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ading passage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their readability and lexical difficulty. The read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Flesch-Kincaid Grade Level Index, while their lexical difficulty was measured in terms of STTR (standardized type-token ratio), frequency of tokens per type, and vocabulary frequency levels by using VocabProfile and Oxford WordSmith Tools 7.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readability of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of the NAEA conducted from 2012 to 2014, while the readability between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of the 2015 NAEA reached a comparable level. However, the textbooks from one publisher showed substantively lower readability than those from the other publishers and the NAEA. Secondly, regarding vocabulary frequency levels, the words in 1K and 2K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textbooks and the NAEA, while the NAEA had a higher STTR and lower frequency of tokens per type than the textbooks. It suggests that the NAEA employed more various words with less repetition than the textbook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6,000원
        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태도와 인지전략이 읽기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출현문해(emergent literacy)의 관점에서 읽기의 환경요인으로 가정의 읽기자원, 부모의 읽기지원 활동 등이 읽기태도와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 지수는 연구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함을 보여주었고, 긍정적 읽기태도는 암기전략, 정교화전략, 통제전략의 사용 및 읽기성적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과거읽기활동은 부모의 읽기지원활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또한 긍정적, 부정적 읽기태도의 형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나아가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교사의 적절한 읽기자극이나 전략의 사용은 학생들의 심층인지전략 사용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읽기태도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부모/교사관련 요인들을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볼 필요성과, 궁극적으로 읽기성취에 도움이 되는 이러한 요인들을 읽기교수학습 과정에 포함해야 할 필요성을 함께 시사한다.
        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읽기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학습기술 검사에 포함된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5개의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읽기의 6단계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11회기의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28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명철, 정태근(2001)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맞게 제작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