lack of.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roposes the measures against the problems expected as follow. 1. Legislative specification In spite of the varietie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only 4 categories of therapy -simple therapy, complex therapy, special therap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justment training method - are specified in the insurance category of the law. Moreover, the law stipulates that special therapy and ADL adjustment training method shall be prescribed by the rehabilitation medicine. Thus the occupational therapy could not be requested from neurosurgery and orthopedic surgery at all. Nevertheless, it is strongly requested that patients from pediatrics, psychiatric, geriatrics, neurology, orthopedics as well as rehabilitation medicine shall be regarded as the subjects of the special therapy in the law. 2. Certification of psychiatric health care supplier According to the clause 7 of the psychiatric health law, only 3 groups of psychiatric health specialists including clinical psychologist, nurse, and social welfare specialist can supply a psychiatric health care. Anyhow the job descriptions on the clause 2 of the PH law implementation regulation such as ADL adjustment training, occupational and recreational therapy, etc should be classified as the job of occupational therapist. The psychiatric health care courses including the practices are established for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 college. And considering that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ADL ability for the patients is one of the most critical areas of the occupation therapy discipline, the occupational therapist shall supply the psychiatric health care services, 3. Short of facilities and the alternatives The number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s in Korea, 98, is not sufficient. Moreover many of the clinics are at big hospitals in big cities, and only 32 clinics are in regional areas. It is required to inform the government agencies and public opinion leaders that occupational therapy clinic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big hospitals, rather than health offices managed by government should accept the clinics at first. The ultimate purpose of health services, promoting personal health status and help him to return to the society, is likely accorded with that of occupational therapy. Therefore it is requested that the occupational therapy clinics shall be opened in psychiatric resorts, health offices, special institute for disabled, rehabilitation institutes, and the facilities for old aged persons as well as in hospitals.
        4,000원
        12.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sed national data of manpower supply for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future demand and supply, as of May 1998,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lready an oversupply of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This oversupply is expected to continue even though there would be an increase in hospital beds,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nursing homes. Thus it would be desirable to cut down the number of students admitted to physical therapy schools each year. Our estimation shows th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ust take measures to reduce the supply of physical therapist as soon as possible.
        4,900원
        13.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will soon experience a high demand for medic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f it tries to deliver advanced health welfare service. In order to medical rehabilitation manpower policie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estimate and plan a long-term supply for physiatrists,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The study analysed both national and foreign statistical data of manpower supply for medic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A structured category of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the opinions of regarding the supply for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Korea. Based on the above data, the demand of and supply for each specialists were estimated for long term up to the year 2030.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future demand and supply, the author intended to develop a new supply plan for the three specialist categor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upply plan are as follows : First, the replied proper mean ratio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physiatrists :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appeared 1 : 5.93 : 3.59,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professionals (p>0.05). Secons, the estimated deman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by interprofessional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nterprofessionals (p<0.05).
        4,200원
        14.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