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이자이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1악장에 대한 분석이다. 바흐의 《파르티타》 제3번 ‘프렐류드’와 그레고리성가 ‘진노의 날’에서 인용한 선율을 특징으로 하는 이 곡은 과감한 화성과 혁신적인 연주 기법으로 인해 독창적이며 동시에 실험성 짙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 악곡이 취하는 소나타 형식의 구조와 디자인은 전통적인 틀 안에서 실험적 요소를 성공적으로 녹여낸 이자이를 절충주의 작곡가로 평가하게 한다. 바흐의 E장조 프렐류드는 이자이에 의해 a단조의 딸림화음으로 재맥락화되어 제1주제로 기능하고 있으며, 선법성 짙은 그레고리성가 역시 그 명맥을 유지한 채 딸림조성인 e단조에서 제2주제로 기능한다. 바흐와 이자이 사이 나타나는 다층적 대조는 유려한 성부진행을 만들며 쉔커가 말하는 소나타 형식의 제시부 조건을 충족시킨다. 거시적 버금딸림화음을 연장하는 발전부는 쉔커가 말한대로, 딸림화음을 향해 진행하지만 46화음을 통한 이례적 접근은 작품이 갖는 독창성을 확보해준다. 으뜸화음의 복귀와 함께 이루어지는 ‘진노의 날’은 재현부의 시작을 알리며, ‘뒤바뀐 소나타 형식’의 디자인을 제안한다. 원조성인 a단조 위에서 펼쳐지는 주제 요소들의 재배열은 바흐와 이자이 사이의 첨예한 대조를 죽음을 향한 비극으로 승화시킨다.
        7,000원
        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2nd piece, 「Selbstportrait」 mit Reich und Riley of Drei Stu¨cke fu¨r zwei Klaviere composed in 1976 is a typical example of minimal music among Gyo¨rgy Ligeti's works. In this opus, a musical citation(Zitat) is an important thing. It is not directly performed, i.e., it is an indirect citation about musical features and phenomena of minimal music, not a direct one about a certain composer's piece. However, we can find out obviously that Ligeti's ideas and musical phenomena which was accepted as a new element of his creation in 1970's already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his works before 1970's through a lot of his pieces of 1960's and 『Musica ricercata』 (1951-1953) composed in his time in Hungary. The similarities among his pieces composed before he came to know minimal music can be explained by the identity of his unconscious musical tendency which is 'floated in the air' like his own expression. As we can see in the title, 「Selbstportrait」 mit Reich und Riley, the way of citation in this piece is one that a citation of musical expression inherent in his own works is colored by something as that about phenomena of minimal music. The citation of this kind about ideas of minimal music was more emphasized by accommodation of various sorts of traditional music in this piece. 「Selbstportrait」 mit Reich und Riley received musical traditions such as cluster technique, blocked keyboard, imitation technique and inherence of F. Chopin's music. Such a musical accommodation make us unable to perceive citation and accommodation in its acoustic result due to citation of harmonics in the pieces of Henry Cowell and Pierre Boulez, techniques for organ by Karl-Erik Welin or blocked keyboard of Henning Skdentopf. The citation of blocked keyboard emphasized no more than that of minimal music by which he was influenced when he composed it. Therefore, we can regard the citation of minimal music in 「Selbstportrait」 as new musical phenomenon firmly expressed by the collage of Ligeti's mode, which is equal to minimal music, and other various musical mode of expression. In other words, various musical expressions collaged in 「Selbstportrait」 embodied the citation of minimal music as a unified phenomenon of constitution of the whole work, and the citation of minimal music in this piece came to have its own adequacy. The citation in Ligeti's works, especially that of his own pieces, is different from Zitat music or the mode of citation which aims at pursuing diversity as an important musical phenomenon coincided with Postmodernism in 1970's.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is that in Ligeti's works, the object of the citation is not a definite part of existing music but a entirely musical phenomenon. Another is that various musical expressions collaged are harmonized in the unity of the works.
        6,600원
        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존 코릴리아노의《피아노 독주를 위한 오스티나토에 의한 환상곡》에 서 나타난 구조적 설계로 작용하는 코릴리아노의 인용기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베 토벤의《교향곡 제 7번》 2악장의 주요음과 특정한 음고구조을 인용하여 미니멀리즘적 기 법과의 이색적인 결합을 보여주었다. 코릴리아노는 작품의 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 베토벤 의 특정 음고구조를 전반부에서는 중심음을 반복하는 미니멀리즘적 기법, 환타지아 부분에 서는 우연성의 음악적 시도와 결합시키며 베토벤으로부터 인용된 음재료들을 마지막 주제 선율이 제시될 때까지 구조적 결정요소로서 교묘하게 처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르윈의 변형이론을 분석 방법으로 채택하여 코릴리아노의 작품에서 나타 나는 반복음의 변화를 전체적인 곡의 구조에 따라 분석한다. 또한 연주자의 상상력과 해석력 이 돋보이는 환타지아 부분의 성부진행 경로는 스트라우스의 성부진행 이론을 바탕으로 분 석함으로써 작품의 응집력을 확보한 코릴리아노의 인용기법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